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0><colcolor=#fff> 쓰다 소키치 [ruby(津, ruby=つ)][ruby(田, ruby=だ)] [ruby(左, ruby=そう)][ruby(右, ruby=き)][ruby(吉, ruby=ち)]|Sokichi Tsuda |
|
|
|
출생 | 1873년 10월 3일 |
기후현 미노카모시 시모요네다정 | |
사망 | 1961년 12월 4일 (향년 88세) |
도쿄도 무사시노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도쿄전문학교 (방어정치학 / 졸업)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역사학자이며 식민사학자이다. 국내에서는 임나일본부설 옹호론자로 알려져 있다.2. 생애
1873년, 현재의 기후현에서 태어났다.1891년 도쿄전문학교(現 와세다대학) 방어정치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후 야마타이국 규슈설을 처음 제기한 역사학자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지도를 받았다. 1901년 『신찬동양사』를 간행했다. 1908년까지 치바중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다.
1908년부터 남만주철도(만철) 도쿄지사 촉탁으로 만선지리역사조사실 연구원이 된다. 연구장은 지도교수였던 시라토리였다. 그 외에 만철조사부의 만선역사지리조사실에는 만선사관의 주창자인 이나바 이와키치·이케우치 히로시 등도 있었다. 여기서 그는 『발해고』, 『물길고』 등 고대 동양사를 연구한다. 그는 여기서 1914년 해당 기관이 도쿄제국대학에 이관될때까지 근무한다. 1913년에는 이와나미 서점에서 『신대[1]사의 새로운 연구』를 간행했다.
1917년 『문학에 나타난 다가오는 우리 국민사상 연구』를 간행, 1921년까지 속간했다. 1918년 와세다대학 강사로 취임, 동양사와 동양철학을 가르쳤다. 이듬해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새로운 연구』를 발표했다. 1920년(다이쇼 9년) 와세다대학 문학부 교수로 임용된다.
1924년 51세에 『신대사의 연구』를 발표, 전저들과 마찬가지로 진무 천황까지의 신화시대 역사를 연구대상으로 사료비판을 가했다.
1927년 『도가의 사상과 그 개전』, 1930년 『일본상대사연구』, 1933년 『상대 일본의 사회 및 사상』, 1935년 『좌전의 사상사적 연구』, 1937년 『지나사상과 일본』, 1938년 『유교의 실천도덕』을 간행하며 왕성하게 집필활동을 했다.
1939년 도쿄제대 법학부 동양정치사상사 강사를 겸임했다.
이렇듯 그는 지금까지 일본서기, 고사기에 관해 저술한 저서에서 일본 제국 황실의 혈통의 기원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으며, '15대 오진 천황 이전은 역사적 사실로서의 가치가 없다'는 기준을 세웠다.[2] 그는 이 시대의 역사에 대해 일본 황실이 백성을 통치하는 정당성을 마련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으로 지어낸 신화라고 주장했으며, 또한 같은 논리에서 겐조 덴노와 닌켄 덴노의 이야기도 무용담의 하나일뿐 실제 역사로서의 가치가 없다고, 또 그 등장인물인 세이네이 덴노와 부레쓰 덴노도 실존인물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추가로, 닌토쿠 덴노의 기록들은 중국 유교사상을 기반으로 '이상적인 성군'으로 그리기 위해 만들어낸 기록이라고까지 주장하기도 했다.
특히 1939년 쇼토쿠 태자에 대한 기록을 교차검증하고 그의 실존 여부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자, 당시 일제의 미노다 무네키를 비롯한 여러 극우 인사들은 그가 허무주의 테제를 주장한다며 쓰다를 공격했고, 1940년에 기소됨과 동시에 그의 저서 중 『고사기 및 일본서기의 연구』, 『신대사의 연구』, 『일본상대사연구』, 『상대 일본의 사회 및 사상』 금지되었다. 2년 뒤인 1942년에 징역 3개월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 이에 항소했으나 기각되었다. 이를 쓰다 사건이라 한다.
