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0:53:11

사활

<rowcolor=#FFF> 바둑
관련 정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5AE59,#AF8D3E><colcolor=#000,#FFF> 규칙 국가별 룰 · 초읽기 · 접바둑 · · 착수금지
기초 원리 활로( 단수) · 따냄 · · 행마
기본 형태 · · 자충 · · 장문 · 촉촉수 · 환격 · 후절수 · 귀곡사 · 공배 · 궁도
특수 형태 장생 · 삼패 · 진신두
대국 흐름 포석 · 정석 · 끝내기 · 계가 · 복기 · 기보
수읽기 먹여치기 · 사활 · 수상전 · 수나누기 · 교환 · 맞보기
도구 바둑판 · 바둑돌 · 인공지능 · 101weiqi
사람 및 기관 바둑 기사 · 품계 · 기원 · 한국기원 · 대한바둑협회 · 일본기원 · 관서기원 · 중국기원 · 바둑 기전
프로젝트 나무위키 바둑 프로젝트
기타 용어 · 격언 · 특징 · 화점 }}}}}}}}}


1. 개요2. 특징3. 기본 원리4. 사활 문제의 정답 기준5. 기본적인 사활 기술6. 관련 매체

1. 개요

사활()은 바둑에서 돌의 삶과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사활 문제(Tsumego(영), 詰碁(つめご, 일))[1]라 하면 바로 이 사활을 놓고 풀어보는 문제를 말한다. 자기 돌을 살리는 문제나(활, 活) 상대편의 돌을 죽이는 문제(사, 死)의 총칭이며, 쉽게 말해,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둬야 내 돌이 살아나고 또 어떻게 둬야 상대방 돌을 죽일 수 있는지의 문제를 일컫는다.

2. 특징

보통 바둑을 처음 배울 때, 각종 용어와 기초이론 등을 배운 후 기초적인 정석, 포석법 등과 함께 주구장창 하게 되는 것 중 하나이자 전국의 수많은 바둑 학원들이 돌아가게 하는 원동력 중 하나이다. 돌의 사활을 다루는 분야이기 때문에 사활 문제를 잘 풀게 된다면 전반적인 수읽기 실력의 향상을 바탕으로 전투, 침투, 공격, 타개가 모두 강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바둑을 갓 입문한 초심자부터 프로 기사들에게까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둑을 배울 때 입문자 단계를 지나게 되면 사활과 맥점 문제를 주구장창 풀게 되는데 이런 사활에 대한 감각이 어느 정도 잡히게 되면 자신의 돌이 잡히는 일이 줄어들게 되고 실력이 늘어난다.

문제의 난이도도 천차만별이라, 단순히 상대방의 급소를 찔러서 잡거나 자기 곤마에 눈 두 개를 만들어서 사는 수준의 쉬운 문제부터, 십여수 앞의 상황과 수많은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되는 매우 어려운 수준의 문제까지 다양하다. 사활 문제들에서 제시되는 형태들을 무턱대고 외우기보단 한 수 한 수 꼼꼼히 생각하면서 몇 수 앞까지 생각해보며 푸는 게 실력 향상에 훨씬 도움이 된다. 사활 문제는 바둑이라는 타이틀을 떼놓고 보면, 두뇌퍼즐같은 느낌이 강하게 들기도 한다.

일상생활에서도 이 문제에 빗대 일의 성패가 갈린 상황을 "사활이 걸려 있다"고 표현한다. 자충수와 함께 바둑 용어가 일상 용어로 정착화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

3. 기본 원리

사활 문제는 기본적으로 착수금지의 원리를 이용하게 된다.

파일:바둑_사활원리1.png

위 이미지의 상황에서 백이 흑을 잡으려면 두 개의 집에 모두 백돌을 놓아야 한다. 하지만 흑의 두 집에는 모두 백이 착수금지에 걸려서 둘 수 없고, 설령 착수금지 규칙이 없어서 둘 수 있다고 하더라도 바로 잡혀버리기 때문에 둘 다 두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저 위치에 흑이 돌을 놓는 자살수를 두지 않는 한 백은 어떤 일이 있어도 흑을 잡을 수 없다.

