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1:44:32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UNREAL II: THE AWAKENING
파일:Unreal 2.png
<colbgcolor=#251f1f><colcolor=white> 개발 레전드 엔터테인먼트
유통 아타리 | 인포그램즈 코리아[1]
플랫폼 Windows
ESD 미출시[2]
장르 FPS
출시 2003년 2월 3일
엔진 언리얼 엔진 2 v829 ~ v2001
한국어 지원 자막 한글화[3]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4]
해외 등급 파일:ESRB Mature.svg
1. 개요2. 개발3. 평가4. 스탠드얼론 멀티플레이 확장팩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eXpanded MultiPlayer5. 스페셜 에디션6. 2006년 재출시판

[clearfix]

1. 개요

에픽 게임즈 FPS 게임 언리얼 시리즈 중 싱글플레이어 위주의 게임으로, 에픽 게임즈에서 직접 개발하지 않고 레전드 엔터테인먼트에게 외주를 맡겨서 개발된 게임으로 2003년 2월 3일에 출시되었다. 에픽 게임즈는 이 게임이 개발되던 시점에 언리얼 워페어[5],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을 개발하는 중이었다. 언리얼 2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지만, 언리얼 시리즈의 첫 작품인 싱글플레이어 게임 언리얼에 등장한 스카(Skaarj)라고 불리는 외계종족이 등장하는 점과 언리얼 토너먼트에 등장한 리안드리(Liandri)라는 명칭[6]이 등장하는 점 외에는 배경, 캐릭터, 스토리 등 어떤 부분도 접점이 없으며 게임 방식과 무기 체계도 완전히 다른, 전작과 연관이 전혀 없는 게임이다.

2. 개발

리턴 투 나 팔리로 언리얼의 스토리를 마무리지었던 레전드 엔터테인먼트는 자신들이 언리얼의 세계관을 확장시키고 싶어했으며, 게임 개발 작업을 하며 언리얼 엔진 기술에도 매료되어, 언리얼의 싱글플레이 후속작을 직접 개발하기를 요청했다.

당시 에픽 게임즈는 언리얼 엔진과 언리얼 워페어 제작에 바빴던터라 싱글플레이 언리얼 후속작을 개발할 여력이 부족했는데, 에픽 게임즈는 레전드 엔터테인먼트가 언리얼 엔진을 활용하여 개발한 휠 오브 타임의 수준에 만족하여,레전드 엔터테인먼트가 언리얼 2를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수락했다.

에픽 게임즈는 엔진만 제공하고 언리얼 2 개발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레전드 엔터테인먼트가 단독으로 개발한 게임으로 볼 수 있다. 게임 배경에서도 스카 워리어 등 몇 가지 요소만 제외하면 전작 언리얼과는 전혀 상관이 없고, 무기 체계도 기존 언리얼과 언리얼 토너먼트가 전혀 연상되지 않는다.

언리얼 시리즈 자체가 세계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고 시리즈별로 평행세계를 달리고 있는 등 짜여지지 않은 설정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최소한 무기체계[7]만큼은 이 게임이 언리얼 시리즈다라는 느낌이 있는데 언리얼 2는 그마저도 전후로 나온 언리얼 시리즈와 전혀 연관이 없다.

3.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ffffff,#dddddd>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파일:Windows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unreal-ii-the-awakening/critic-reviews/?platform|
75
]]


[[https://www.metacritic.com/game/unreal-ii-the-awakening/user-reviews/?platform|
7.0
]]
파일:Xbox(2001)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unreal-ii-the-awakening/critic-reviews/?platform|
64
]]


[[https://www.metacritic.com/game/unreal-ii-the-awakening/user-reviews/?platform|
5.0
]]

2003년 2월 출시된 언리얼 2는 당시로서 상당히 우수하고 미려한 배경 그래픽을 선보였으며 거기에 어울리는 음악도 뛰어났다. 특히 불과 같은 파티클 효과는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

싱글플레이 캠페인의 초반부의 미션이나 후반부의 중력이 변화하는 등의 독특한 연출은 당시로서 꽤나 신선하고 훌륭한 연출이었으나 중반부의 지루한 플레이와 느릿느릿한 움직임, 맥 빠지는 타격감, 우주선에서 쓸데없이 길게 나오는 수 많은 대화와 브리핑 등 FPS로서의 기본기가 매우 부족했으며 멀티플레이도 없었기 때문에 대체로 평가가 좋지 못했다.

