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7:34

우량카이족

우량카이에서 넘어옴
동아시아인 · 북아시아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한국계
한민족 한국계 러시아인 한국계 일본인 조선족
중국 본토·타이완 섬
한족 객가 경파 고산족 기낙족
나시족 노족 덕앙족 독룡족 동족
둥샹족 모남족 모쒀족 묘족 무로족
바이족 보미족 보안족 비엣족 사족
수이족 아창족 여족 와족 요족
유고족 율속족 이족 일본계 대만인
일본계 중국인
좡족
징족 카이펑 유대인 태족 토가족 포랑족
하니족 후이족 흘로족
티베트
강족 살라르족 토족
만주·사할린
나나이족 네기달족 니브흐 다우르족 만주족
어웡키족 에벤족 오로치족 오르촌족 우데게족
울치족 윌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러시아계 중국인 시버족
일본 열도
야마토 민족 러시아계 일본인 류큐인 아이누
몽골
몽골인 우량카이족 차탕족
북아시아
러시아인 만시인 부랴트인 사모예드족 셀쿠프인
소요트 쇼르인 시베리아 타타르 알류트 알타이인
야쿠트인 유카기르 유픽 응가나산인 이텔멘족
중국계 러시아인 추반인 축치인 출름 칼미크인
케레크 케트족 코랴크인 토파 투바인
하카스인 한티인
※ 현존 민족만을 표기
※ 다른 지역·국가의 민족 둘러보기 }}}}}}}}}
깃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Uriankhai_(1921_variant).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Uriankhai_(1918-1921).svg.png
인구 26,654 명(2010년)
언어 오이라트어, 몽골어
종교 티베트 불교, 샤머니즘
Uriankhai People

1. 개요2. 역사 속 우량카이
2.1. 몽골 제국 시대2.2. 우량카이 투멘(만호)2.3. 타안위(朶顔衛) 올량합(兀良哈)
2.3.1. 조선에서의 오랑캐(兀良哈)
2.4. 탄누·우량카이2.5. 사하인
3. 현대4. 외부 링크5. 같이보기

1. 개요

우량카이는 우리말 오랑캐의 어원이 된 몽골계 부족들을 가리킨다.[1]

보통 한국인들은 오랑캐를 퉁구스계 건주여진과 같은 부족으로 알고 있지만 실상 뿌리부터가 전혀 다른 부족으로, 우량카이는 몽골계고 여진족은 퉁구스계다. 이러한 오해가 생긴 것은 조선에서 몽골 뿐만 아니라 여진족까지 싸잡아 오랑캐라 불렀기 때문이다.

우량카이는 삼림에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수많은 집단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아래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들.

2. 역사 속 우량카이

2.1. 몽골 제국 시대

《집사》(集史)의 <우량카트 부족지>에서는 우량카이를 북쪽의 숲에 사는 수렵민 우량카이족과 몽골화된 초원 지역에 진출한 유목민 우량카이족으로 양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우량카트 부족지>는 수렵민 우량카이족 염소 야크의 종류도 모르고, 목초지도 (펠트)천막의 주거도 모르며, 가죽 덮개를 하고 살아왔지만 우연히 자신들의 거주지를 헤매다가 양을 발견하게 되었고, 마침내 그 양이나 소의 생육 장소를 물색하던 중에 삼림 지대에서 초원으로 진출했다는 유목민 우량카이족의 근원 설화를 전하고 있다. 《집사》(集史)에서는 삼림 지대에 거주하는 전자의 '수렵민 우량카이족'을 숲의 우량카트라고 불렀다. 또 이 '숲의 우량카트'는 코리, 토마트, 키르기스 등과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고 한다. 몽골 제국 시대에 활약한 우량카이 부족 출신자로는 이른바 사준사구 젤메 수부타이 두 사람이 있었다.

2.2. 우량카이 투멘(만호)

일 칸국의 재상이었던 라시드 앗 딘이 저술한《집사》에 의하면 칭기즈 칸과 그 후손들이 묻힌 헨티 산맥의 금전지를 수호하는 자는 우량카이부의 아미르였는데, 이 역할은 대대로 계승되어 북원 시대에는
"주(칭기스 칸)의 황금의 관을 지키고, 또 큰 운명의 칸국인"
으로서 우량카이 투멘을 구성했다. 북원 시대의 "투멘 "은 서몽골계 오이라트 제국의 통일 및 와해와 같은 혼란을 겪으며, 새롭게 형성된 것으로 이전 시대의 부족과의 관계가 불분명한 것이 많지만 적어도 우량카이 투멘은 전대의 우량카이부와 직접 관계가 있다고 본다.