파일:바둑_사활원리2.png

하지만 두 집이더라다도 나누어져있지 않다면 살아있지 못한다. 위의 형태에서 백은 흑의 집 안쪽에 둘 수 있고 집 안쪽을 모두 차지하면 흑돌이 잡혀버린다. 따라서 위와 같은 형태는 백이 두지 않더라도 흑이 죽은 것으로 취급된다. 한 덩어리의 집이 3집 이상일 때의 사활 관계에 대해서는 궁도 문서 참조.

파일:바둑_사활원리3.png

또한 나누어진 두 집이더라도 하나가 옥집이라서 상대가 그 집을 없앨 수 있다면 살지 못한 것으로 취급된다. 위의 형태는 흑의 왼쪽 집은 당장은 백이 둘 수 없지만 왼쪽에서 단수를 치면 따낼 수 있기 때문에 집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활에서는 흑이 한 집만 갖고 있는 것이고 흑은 죽은 것으로 취급된다.[2]

즉, 나누어진 두 집이 나게 되면 그 돌은 살아있게 되며, 사활 문제는 기본적으로 이 나누어진 두 집을 만들거나 없애는 데에 집중하게 된다.

한편 나누어진 두 집 외에 의 형태가 되면 서로 잡을 수 없게 된다. 흑백 서로 결판을 낼 수 없기 때문에 빅이란 이름이 붙었지만 사활에서는 살아있는 것과 사실상 동등하게 친다. 왜냐하면 어쨌든 잡으러가는 쪽이 잡지는 못하기 때문. 단지 집을 내고 사는 것과 비교하면 집을 없앴다는 것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4. 사활 문제의 정답 기준

사활 문제마다 다종다양한 결과가 나온다. 이들 중 최선의 결과를 정해(正解)라고 한다. 이러한 결과의 종류를 살아있는 정도에 따라 구분하면 대체로 아래와 같다.

파일:바둑_사활_완생.png
파일:바둑_사활_빅.png
파일:바둑_사활_만년패.png
파일:바둑_사활_패3.png
파일:바둑_사활_귀곡사.png
파일:바둑_사활_죽음.png
사는 문제는 위에서부터 아래(완생/빅 - 만년패 - 단패 - 귀곡사/죽음) 잡는 문제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우선순위가 정해진다고 보면 된다. 가령 사는 문제에서 최선의 결과가 단패일 경우 귀곡사/죽음만 내지 않으면 정답으로 취급하나, 완생/빅이 최선의 결과가 된다면 만년패와 단패도 오답으로 취급된다.

그 반대로 잡는 문제에서 만년패가 최선의 결과면 완생/빅만 내지 않으면 되고, 귀곡사나 죽음이 최선의 결과면 만년패와 단패도 정답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하는 푸는 쪽에서 유리하냐, 불리하냐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지는 패들이다.

5. 기본적인 사활 기술

파일:바둑_사활_궁도확장1.png 파일:바둑_사활_궁도확장2.png
파일:바둑_사활_치중1.png 파일:바둑_사활_치중2.png
파일:바둑_사활_먹여치기1.png 파일:바둑_사활_먹여치기2.png
파일:바둑_사활_키워죽이기1.png 파일:바둑_사활_키워죽이기2.png

6. 관련 매체

사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도서는 매우 많으나 유명한 고서(古書)로 기경중묘, 현현기경, 관자보, 현람, 발양론, 사활묘기 등이 있다. 특히 기경중묘는 기력이 낮아도 다른 도서들보다 한결 보기 수월하고 웬만한 경지에 오를 때까지 우려먹을 수 있다.

오락실 게임 중 하나인 흑선백사는 이 문제를 다룬 게임이다.

101weiqi 에서도 주로 다루는 문제다.


[1] 일본어로 '돌 채우기'라는 뜻. 다만 일본 쇼기에서 장기 박보를 詰将棋(つめしょうぎ)라고 하는 것을 보면 '채운다' 라는 의미보단 '상대의 수를 틀어막는다' 라는 의미에 가까울 수 있다. [2] 옥집만 두 개를 갖고 살게 되는 옥집삶이라는 형태가 있긴하나 실전에서는 보는 것이 불가능한 매우 특별한 형태이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