결국 언리얼 2의 상업적 부진으로 인해, 레전드 엔터테인먼트의 모회사인 아타리는 2004년 이 회사를 폐쇄시켰다.

4. 스탠드얼론 멀티플레이 확장팩 -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eXpanded MultiPlayer

스탠드얼론으로 실행되는 멀티플레이 확장팩 eXpanded MultiPlayer(줄여서 XMP)가 2003년 12월 10일 무료로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공개되었다.

다운로드는 무료지만, 설치 시 언리얼 2 정품 CD를 체크하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언리얼 2 정품 구매자들만 설치가 가능하다.

무료 공개 한달 후인 2004년 1월 14일 개발사 레전드 엔터테인먼트가 모회사 아타리에 의해 폐쇄되었다.

2004년 2월 10일 엑스박스로 발매된 언리얼 2에는 XMP가 기본으로 포함되어서 출시되었다. 엑스박스는 DVD를 매체로 사용하므로 1장의 DVD에 XMP까지 포함되어 있긴 하나, 언리얼 골드처럼 하나의 게임으로 합친건 아니고 싱글플레이어 언리얼 2와는 게림 폴더 자체가 완전히 구분되어 있고 별도로 실행된다.

5. 스페셜 에디션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스페셜 에디션
UNREAL II: THE AWAKENING SPECIAL EDITION
파일:Unreal 2 Special Edition.png
<colbgcolor=#251f1f><colcolor=white> 개발 레전드 엔터테인먼트
유통 아타리 | 에픽 게임즈[8] | 손오공[9]
플랫폼 Windows | Xbox
ESD GOG.com[10]
장르 FPS
출시 2003년 12월 9일
엔진 언리얼 엔진 2 v2001 (싱글)
언리얼 엔진 2 v2226 (XMP)
한국어 지원 자막 한글화[11]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12]
해외 등급 파일:ESRB Mature.svg
[clearfix]

2003년 12월 9일 무료 스탠드얼론 멀티플레이어 확장팩 XMP가 출시된 날짜에 패키지로도 PC 버전의 새로운 패키지다.

원래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은 CD 2장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스페셜 에디션은 CD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를 완료하면 게임이 설치된 폴더 내에 U2SP와 U2XMP라는 두개의 폴더가 생긴다.

U2SP 폴더 내에는 원래 싱글플레이 게임이 설치되어 있고 언리얼 II의 첫 번째 공식 패치이자 최종 패치인 v1403(언리얼 엔진 2 v2001) 버전이 적용되어 있다.

U2XMP 폴더 내에는 XMP가 설치되어 있고 XMP의 첫 번째 공식 패치이자 최종 패치인 v7710(언리얼 엔진 2 v2226) 버전이 적용되어 있다.

엑스박스 버전 언리얼 2도 같은 날 출시되었는데, 엑스박스 버전은 처음 출시되는 것이므로 스페셜 에디션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지 않지만 XMP가 같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스페셜 에디션이다. 엑스박스 버전은 매체로 DVD를 사용하므로 DVD 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HDD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DVD에서 직접 게임을 읽어들이는 구조다.

국내에도 스페셜 에디션이 언리얼 토너먼트 2004를 유통한 손오공에서 정식 출시됐으며, 기본 CD 3장과 언리얼 토너먼트 2004 데모 CD 1장이 추가로 더 들어서 총 4장의 CD가 들어 있다.