전후에도 학문활동을 이어나갔는데, 정치적으로는 반공주의자였으며 천황제에 대해서는 천황제 유지론자로서 입헌군주제를 주장했다. 공산주의를 얼마나 싫어했는지, 사적 유물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느냐는 질문에 사적 유물론은 역사학이 아니다고 답변했을 정도였다.
기경량 등 신진학자들 중에서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를 동시에 비판 했기 때문에 식민학자지만 꽤 양심적인 학자였고 과학적 사료비판 방식을 통해서 연구에 매진 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최근에는 일본서기의 천손강림의 신화에서 천황계의 한반도와 도래인 등의 연관성을 부정하기 위해 나온 학설이라는 주장이 주목 받고 있다.[출처1] 실제로 쓰다 소키치는 일본서기의 진구황후 삼한정벌에 대해 “오랜기간의 사실이 잠재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단편적인 사실일 것이다”라며 조심스럽게 긍정하고 있다. 정확히는, 진구황후의 존재는 부정했지만 신라 정벌은 긍정했다. 그는 광개토대왕릉비에서 여전히 논란이 되는 신묘년 기사를 근거로 4세기 후반 즈음에 일본이 신라를 정벌했다고 주장했다.[출처2]
또한 쓰다 소키치는 유교와 중국을 혐오하는 탈아론자 였으며 이러한 시각에서 일본 사상사에 있어서 중국 사상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고 일본의 독자성을 강조했다.[5] 또한 인종적인 편견이 가득한 인물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그의 일본서기 천손신화 비평은 “ 대화(大和)민족은 특별하다', '다른 아시안들과는 인종적으로 다르다'라는 인식이 기저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출처1][출처3]
또한 쓰다가 천황계의 혈통에 대해 통째로 신화로 치부한 학설은 외려 역설적으로 만세일계로 표상되는 천황가에 대해 “성역화”을 만들었고 이러한 기조는 황국사관에 부합한다는 시선도 존재하며 전후 쓰다의 발언과도 일관성이 있다. 그는 전후 쓰다 사건에 대해 자신이 탄압당한 것이 아니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현대 상고시대 일본 연구의 기준을 처음 제시한 역사가이기도 하다. 오진 덴노 이전의 기록은 사료로서 가치가 없거나 떨어진다는 것, 숭신 천황이 첫 실존 천황이라는 일본학계의 잠정적 통설[8], 부레쓰 덴노의 잔학행위에 대한 기록은 부자연스럽가는 것, 세이네이 덴노가 가상인물이라는 것 등 모두 쓰다가 처음 제시한 것이기 때문이다.
3. 관련 문서
[1]
일본서기, 고사기의 시대구분 상의 신대를 의미한다
[2]
이렇게 어느 군주 이전은 믿을 수 없다는 식의 태도는 한국 역사 연구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출처1]
이석원 ( Seok Won Lee ). "특집 : 국민사상과 제국 -1930년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의 중국,아시아론-." 人文科學 0.54 (2014): 123-158.
[출처2]
김성현,and 정상우. "쓰다 소키치는 고대 일본의 한반도 정벌을 통해 어떠한 歷史像을 그려냈는가." 史學硏究 -.145 (2022): 253-294.
[5]
이는 닌토쿠 덴노에 대한 기사들이 중국색이 첨가되었다는 비판이나 아마테라스가 니니기에게 내린 천양무궁의 신칙 역시 중국식 색채가 들어갔다는 비판에서 잘 알수 있다
[출처1]
[출처3]
이석원 ( Seok Won Lee ). "특집 : 국민사상과 제국 -1930년대 쓰다 소키치(津田左右吉)의 중국,아시아론-." 人文科學 0.54 (2014): 123-158.
[8]
물론 가상인물이라는 설도 만만치 않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