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17:11:14

신안군/교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신안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교통체계
<colbgcolor=#0d69ab> 도로 국도 2번 국도, 24번 국도, 77번 국도
지방도 80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신안군 농어촌버스, 지도여객자동차터미널, 암태남강환승정류장
해운 연안항 대흑산도항 외 2개소
어항 가거도항 외 214개소
전라남도의 교통

1. 개요2. 도로3. 항공4. 버스
4.1. 농어촌버스4.2. 시외버스
5. 여객선6. 항구.어항

[clearfix]

1. 개요

여러 개의 으로 이루어진 지역이다 보니 현재 고속도로는 없으며, 당연히 철도도 없다. 동쪽에 위치한 진도군도 국도라곤 18번 국도뿐이라 똑같은 상황.

2. 도로

현재 연륙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흑산면을 제외한 13읍면중 7개가 연륙됐다. 연륙교와 연도교 건설 현황은 다음과 같다. 위의 두 지역끼리는 서로 연결되지 않아 무안군을 거쳐야 한다. 한편 아래 읍면은 서로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나 연륙되지 않았다.
국도로는 2번 국도, 24번 국도, 77번 국도가 지나가며, 국도는 아니지만 신안군에서 핵심 간선을 맡고 있는 지방도로 805번 지방도가 있다. 825번 지방도도 있으나 현재는 유명무실한 상태. 인구가 적은 동네인 만큼 내륙으로 나가는 김대중대교, 압해대교를 제외한 전 구간이 왕복 2차선이다. 압해대교는 압해읍 방향으로 더 이어지지 않고 신장교차로에서 끊겨있다. 추후 운남 방면으로 복룡까지 77번 국도가 왕복 4차선으로 개통 예정이며 현재 공사 중에 있다.

군 북부 지도읍의 본섬은 끊임없는 간척의 결과로 1980년대 초에 이미 육지(무안 해제반도)에 완전히 붙어버렸다. 당연히 이곳 지도를 제외한 신안군의 다른 섬들로는 오로지 뱃길을 통해서만 왕래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그러다 2008년에 압해읍 본섬에서 목포로 가는 다리가, 2010년에는 지도읍에서 서남쪽 증도면의 본섬으로 통하는 다리가 놓이면서 최소한 읍소재지만큼은 모두 육지와 육로로 교통할 수 있게 되었다. 압해대교 완공 전에는 목포 북항에서 신장리 압해도선착장까지 배가 다녔는데, 바다라고 하기도 뭐할 정도의 좁은 물길을 사이에 두고 있어서 배가 매우 자주 다녔다고 한다. 신안군청이 목포에서 압해도로 옮겨온 직후인 2013년에는 압해도 북쪽에 김대중대교가 추가로 놓였고, 압해읍은 남쪽의 목포와 북쪽의 무안, 양쪽으로 도로교통망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군 중부의 북에서 남으로 뻗은 자은면-암태면-팔금면-안좌면 이렇게 4개의 면소재지는 이미 1990년대부터 다리를 하나하나 짓기 시작해 저희들끼리는 모두 연결된 상태였고, 2019년 4월 압해읍~암태면 간 천사대교가 완공되어 4개 면이 동시에 연륙되었다.

2021년 3월 19일 임자대교가 개통되며 임자도가 연륙되었다. 임자1대교, 임자2대교 2개로 구성된 이 다리는 중간의 작은 섬 수도를 거쳐 지도읍- 임자면을 연결한다. # 현재 임자면에서는 광주, 목포, 서울로 가는 시외버스가 운행중이다. 세 노선 모두 임자대광이 종점이다.

2021년 3월 29일 암태도와 추포도를 잇는 추포대교가 개통하였다. 수요가 수요인지라 저비용으로 낮게 건설되었다. #

2021년 자라도~장산도를 잇는 대교가 입찰되어 2026년 완공 예정이다 # 그리고 비금도와 추포도의 연도교는 2022년 연말 이후 착공 예정이며 2030년 완공 예정이다. # 이를 포함하여 도초도, 상태도, 장산도, 대야도, 비금도를 잇는 7개에 다리만 건설되면 도저히 다리로 연결할 수 없는 흑산면 일대를 제외한 신안군의 큰 섬들이 전부 연결된다. 2017년 기준 기사

이런 식으로 2번 국도, 24번 국도, 77번 국도, 805번 지방도를 주축으로 해 흑산면을 제외한 모든 면소재지급 섬을 연결할 예정이다. 사실 이 사업은 김영삼 정부 때부터 추진해 온 사업인데, 신안군 자체가 워낙 돈이 잘 돌지 않는 동네다 보니... 공사에 들어간 교량들도 부실 공사를 면치 못하고 있다.

3. 항공

흑산도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유명 관광지인 흑산면에 산을 깎아 만든 흑산공항이 들어설 예정이다. 2023년 1월 31일에 동년 11월 착공이 기정사실화되어 관광객 유치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참고.

