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08:01:19

세종대왕릉역

세종대왕릉역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판교 방면
부 발
← 8.3 ㎞
경강선
(K419)
여주 방면
여 주
5.4 ㎞ →
역명 표기
경강선 세종대왕릉
Sejongdaewangneung
世宗大王陵 / [ruby(世宗大王陵, ruby=セジョンデワンヌン)]
경강선
주소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양화로 877 (신지리 275)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 초월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 경기광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경강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강선 2016년 9월 24일
경강선
역사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판교 방면
부 발
← 8.3 ㎞
경강선
세종대왕릉
여주 방면
여 주
5.4 ㎞ →
파일:세종대왕릉역.jpg
역 전경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세종대왕릉역 스탬프.jpg
세종대왕릉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철도역, 한글을 입다.
세종대왕릉역은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에 위치한 역으로 2016년 경강선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역명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약 3km 정도 거리에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능, 영릉과 제17대 임금인 효종과 인선왕후의 쌍릉이 위치해있다. 때문에 같은 해 예능프로그램 <1박2일>에서 한글날을 맞아 세종대왕릉역을 이용하는 모습이 방영되기도 하였다. 지역의 관문으로 'gate'의 이미지를 형상화, 광장에서 지입과 정면성을 확보하기 위한 형태로 설계되었다. 역사 외부가 한글 자음 모음 타일로 장식되어 있으며 내부에도 벽면에 훈민정음이 전시되어있다. 역을 나서면 영릉(세종대왕릉)을 걸어갈 수 있는 길을 보여주는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한글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알리는 동시에 우리의 역사를 찾아가는 여행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강선 K419번.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양화로 877 (신지리 275) 소재.

2. 역 정보

인근에 세종대왕 소헌왕후가 묻힌 영릉이 있어 이하의 과정을 거쳐 현재의 역명으로 제정되었다.

공사 중일 때의 임시 역명은 능서역이었고, 마침 능서면이 '세종대왕면'으로 개칭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맞물려 이 역의 이름을 '세종대왕역'으로 정하자는 의견이 여주시민들 사이에서 제시되었다. 그리고 2015년 7월 27일부터 2015년 8월 5일까지 여주시에서 시행한 역명 설문조사에서 1위: 세종대왕역, 2위: 능서역, 3위: 세종대왕릉역, 4위: 영릉역, 5위: 세종역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외에도 훈민정음역, 말마당역, 신지역 등의 역명 후보가 올라와 있었다.

그러나 역명은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 고시 2016-223호에서 '영릉역'으로 결정되었다. '세종대왕역'이 역명이 되지 않자 능서면 주민들은 다수 반발했고 능서면 내에 시민들의 반발에 대한 현수막이 곳곳에 걸리기도 했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세종대왕역으로 변경 안 해주면 선로를 막아서 개통을 저지하겠다.'라는 입장까지 보이기도 했다.[1]

결국 2016년 7월에 여주시에서는 다시 역명을 정하는 설문조사에 들어갔다. 후보 역명은 '세종대왕역', '세종대왕(영릉)역', '세종대왕영릉역', '세종대왕릉역' 등 4개. # 그리고 8월 말,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차내 노선도에서 '영릉역'이 아닌 '세종대왕릉역'으로 땜질표기된 것이 포착되었다. # 역 입구 역명판에도 '세종대왕릉역'으로 표기되어 역명 변경이 확실해졌다. #]

'세종대왕릉'이라는 이름은 옛 예법과는 어긋난다. 세종대왕의 능은 이미 멀쩡히 시법에 따라 '영릉'이란 정식 명칭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선릉역/ 선정릉역, 정릉역, 사릉역, 온릉역과 같이 왕릉 이름이 붙은 다른 역의 작명 선례를 무시하게 된다는 측면도 있다. 세종의 영릉(英陵) 바로 옆에는 효종이 묻힌 영릉(寧陵)도 있는데[2] 무시당했다. 비슷한 작명법을 쓴 부산김해경전철 수로왕릉역의 경우에는 수로왕의 능에 정식으로 붙은 이름이 없어서 (혹은 밝혀지지 않아서) '수로왕릉'이라는 가칭으로 부득이하게 불리는 것이다.

로마자 표기에 대해서도 수로왕릉역은 로마자 표기를 'Royal Tomb of King Suro'로, 로마자 표기법 그대로가 아닌 영어로 번역한 이름을 쓰고 있기 때문에 세종대왕릉역 또한 '왕릉'이라는 뜻의 'Royal Tomb'와 조선의 왕 '세종'이라는 뜻의 'King Sejong'을 붙인 'Royal Tomb of King Sejong'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맞다는 의견이 있다. ‘세종대왕릉’이라는 이름은 예법에 어긋나므로 고유명사화 된 단어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기존 규칙대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맞게 'Sejongdaewangneung'이라는 표기를 사용했다. 이는 예법을 따른 역명인 선릉역을 'Royal Tomb of King Seongjong'이라고 번역하지 않는 것과 같이 “세종대왕릉”을 고유명사로 판단하여 역명을 제정한 것으로 보인다.