오랫동안 분열 상태에 있었던 몽골은 다얀 칸의 등장으로 다시 통일되었고, 다얀 칸은 휘하의 여러 집단을 여섯 투멘(6만호)으로 재편성했다. 여기서 우량카이 투멘은 차하르, 할하와 함께 좌익의 3만호를 구성했으며, 우익의 오르도스부와 대칭되었다. 다얀 칸은 그 어머니와 왕세자비가 우량카이부 출신의 인물로 우량카이와 대칸 사이에는 친밀한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다얀 칸의 뒤를 이은 보디 알락 칸은 우량카이와 관계가 없어 우량카이부의 입장은 변화하게 되었고, 마침내 우량카이는 반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우량카이는 마침내 보디 알락 칸과 알탄 칸에게 토멸되었다.

이들은 오늘날 몽골 헨티산맥 근처에서 살았다.

2.3. 타안위(朶顔衛) 올량합(兀良哈)

1389년 옷치긴 왕가의 군주인 아자스리에게 인솔되어 항복한 집단은 명나라에 의해 타안위, 태녕위, 복여위의 3위로 편제되어 우량카이 3위(올량합 삼위)로 총칭되었다. 그러나 3위 전체를 "우량카이"라고 칭하는 것은 명나라 측의 오해로, 실제 우량카이인으로 구성된 것은 타안위 뿐이었다.

우량카이 3위는 북원을 견제하려는 명나라에 협조하여 관직과 물자를 제공받았으며, 명나라와 조공-책봉 관계를 맺으면서 명나라의 통제 밖에 있었다. 3위는 북원 세력과 혼인 동맹을 맺으며, 이중적인 외교 노선을 취했고, 3위의 수령 임명과 작위의 계승 또한 스스로 결정하고, 추후 명나라에 통보하는 식이었다.

타안위는 3위 중 유일하게 멸망을 모면하고, 존속하면서 청나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들은 대부분 만리장성 이북, 대흥안령 산맥 이남에 살았다.

2.3.1. 조선에서의 오랑캐(兀良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랑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조선에서는 만주에 거주한 몽골계 3부를 명나라에서 '우량카이 3위'로 지칭했던 것의 영향을 받아 조선 북방의 이민족들을 몽땅 오랑캐라 불렀다. 그러나 조선과 주로 접촉했던 건 몽골계의 우량카이 3위와 무관한 퉁구스계의 여진족, 그 중에서도 가장 문명화가 덜 된 야인여진이었으며 그 중에도 특히 주로 두만강 유역에 거주한 왈개부에 해당하는 집단이었다. 물론 고려때부터 유목민족에 시달렸던 조선에서는 문명화가 됐든 말든 따로 구분하지 않고, 유목민족이면 몽땅 오랑캐라 불렀다. 이들을 명나라에서는 모린위로 불렀다. 청나라에서는 이들을 동해 3부라고 불렀으며, 여진 계통의 동족이란 건 인식하고 있었으나 문명화가 덜 됐다고 여겨 초기에 귀순한 자들을 제외하고는 아예 만주족에도 포함시키지 않았다.

2.4. 탄누·우량카이

현대의 투바 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도 烏梁海(우량카이)라고 불리며 청나라 시대에는 탄누·우량카이에 조직되고 있었다.

2.5. 사하인

오늘날 사하 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 역시 우량카이라고 불렸다.

3. 현대

몽골 헨티 산맥 부근에 우량카이 투멘의 후예들이 아직도 살고 있으며, 그 인구는 2010년 기준 26,654 명이다.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15637666641_9d46c2b93b_b.jpg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5675524392_8e8748e39b_b.jpg

파일:external/www.mongolia-attractions.com/mongolian-ethnicity-21597968.jpg

파일:external/skyetalk.files.wordpress.com/img_2988.jpg

4. 외부 링크

바이두 백과 兀良哈(오랑카이족) 항목에서 자세히 설명되어있으니 참고 바란다.

5. 같이보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엄밀히 따지면 우리말 "오랑캐"의 유래는 만주에 있던 우량카이 3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