4. 버스

4.1. 농어촌버스

신안군 농어촌버스의 경우, 압해도에는 목포시 시내버스( 130)가 들어오며, 목포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태원여객 유진운수가 관내 유일의 민영 버스 업체인 신안여객과 함께 공동배차 방식으로 운행한다. 단 150번은 너무 수익이 안 나와서 목포시 회사인 태원여객, 유진운수는 철수하고 신안여객 차량만 운행중이다.

또한 신안군이 직접 운영하는 공영버스인 신안군 공영버스에서 1004번, 2004번, 3004번이 있다. 이 셋 노선은 목포 - 자은(1004번)과 목포 - 안좌(2004번) 목포 - 임자(3004번)까지 운행한다. 무안군과 완벽히 연륙되어 있는 지도읍에는 아주 가끔 무안교통 차량이 들어온다

또한 전국 최초로 완전공영제를 실시한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두 개의 노선(130, 150번)을 제외하면 모두 신안군청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공영버스이다. 사실상 모든 노선이 공영제로 운영되는 셈.

4.2. 시외버스

육지와 연결된 압해, 지도, 증도, 암태, 임자에서는 금호고속 시외버스를 타고 광주, 목포, 무안 등지로 나갈 수 있으며, 지도읍 읍내리의 지도여객자동차터미널에서는 서울 시외버스도 이용할 수 있고, 함평, 나주행 버스 및 학교행 버스, 다시행 버스도 이용할 수 있다. 본래는 인터넷 예약이 센트럴 출발편만 됐는데, 현재는 지도읍 출발편도 코버스에서 예약도 가능하다. 또한 시외버스는 금호고속이 단독운행한다. 암태 남강여객터미널에서는 광주행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버스터미널은 2군데밖에 없다( 지도여객자동차터미널, 암태남강환승정류장). 버스터미널은 아니지만 시외버스를 탈 수 있는 정류장은 다음과 같다.
2024년 3월 5일에 금호고속에서 운행하던 증도-광주, 증도-목포 노선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5. 여객선

육지와 연결되지 않은 섬들의 경우 대부분 목포항의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여객선을 운항하고 있다. 목포 북항이나 압해도 송공항, 무안 신월항에서 출발하는 편도 있다. 대부분 쾌속선이 아닌 일반 철부선이라 소요시간이 육상 교통에 비해 심각하게 길다. 목포항에서 그나마 가까운 편인 장산도가 1시간 넘게 걸리는데, 정작 운항 거리는 약 27km. 이 거리의 2배 정도가 되는 광주 - 보성이 겨우 40분밖에 안 걸리는 데다가 110km가 넘는 정읍역 - 목포역도 기껏해야 1시간 30분이 걸린다는 점을 생각하면 매우 느린편이다. 만약 목적지가 흑산도라면, 멀미가 심한 사람에게는 상당히 힘들 수 있다. 압해도 송공항에서 뉴드림이라는 카페리선이 운항하고 있는데 배의 크기도 크고 운항시간도 목포발보다는 짧아 시간을 조금이나마 단축 시킬 수 있다. 흑산도 노선은 쾌속선이 있어서 다행히도 2시간 정도면 간다.

거기다가 섬에 상륙해서는 당연히 육로를 이용해야 하므로 자동으로 환승 2회 추가. 자주 다니지도 않아서 배 시간 놓치면 말 그대로 망한다. 그리고 여객선도 엄연한 대중교통이건만 가보고 싶은 섬이라는 발매 전산망 자체가 주요 여객선터미널 위주로만 되어 있어 이용객들이 운항정보를 확인하거나 승선권을 구매하는 데에 불편하며, 교통동호인마저 배를 탐구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교통동호인들이 알아내는 정보도 찾기가 어렵다.

그리고 또 하나의 문제로, 운임이 심각하게 비싸다. 흑산도쯤 가면 3만 7천 원을 돌파하는데, 이 정도 돈이면 목포에서 서울도 갈 수 있겠다. 도서지역 주민에게는 엄청 할인해 주는데, 예를 들면 문제의 흑산도 노선은 주민 운임이 단돈 6천 원이다. 수송단가 때문에 어쩔 수 없겠지만 육상교통보다 비싸다는 사실은 변치 않는다. 이렇게 심각하게 떨어지는 교통 편의성은 지역의 낙후와 폐쇄성으로 인한 각종 문제들을 일으키는 데 일조하였다. 또한 신안군 농어촌버스인 1004번, 2004번, 3004번의 경우 일반요금이 목포 - 신안 구간 탑승시 3,000원이고, 군민한테는 버스 요금을 1,000원 할인해준다. 게다가 3004번 기준 군민이 공영버스 카드를 쓰면 무료다. 그러나 일반요금을 인하하려는 계획이 없다고 한다.