역명이 길어서 주변 역에 있는 도착 안내판에서는 '세종대왕'으로 표기된다. 세종대왕님 접근하신다 세종대왕님 경강선에 납시오 다만 안내판 밑에 실시간 열차 위치를 꼬마열차로 나타내는 부분에서는 세종왕릉으로 표시된다. #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세종대왕면주민자치센터, 연주리저수지, 세종대왕면사무소, 세종대왕파출소, 한국농어촌공사 여주이천지사 등이 있다. 인근에 42번 국도가 지나간다.

이곳은 영녕릉의 서쪽 지역인 세종대왕면일 뿐, 세종의 묘소인 영릉과는 직선 거리 약 3.3㎞정도로 많이 떨어져 있다. 다만, 여주역 보다는 직선 거리로 약 300m정도 더 가까우며 도보로 가고자 한다면 이곳에 내려 걸어가는 것이 경로가 조금 짧지만, 좁은 도로를 따라 걸어야 하므로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다. 도보든 차량이든 아무래도 여주역에 내리는 것이 좋다. 만약 이 역에서 내려서 세종대왕릉을 가고자 한다면 역 앞 버스정류장에서 950, 960번대 버스를 타고 효릉, 세종대왕릉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된다. 대부분 영릉으로 가는 노선들은 왕릉까지 7개의 정류장을 경유하며 15분 소요되며, 952-2[3]번을 탔을 경우 왕릉까지 11개의 정류장을 경유하며 16분이 소요된다. 대부분의 노선들은 역에서 출발해서 여주시내 초입까지 갔다가 왕릉 쪽으로 좌회전해서 들어가기 때문에 15분이 걸리고 952-2번의 경우 역에서 출발해서 세종대왕면 방면으로 왕대리 입구에서 여주보 쪽으로 우회전해서 좁은 시골길을 달려서 가기 때문에 16분이 소요 된다. 버스 시간표는 여주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역세권 개발사업이 추진되어 현재 공사에 들어갔다. 세종대왕릉역세권개발사업 참조.

3.1. 출구 정보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세종대왕릉역 출구 정보
1 세종대왕릉
효종대왕릉
세종대왕면사무소
능서초등학교
한국농어촌공사(여주.이천지사)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54a6><bgcolor=#0054a6> 연도 ||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bgcolor=#0054a6> 비고 ||
2016년 789명 [4]
2017년 594명
2018년 578명
2019년 636명
2020년 477명
2021년 543명
2022년 676명
2023년 748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

파일:K419_세종대왕릉_20201025_완.jpg
경강선 역명판
파일:세종대왕릉역 승강장.jpg
경강선 승강장
부발
1 2
여주
1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강선 부발· 이천· 경기광주· 판교 방면
2 여주 방면

이 역은 지상역 2층 구조이다.

부발역까지 표정거리는 8.3km 정도로 현재 운영 중인 수도권 전철 경강선 내 여객용 정거장 간 표정 거리 중 가장 길다.

6. 연계 교통

세종대왕릉역 앞에 버스정류장이 있으며, 여주시내 방향과 능서면 각 마을 방면 양방향 모두 정차하므로 행선지 확인 후 승차해야 한다. 또한 모든 노선 배차간격이 하루 1~4회로 매우 적으므로 버스정류장에 부착된 시간표를 반드시 확인 후 이용해야 한다.
정류장 이름 경유 노선
세종대왕릉역[6](52-301)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140)][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0)][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0-1)][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0-3)][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0B)]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2)][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2-1)][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2-2)][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2-3)][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3)][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3-2)][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3-3)]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55-1)]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60)][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61-1)][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62)][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63)]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63-1)]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64)][양방향] [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3c9, 사이즈=.95em, 글자색=#fff, 내용=966-1)][양방향]

고정배차 노선인 111번의 경우 세종대왕릉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세종대왕릉역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려면 약 15분 정도 걸어가야 나오는 세종대왕면 읍내 정류장으로 가야 한다.

7. 기타

8. 둘러보기

파일:Gyeonggang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강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강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미개통)
- - - - - - - - -
†:여객영업 안함
}}}}}}}}}



[1] 「여주시민들 "트랙터로 성남~여주 전철 개통 저지" 왜?」, 2016-06-20 [2] 두 곳을 합쳐서 영녕릉(英寧陵)이라는 왕릉군으로 부른다. [3] 1일 1회 운행 [4] 개통일인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5] 세종대왕릉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적은 신둔도예촌역의 소재지 신둔면의 인구수가 14,000명 정도인데, 세종대왕릉역 소재지인 세종대왕면의 인구수는 절반도 되지 않는 6,000명 정도이다. 거기에 신둔도예촌역은 한국관광대학교 통학 수요를 노릴 수 있다. [6] 역 앞 [양방향] 양쪽 방면 모두 정차.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양방향] [22] 해당방송분은 정준영이 없지만 그 전 촬영분이었던 무인도에 가져갈 3가지편에 정준영 출연분의 남은 분량이 있기 때문에 다시보기 서비스가 중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