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06:31:39

스콜피온 킹 2 : 전사의 부활

파일:미이라 시리즈 로고.png
<colbgcolor=#000000><colcolor=#fab737> 본편 미이라 · 미이라 2 · 미이라 3: 황제의 무덤
스핀오프 스콜피온 킹 · 스콜피온 킹 2
미디어 믹스 미라

스콜피온 킹 2 : 전사의 부활 (2008)
The Scorpion King 2: Rise of a Warrior
파일:Scolpionking2_poster.jpg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ab737,#fab737> 장르 모험, 판타지, 액션
감독 러셀 멀케이[1]
각본 랜달 맥코믹
스티븐 소머즈[2]
제작 숀 대니얼
제임스 잭스
주연 마이클 코폰
캐런 데이비드
사이먼 쿼터맨
톰 우
랜디 커투어
촬영 글린 스피컬트
편집 존 길버트
음악 클라우스 바델트[3]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유니버설 스튜디오 홈 엔터테인먼트
파일:독일 국기.svg 아폴로무비 베텔리궁스[4]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필름 아프리카 월드와이드[5]
출시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8월 19일
상영 시간 109분
촬영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익 $12,115,154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
4.1. 주역4.2. 마테유스의 가족4.3. 아카드인4.4. 일리리아 용병단4.5. 초월적인 존재
5. 평가6. 기타

[clearfix]

1. 개요

영화 미이라 시리즈 스핀오프 작품. 스콜피온 킹 1편 프리퀄에 해당한다. 극장 개봉이 아닌 비디오로 출시되었다. 미국, 독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합작 영화이기도 하다.

2. 예고편


3. 시놉시스

최강의 왕의 경호병 블랙 스콜피온 중에서도 최고의 전사로 불리는 아서는 아들 마다야스가 자신의 뒤를 이어 블랙 스콜피온이 되려하자 그를 말린다. 아버지의 반대를 무릅쓰고 스콜피온을 뽑는 대회에 나가게 되고 그곳에서 아서는 그를 질투하고 있던 사곤 장군의 계략으로 죽음을 당하게 된다. 어린 마다야스는 그러한 아버지의 죽음을 본 후 사곤장군에게 복수를 하려는 일념으로 스콜피온에 들어가 6년동안 훈련을 받게 된다. 한편 함무라비 왕을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오르게 된 사곤은 언더월드의 지배자이며 전쟁의 신인 아스타르테에게 흑마력을 얻게 된다. 그러한 사곤을 제압할수 있는것은 신비의 힘을 가지고 있는 검 '다모클레스'뿐이다. 마다야스 일행는 검을 찾아 이집트로 떠나게 되는데...
― TMDB 영화 소개

4. 등장인물

4.1. 주역

4.2. 마테유스의 가족

4.3. 아카드인

4.4. 일리리아 용병단

일리리아 출신이며 일리리아 인으로 구성되었다. 용병단은 히타이트의 군대와 싸울 정도로 용맹했으나 작중 시점에서는 겨우 5명만 살아남아 포로가 되었고 크노소스에 있는 미궁 감옥에 수감된 상태였다. 마테유스 및 라일라의 도움으로 미궁을 빠져나온 용병단은 그 은혜를 갚기 위해 지하세계 여행에 동행했으나 전멸하고 말았다.

* 폴룩스 (안드레아스 비스니에브스키 扮)
일리리아 용병단의 대장. 과거 히타이트 군대와의 전투에서 마테유스의 아버지인 아슈르에게 목숨을 빚진 적이 있었다. 은혜도 갚고 겸사겸사 재물도 얻을 겸, 자신을 따르는 용병들과 함께 지하세계로 갔으나 망자의 늪에서 부하들을 거의 잃었고 결국 분노해 아리를 죽이려다가 아리가 가리킨 값비싼 루비 반지에 마음이 쏠려 시간을 지체했다가 결국 제 때 도착하지 못해 돌로 변하고 말았다.

4.5. 초월적인 존재

5. 평가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0% 관객 점수 18%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0 / 5.0 관람객 별점 1.5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00000><tablebordercolor=#000000,#FFFFFF><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Filmarks 로고.svg ||
별점 2.5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 별점 / 5.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47%

6. 기타



[1] 호주 출신의 감독으로 버글스의 히트곡인 Video Killed the Radio Star의 뮤직비디오를 만들기도 했으며 영화로서의 대표작으로는 하이랜더, 레지던트 이블 3: 인류의 멸망 등이 있다. [2] 캐릭터 구상을 맡았으나 크레딧에는 이름이 올라가 있지 않다. [3] 독일 출신의 작곡가 겸 프로듀서이며 영화음악 편곡가이다. 그가 참여한 작업 중 가장 유명한 게 바로 캐리비안의 해적: 블랙 펄의 저주이다. [4] 독일의 영화 제작 및 투자 회사다. [5] 남아프리카공화국에 기반을 둔 영화 및 TV 서비스 회사다. [아역] [7] 자신과 동명이인인 아리스토파네스를 무려 '삼류작가'라고 디스한다. 물론 아리라는 배역은 실제로 괴짜였던 아리스토파네스에서 모티브를 많이 따왔다. [8] 광동어를 사용했고 일행 중에선 아리만이 유일하게 광동어를 알아듣고 사용할 줄 알았다. [9] 이 때 곡예사라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하였다. [10] 이 때의 연출이 상당히 거지같은(...) 걸로 유명한데 CG를 넣을 비용이 없었는지 거대 전갈로써의 모습은 얼마 등장하지 않고 마테유스가 휘두르는 다모클레스의 검에 배를 찔리고는 그대로 죽었다. [11] 흑전갈대가 되면 무자비해져야 하는데다 손에 피를 묻히고 살아야 하며 온갖 더러운 일을 도맡아 해왔기 때문이었다. [12] 물론 진짜가 아니라 산 자를 끌어들이려는 늪의 수작이었다. [13] 스콜피온 킹 1편에서 마테유스에 의해 구출되었으나 나중에 멤논에게 붙잡혀 살해 당하는 이복동생이다. 배우는 브랜즈컴 리치먼드. [14] 영화 스콜피온 킹을 기반으로 한 비디오 게임 「스콜피온 킹: 아카드 인의 부상(The Scorpion King: Rise of the Akkadian)」에서 등장하는 내용이다. [15] 사르곤은 전사이자 마법사였기 때문에 자신이 쏘는 화살에 추적 주문을 걸었다. [16] 정황상 함무라비의 자손이 아닌 사르곤에게 제위가 넘어간 것으로 보아 아슈르처럼 사르곤 손에 살해 당했을 가능성이 높다. [17] 오늘날의 프랑스. [18] 실제로 수메르 신화에서 저승을 관장하는 여신은 에레시키갈이며 아스타르테(이슈타르)는 에레시키갈이 가진 힘을 빼앗기 위해 저승에 갔다가 역으로 억류되었고 자신의 안위는 신경도 안 쓰는 남편 탐무즈를 자기 대신 저승으로 보내 돌아온 적이 있었다. [19] 일리리아 용병 중 하나가 "네 엄마는 암소라며?" 라고 패드립을 치는데 미노타우로스는 아빠가 황소이고 엄마는 미노스의 아내인 파시파에다. [20] 물론 일화의 검은 스파르타의 참주인 '디오니시오스 1세'의 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