2008년 10월에 GOG에 출시되었다. 2008년 3월에 스팀에 먼저 출시된 건 스페셜 에디션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지 않으며, 언리얼 앤솔로지에 포함되었던 싱글플레이 게임만 있고, 게임 실행 시 스플래시 이미지와 인트로 화면의 아타리 로고 및 처음 시작할 때 우주선이 나오는 부분에서 아타리 문구가 삭제된 2006년 재출시판이지만, GOG에 출시된 버전은 스팀과 다르게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스페셜 에디션이라는 제목으로 출시했고 XMP가 포함되어 있으며, 아타리 로고와 아타리 문구가 그대로 남아있는 예전 버전 그대로다. 다만, 게임 및 언리얼 에디터 실행 시 나오는 스플래시 이미지 파일을 2006년 재출시판의 스플래시 이미지 파일들로 덮어 씌워 놓았다.

GOG판은 설치하면 singleplayer 폴더에 싱글플레이 게임이 설치되고 multiplayer 폴더에 XMP가 설치된다.

6. 2006년 재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2006년 재출시판)
UNREAL II: THE AWAKENING (RERELEASE 2006)
파일:Unreal Anthology Case.jpg
<colbgcolor=#251f1f><colcolor=white> 이미지는 언리얼 골드, 언리얼 토너먼트, 언리얼 2,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2006년 재출시판 합본 패키지인 언리얼 앤솔로지의 박스 사진이다.
개발 레전드 엔터테인먼트
유통 미드웨이[13] | 에픽 게임즈[14]
플랫폼 Windows
ESD Steam
장르 FPS
출시 2006년 10월 31일
엔진 언리얼 엔진 2 v2001
한국어 지원 미지원[15]
심의 등급 한국 미출시
해외 등급 파일:ESRB Mature.svg
[clearfix]

2006년 재출시판은 개별 패키지로는 출시하지 않았고, 2006년 10월 31일 미드웨이가 유통한 합본 패키지인 언리얼 앤솔로지에 포함되어 출시됐다.

2008년 3월에 스팀에 개별 제품으로 출시했다.

게임 실행 시 출력되는 13개의 스플래시 이미지에서 아타리 로고가 삭제되었고, 에픽 게임즈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로 변경되었다.
파일:Unreal 2 Splash0.png 파일:Unreal 2 Splash1.png 파일:Unreal 2 Splash2.png 파일:Unreal 2 Splash3.png 파일:Unreal 2 Splash4.png
파일:Unreal 2 Splash5.png 파일:Unreal 2 Splash6.png 파일:Unreal 2 Splash7.png 파일:Unreal 2 Splash8.png 파일:Unreal 2 Splash9.png
파일:Unreal 2 Splash10.png 파일:Unreal 2 Splash11.png 파일:Unreal 2 Splash12.png
최초 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의 시작 시 스플래시 이미지
좌측에 레전드 엔터테인먼트 로고, 가운데 에픽 게임즈 로고, 우측에 아타리 로고가 있다.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0.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1.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2.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3.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4.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5.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6.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7.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8.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9.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10.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11.png 파일:Unreal 2 Rerelease Splash12.png
2006년 재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의 시작 시 스플래시 이미지
우측에 있던 아티리 로고는 삭제되었고, 에픽 게임즈 로고는 2006년 당시 최신 로고 이미지로 변경되어 좌측에, 레전드 엔터테인먼트 로고는 동일한 이미지 그대로 우측에 있다.

언리얼 에디터 시작 시 스플래시 이미지에서도 에픽 게임즈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 이미지로 변경되었으며, 레전드 엔터테인먼트 로고는 삭제되었다.
파일:Unreal 2 Unreal Editor Splash.png 파일:Unreal 2 Rerelease Unreal Editor Splash.png
최초 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의 언리얼 에디터 시작 시 스플래시 이미지 2006년 재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의 언리얼 에디터 시작 시 스플래시 이미지

게임을 시작하면 유통사 및 개발사 로고가 나오는 인트로 화면에서 맨 처음에 나오는 아타리 로고가 삭제되었다. Maps 폴더에 있는 인트로 맵인 CS_Intro.un2 파일에서 아타리 로고 텍스처를 표기하지 않도록 수정했다.
파일:Unreal 2 CS_Intro.png 파일:Unreal 2 Rerelease 2006 CS_Intro.png
최초 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인트로
아타리 로고가 나온다.
2006년 재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인트로
아타리 로고가 나오는 부분에서 로고 이미지가 나오지 않는다.