다만 위의 서술이 마치 신안군 지자체 차원에서 외지인들에게만 부당한 요금을 부담하는 듯한 인상을 주는데 일단 해상여객운송 비용은 일반적으로 비싼 편이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도서지역 인구유출을 줄이는 여러가지 정책 차원에서 2000년대 중반부터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여객선 운임 할인 정책을 실시해 왔다.[1] 또한 지역 내 주민들에게만 혜택을 주는 것은 다른 지자체에도 흔하게 있는 일인데다가, 백원택시 등의 여러가지 교통혜택도 대부분 해당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에 혜택이 간다. 해당 정책을 무조건 비판적으로 서술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2022년 6월 24일 오전 11시쯤 신안군 공무원 15명이 여객선을 10여분 지연시킨데 이어 출발한 배를 회항해서 승선하여, 갑질 논란이 있었다.또한 배에 타기 위해서는 신분증 확인과 함께 승선권을 구입해야 하지만 이마저도 생략한 채 무임승차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배 돌려…" 행사장 늦는다며 출발한 여객선 회항시킨 공무원들

6. 항구.어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동해안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서해안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남해안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제주도 제주항 · 서귀포항
연안항
동해안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서해안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남해안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제주도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연안항 : 대흑산도항, 홍도항, 송도항 3개소
국가어항 : 가거도항, 우이도항, 원평항, 전장포항 4개소
지방어항 : 검산항, 다수항, 만재항, 사리항, 소우이도항, 송도항, 수대항, 심대항, 영산항, 재원항, 추포항, 하태항, 화도항 13개소

소규모어항
압해읍 : 가란항, 가룡항, 고이1항, 광립항, 기섬항, 도선장항, 마산항, 반월항, 복룡항, 송공1항, 송공2항, 수락1항, 수락2항, 수락3항, 숭의항, 신장항, 연막항, 우간항, 조천항, 진번항, 청석항, 칠동항, 텃골항, 학교항 24개소

지도읍 : 강변항, 당말항, 북촌항, 선도항, 어의항, 읍내항(섬), 읍내항(육지), 자동항, 자동항항(섬), 점암항(섬), 점암항(육지), 지신개항, 참도항(섬), 참도항항(육지), 탑선항, 포작항, 하탑항 17개소

도초면 : 나리고지항, 돈목항, 동소우이항, 매실항, 성촌항, 소신항, 시목항, 언감포항, 조진항, 죽도항, 죽련항, 한산항. 12개소

비금면 : 가산항, 가어지항, 관청동항, 내포항, 당두항, 수대항, 수치항, 신창항 8개소

신의면 : 고사도항, 구만항, 굴암항, 기도항, 기동항, 납닥항, 노은항, 당두항, 동면항, 모룡항, 상동항, 신촌항, 평사도항, 황성항, 흠밖골항 15개소

안좌면 : 계림항, 구대항, 금산항, 내호항, 두리항, 마진항, 박지항, 반월항, 복호항, 부소항, 북지항, 사치항, 앞너리항, 오동항, 우목항, 읍동항, 자라1항, 자라2항, 자라어민항, 재섬항, 진번항, 퇴촌항, 해달피항 23개소

암태면 : 남강항, 당사항, 목도항, 벗섬항, 북강항, 생낌항, 세구미항, 소시리항, 송곡항, 오도항, 오상항, 익금항, 중흥항, 진작항, 초란항 15개소

임자면 : 대머리항, 목섬항, 삼두항항, 수도항, 신명항, 진리항, 하우항, 현기미항 8개소

자은면 : 고교항, 남진항, 사월포항, 욕지항, 한운항 5개소

장산면 : 마진항, 막금항, 백야항, 북강항, 비소항, 사근항, 솔목항, 앤두항, 율도항, 축강항, 호피항, 활목항 12개소

증도면 : 광암항, 나릿구지항, 대기점항, 버지항, 병풍항, 보기항, 불치항, 소기점항, 소악항, 오산항, 오산뒤항, 유지항 12개소

팔금면 : 거문항, 고산항, 뛰섬항, 매도항, 백계항, 북진항, 원산항 7개소

하의면 : 개도항, 거북바위항, 능산항, 대당두항, 대야도항, 딴전월항, 문병도항, 봉도항, 세구미항, 소당두항, 소포항, 신도항, 역구미항, 옥도항, 웅곡항, 장병도항, 장재도항, 피섬항 18개소

흑산면 : 가거2항, 가거3항, 곤촌항, 다물도항, 대목항, 도목항, 마리항, 비리항, 상태도항, 소사항, 수리항, 예리2항, 오리뒤항, 오리항, 읍동항, 장도항, 중태도항, 진리항, 천촌항, 정촌항, 홍도1항, 홍도2항 22개소

소규모어항 총계 : 198개소

총항만.어항수 : 219개소


[1] 신안군처럼 재정자립도가 열악한 지자체가 단독으로 행사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4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4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