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01:08:01

우상혁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우상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갤럽 CI.svg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갤럽은 2007년부터 매년 말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를 바탕으로 '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를 선정하고 있다.

200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7년
※ 2009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이승엽 최경주
2008년
※ 2009년 이후의 공식 발표 자료만 남아 있어 5위까지만 확인 가능.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박태환 박지성 장미란 이승엽
2009년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박지성 박태환 추신수 박찬호
6위 7위 8위 9위 10위
신지애 이승엽 이청용 김태균 박세리
}}}}}}}}} ||
201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0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박태환 김연아 박지성 추신수 장미란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찬호 이청용 박주영 정다래 이대호
2011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박지성 김연아 박태환 이대호 박주영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찬호 추신수 이승엽 최경주 기성용
2012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연재 박태환 박지성 김연아 양학선
6위 7위 8위 9위 10위
기성용 추신수 류현진 박찬호 이대호
2013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류현진 김연아 손연재 박지성 추신수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태환 이대호 손흥민 기성용 이승엽
2014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연재 김연아 류현진 박태환 손흥민
6위 7위 8위 9위 10위
추신수 이대호 기성용 이상화 이승엽
2015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손연재 추신수 김연아 기성용
6위 7위 8위 9위 10위
류현진 강정호 박지성 이대호 박인비
2016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연재 손흥민 박인비 김연아 박상영
6위 7위 8위 9위 10위
기성용 이대호 김연경 박지성 추신수
2017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김연아 류현진 기성용 추신수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엽 이대호 박지성 이동국 양현종
2018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류현진 조현우 황의조 김은정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우 기성용 추신수 김연아 이대호
2019년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손흥민 류현진 이강인 추신수 김연아
공동 5위 7위 공동 8위
기성용 박지성 박찬호 조현우 이대호
}}}}}}}}} ||
2020년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류현진 추신수 김연경 이강인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동국 김연아 박지성 이대호 기성용
2021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김연경 안산 류현진 김제덕
6위 7위 8위 9위 공동 10위
추신수 이강인 박지성 김희진 고진영, 황희찬
2022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김연경 류현진 이강인 김민재
6위 공동 7위 9위 공동 10위
추신수 이대호 황희찬 김연아 이정후, 김하성
2023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황희찬 안세영
6위 7위 8위 9위 10위
류현진 김연경 신유빈 김하성 우상혁
}}}}}}}}} ||
}}}}}}}}} ||
<colbgcolor=#e8e9eb><colcolor=#000> 우상혁
禹相赫|Woo Sang-hyeok
파일:우상혁 파리.jpg
출생 1996년 4월 23일 ([age(1996-04-23)]세)
대전광역시 대덕구 법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단양 우씨 (丹陽 禹氏)
신체 188cm, 68kg[1], 285mm[2]
학력 대전중리초등학교 (졸업)
대전송촌중학교 (졸업)
충남고등학교 (졸업)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사회체육학 / 학사)
종목 육상
주 종목 높이뛰기
소속 서천군청 (2013~2022)
[[상무 육상단|국군체육부대]{ (2021.03.02.~2022.09.01. / 군 복무)[3]
용인시청 (2023~ )[4]
종교 개신교[5]
후원사 푸마(개인 스폰서)
기록 실외 2.35m ( 2020 도쿄 올림픽, 2022 오리건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23 다이아몬드 리그 파이널)
실내 2.36m (2022 월드 인도어 투어 브론즈 후스토페체)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기록 추이4. 수상 기록5. 여담6. 역대 프로필 사진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Let’s go, Woo!
스마일 점퍼
할 수 있다, 올라간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높이뛰기를 하기 전 되뇌인 말
대한민국의 육상 높이뛰기 선수. 2022년 3월 기준으로 한국의 남자 부문 높이뛰기 최고 기록(실외 2.35m, 실내 2.36m) 보유자다.[6]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상혁/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기록 추이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선발된 2013년 이후, 연도별 우상혁의 최고 기록(SB)은 다음과 같다(실내외 통합).[출처]
<rowcolor=#000> 연도 기록 PB 대비
2013년 2.20m -
2014년 2.24m +4cm
2015년 2.24m 0cm
2016년 2.29m +5cm
2017년 2.30m +1cm
2018년 2.30m 0cm
2019년 2.24m -6cm
2020년 2.30m 0cm
2021년 2.35m +5cm
2022년 2.36m +1cm
2023년 2.35m -1cm
2024년 (2.33m) (-3cm)
2017년 첫 2m 30cm에 도달한 이후, 2018년부터 슬럼프를 겪던 중 구름 발인 왼발에 이어 이듬해 2019년에는 정강이 부상까지 당하는 등 2013년 이래 처음으로 국가대표 자격을 잃기도 했다. 2020년 김도균[8] 코치를 만나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고 2021년 한국 신기록(종전 1997년 이진택 2.34m)을 새로 쓰면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현재 진행형인 2024년 전까지 3년 연속 자신의 시즌별 최고 기록이 2m 35cm를 넘고 있다.