새 게임을 처음 시작하면 화면 중앙에 나오는 Epic Games and Atari Presents라는 문구에서 and atari를 삭제하여 Epic Games Presents라는 문구로 수정했다. 해당 문구는 UIScript 폴더의 Titles.ui 파일에서 수정되었다.
파일:Unreal 2 Intro Present Text.png 파일:Unreal 2 Rerelease 2006 Present Text.png
최초 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 게임 시작 시 나오는 문구 2006년 재출시판 언리얼 II: 디 어웨이크닝의 게임 시작 시 나오는 문구
and Atari가 삭제되었다.

크레딧에서 나오는 문구 중 85번째 줄의 "Additional QA (Infogrames On-Site Testing Team)"가 "Additional QA"로, 182번째 줄의 "INFOGRAMES"가 "--"로, 280번째 줄의 "INFOGRAMES EUROPE"가 "EUROPE"로, 342번째 줄의 "INFOGRAMES STUDIOS ASIA"가 "ASIA"로, 346번째 줄의 "Infogrames Asia Pacific"가 "Asia Pacific"로, 355번째 줄의 "For Infogrames Japan KK"가 "For Japan KK"로 변경되었다. 단순히 Infogrames라는 단어를 제거한 것이라서 표기가 엉터리가 됐다. 해당 문구들은 UIScript 폴더의 Credits.ui 파일에서 수정되었다. 아타리가 이전에는 인포그램즈라는 브랜드를 사용했었는데, 언리얼 2 개발 초기에 아타리가 아직 인포그램즈라는 브랜드를 사용하던 시기에 크레딧 문구들을 먼저 만들어 놓고, 나중에 수정을 안해서 크레딧에서는 아타리 대신 인포그램즈로 표기됐던 것으로 보인다.


[1] 한국 [2] 스팀에 출시된 건 2006년 재출시판이며, GOG에 출시된 건 스페셜 에디션이다. [3] 유통사 인포그램즈 코리아에서 한글화 했다. [4] 2003년 국내 출시 당시 [5] 나중에 개발 취소 [6] 언리얼 토너먼트에서 리안드리는 회사 이름으로 등장하지만, 언리얼 2에서 리안드리는 광산 이름으로 등장한다(......). 그냥 명칭만 갖다 썼을 뿐, 별 관련 없는 것이다 [7] 쇼크 라이플, 플랙 캐논, 바이오 라이플, 다발 장전 및 나선형 또는 가로 발사가 가능한 로켓 런쳐, 미니건 [8] GOG 출시는 에픽 게임즈가 직접 유통 [9] 한국, 언리얼 2 첫 출시판은 인포그램즈 코리아에서 유통했으나, 스페셜 에디션은 언리얼 토너먼트 2004를 국내 유통한 손오공에서 유통했다. [10] GOG에 출시된 건 스팀과 다르게, 언리얼 앤솔로지에 포함된 2006년 재출시판이 아닌, 이 스페셜 에디션 버전이다. 여기에 2006년 재출시판의 시작 시 스플래시 이미지만 덮어 씌웠다. [11] 기존에 인포그램즈 코리아에서 한글화한 자막 파일들은 게임 패치 전인 v829에 적용된 버전이고, v2001로 패치하면 일부분은 싱크가 맞지 않게 되거나, 일부분은 한글 자체가 깨지는 경우가 생긴다. 손오공에서 스페셜 에디션을 유통하게 되면서 v2001에 적용되는 한글 자막 파일을 새로 만들었는데, 기존에 한글화된 자막 파일을 수정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다시 번역해서 새로 만든 것이다. 덕분에 이전보다 번역의 상태가 훨씬 낫다. [12] 2003년 국내 출시 당시 [13] 언리얼 앤솔로지 합본 패키지를 통해 유통 [14] 스팀 출시는 에픽 게임즈가 직접 유통 [15] 한글화는 인포그램즈 코리아와 손오공에서 담당한 것이기 때문에, 국내에는 출시하지 않은 2006년 재출시판에는 한글 자막 파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