4. 수상 기록

세계 선수권
은메달 2022 오리건 높이뛰기
세계 선수권(실내)
금메달 2022 베오그라드 높이뛰기
동메달 2024 글래스고 높이뛰기
다이아몬드 리그 파이널
우승 2023 오리건 높이뛰기
다이아몬드 리그
우승 2022 도하 높이뛰기
2위 2022 모나코 높이뛰기
2위 2023 도하 높이뛰기
2위 2023 피렌체 높이뛰기
아시안 게임
은메달 2018 자카르타·팔렘방 높이뛰기
은메달 2022 항저우 높이뛰기
아시아 선수권
금메달 2017 부바네스와르 높이뛰기
금메달 2023 방콕 높이뛰기
아시아 실내 선수권
은메달 2023 아스타나 높이뛰기
전국체육대회
금메달 2022 울산 높이뛰기
주니어 세계 선수권
금메달 2013 도네츠크 높이뛰기
동메달 2014 유진 높이뛰기

5. 여담

파일:우상혁경례.gif
파일:wooinssa.png

야구선수 문동주와도 친분이 있다. 문동주의 인스타그램 피드에 좋아요와 댓글을 눌렀다고 한다.

6. 역대 프로필 사진

국가대표
<nopad> 파일:2020우상혁.jpg <nopad> 파일:우상혁 항저우.jpg <nopad> 파일:우상혁 파리.jpg
2020 도쿄 올림픽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4 파리 올림픽

7. 둘러보기

'''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
<rowcolor=#fff> 마라톤 (4)
오주한 심종섭 안슬기 최경선
<rowcolor=#fff> 20km 경보 (1) 높이뛰기 (1) 장대높이뛰기 (1)
최병광 우상혁 진민섭

''' 파일:팀 코리아 워드마크.svg '''
<rowcolor=#fff> 경보 (1) 높이뛰기 (1) 세단뛰기 (1)
최병광 우상혁 김장우
여자 육상의 경우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국가대표로서는 남자 종목만 출전, 따라서 본 틀에는 남자 선수만을 정리한다.


[1] 네이버 프로필 기준 [2] 왼발 크기 기준. 교통사고로 인한 발 크기 비대칭으로 인해 오른발이 왼발보다 15mm 정도 더 작다. [3] 과거 교통사고로 인한 발 크기 비대칭으로 병역판정검사 4급을 받았으나 사회복무요원 등으로 대체 복무를 하지 않고 상무에 지원 후 자원해 입대했다. 사실 다른 곳에서 체계적인 훈련을 하기 쉽지 않은 육상 같은 종목은 대체 복무를 하는 것보다 상무에 입대할 수 있으면 하는 것이 무조건 이득이다. 각종 대회에 군인 신분인 것과 상관없이 출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회복무요원의 경우 겸직 금지 의무 등에 걸려 경기 출전을 하려면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다가 업무로 인해 훈련이 제한되는 반면 상무의 경우 애초 운동선수를 위한 목적으로 창설한 부대이다 보니 대회 출전에 아무런 제약이 없으며 본인 종목에 관한 훈련도 마음껏 할 수 있다. 군대라서 통제된 삶을 살아야 하는 건 단점이지만 어차피 상무에서 보는 선후임들도 사회에서 보게 될 운동계 선후배들이며 운동선수는 대부분 숙소 생활을 오래했기 때문에 적응하는 데 크게 지장이 없다. 전역 예정일 기사에 의하면 전역일과 다이아몬드 리그 경기 일정이 겹치는 바람에 전역 신고는 전화로 진행하기로 했다. 대면 전역 신고도 이 대회를 위한 출국 이전에 했으며 이 대회 예선에서는 군인 신분으로 파이널에 진출하면 전역자 신분으로 출전하는 특이한 이력을 갖게 될 뻔했으나 아쉽게도 이 대회에서는 파이널에는 진출하지 못하면서 군인 신분으로의 마지막 대회로만 남게 되었다. [4] 계약 기간은 2024년 12월까지로 2024 파리 올림픽이 포함되어 있다. [5] https://www.newsjesus.net/news/articleView.html?idxno=4688 [6] 2022년 동아시아인 현역 선수 중에서도 가장 독보적인 기록이다. 아시아 최고 기록은 2020년 도쿄 올림픽 공동 금메달리스트인 카타르의 무타즈 바르심이 2014년 세운 2.43m이지만 황인종 출신 선수의 역대 최고 기록은 한때 세계 신기록이었던 중국 주젠화의 2.39m다. [출처] 대한육상연맹 선수 이력 # (2024년 진행형 기록) [8] 1979년생으로 2013년까지 장대높이뛰기 선수였다. 2018 아시안 게임 여자 100H 금메달리스트인 정혜림의 남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우상혁 외에 장대높이뛰기 한국 신기록 보유자인 진민섭의 코치다. [9] 대개 높이뛰기는 신장에서 50cm를 더한 기록을 한계 기록으로 보기 때문에 본인의 신장 188cm에서 50cm을 더한 2.38m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아이디도 woo_238이다. [10] 이때부터 홀름이 우상혁을 주목하기 시작했으며, SNS로 대화도 나눴고 이제는 홀름도 우상혁의 경기 영상을 찾아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