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속철도 | |
준고속철도 | ||
간선철도 | ||
지선철도 | ||
전용철도 | ||
운행 예정 |
부산신항선 釜山新港線 | Busansinhang Line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번호 | 30706[1] |
노선명 | 경전선 부산신항선 (慶全線 釜山新港線) |
종류 | 지선철도, 일반철도 |
영업거리 | 21.3㎞ |
궤간 | 1435㎜ |
정거장수 | 3 |
기점 | 진례역[2] |
종점 | 부산신항역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장비 |
ATS-S2 (5현시 속도조사식) |
개업일 | 2010년 11월 30일 |
운영노선 |
화물열차 |
[clearfix]
1. 개요
신항남선의 교량 |
부산신항의 화물 처리를 위해 건설된 화물 전용 노선[3]이다.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함께 기능하며 부산신항에서 마산ㆍ진주ㆍ광양 방면으로 바로 화물을 수송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부전-마산 복선전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그 구간에서는 여객열차도 다닐 예정이다. 부전역 방면의 삼각선 설치는 확정되지 않았었지만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신항 배후철도 연결 지선[4]이 포함되었다. 전액 국비로 추진되며 기존 경로 대비 57.9㎞의 단축 효과가 있게 된다. 부전-마산 복선전철 개통 이후 지선이 된 삼랑진역- 진례역 구간의 경전선 본선을 편입할 예정이다.
특이한 점은 경전선 복선화 이전에 개통되었다는 점이다. 이 시기의 영업거리표에는 두 거리가 다 기재된 이상한 모습을 볼 수 있었고, 그 당시에 진례~창원 구간의 신선으로는 화물열차가 다니지 않았지만 한림정~진례 신선으로는 화물열차가 운행했다.
2. 연혁
- 1995년 8월, 가덕도-삼량진 간 철도건설사업 추진회의, 부산신항선 논의 시작
- 1996년 3월, 부산신항 개발 관계부처 회의, 부산신항선 국비 부담 결정[5]
- 1997년 8월, 부산신항선을 해양수산부 예산 건설로 결정
- 1998년 8월, 경부고속철도 개통시점 연기에 따른 부산신항선 개통 연기[6]
- 1999년 6월, 부산신항선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 1999년 10월 4일, 부산신항선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및 보고서 공개[7][8]
- 2002년 12월, 부산신항선 환경영향평가 착수
- 2004년 9월 8일, 부산신항선 환경영향평가 완료 및 통과[9]
- 2004년 12월 9일, 신항북선 및 신항남선 환경영향평가 완료 및 통과[10]
- 2010년 11월 30일, 부산신항선 개통 및 신항북선 단선비전철 개통
- 2013년 1월 1일, 신항남선 개통
- 2022년 4월 29일,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 2024년 1월 5일, 가덕도 신공항철도 연결선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선정
- 2024년 3월 11일,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전략환경영향평가 완료 및 통과
- 2024년 9월 6일,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기본계획 고시 #
- 2024년 12월 30일,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1, 2공구 발주
2.1. 출처
- 부산신항 배후 수송철도 건설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 부산신항 배후철도 건설공사 - 환경영향평가 본안
-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 부산신항 진입철도 건설공사 - 환경영향평가 본안
- ‘가덕신공항 철도 연결선’ 예타 대상 사업 선정 KBS 보도
-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 전략환경영향평가 본안
- 국토교통부 - 공지사항 -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기본계획 고시
- 국가철도공단 - 입찰공고
3.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 |||
K | KTX 필수정차 | k | KTX 선택정차 | |
R | SRT 필수정차 | r | SRT 선택정차 | |
iC | ITX-청춘 필수정차 | ic | ITX-청춘 선택정차 | |
iM | ITX-마음 필수정차 | im | ITX-마음 선택정차 |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 |
M | 무궁화호/ 누리로 필수정차 | m | 무궁화호/ 누리로 선택정차 | |
X | 동해산타열차 정차 | V | 백두대간협곡열차 정차 | |
N | 남도해양열차 정차 | G | 서해금빛열차 정차 | |
A | 정선아리랑열차 정차 | |||
T | 광역철도 급행 정차 | t | 광역철도 정차 | |
H | 화물취급 | ─ | 여객/화물 미취급 | |
<rowcolor=#fff> 역 등급 | ||||
⊙ | 관리역 | |||
○ | 보통역 | ◐ | 운전간이역 |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위탁발매소 | |
‡ | 신호장 | † | 신호소 | }}}}}}}}} |
- 2013년 3월 14일 기준[A]
㎞ | 역명 | ARS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진 례 | 進 禮 | 511 | m | ─ | ○ | 경전선 | 경상남도 김해시 |
9.6 | 장 유 | 長 有 | ─ |
|
H | ◑ |
|
|
|
|
|
|
|
||||
21.3 | 부산신항 | 釜山新港 | ─ | ─ | H | ⊙ |
|
부산광역시 강서구 |
3.1. 지선
신항북선과 신항남선은 부산신항선의 지선으로 취급하며 철도영업거리표에서도 동시에 기재되어 있었다가 다시 별개의 지선으로 분리되었다. 노선번호는 각각 신항북선은 30709, 신항남선은 30710이다. 두 선로는 진례기점 23.7㎞ 지점에서 분기된다. 이 분기점은 별도의 신호장이나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부산신항역 장내에서 분기된 선로가 그대로 북철송장역과 남철송장역으로 쭉 간다. 또, 이 지선 구간은 현재 전철화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구간은 복선이 아니라 두 개의 단선 구간인 단선 비전철 구간이다.3.1.1. 신항북선
- 2013년 3월 14일 기준[A]
㎞ | 역명 | ARS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부산신항 | 釜山新港 | ─ | ─ | H | ⊙ | 부산신항선 | 부산광역시 강서구 |
5.8 | 북철송장 | 北鐵送場 | ─ | ─ | H | ◑ |
3.1.2. 신항남선
- 2013년 3월 14일 기준[A]
㎞ | 역명 | ARS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부산신항 | 釜山新港 | ─ | ─ | H | ⊙ | 부산신항선 | 부산광역시 강서구 |
7.7 | 남철송장 | 南鐵送場 | ─ | ─ | H | ◑ |
4. 장래 계획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부전-마산 복선전철 구간이 삼랑진역 ~ 진례역 구간을 대신하여 경전선 본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라고 하며, 해당 구간은 경전선 대신 부산신항선의 일부가 된다. 이로써 이 노선은 순수 화물철도에서 벗어나게 될 예정이다.2023-2024년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선형계획 |
4.1.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확정)
자세한 내용은 가덕도신공항/교통 문서 참고하십시오.인접한 가덕도 섬 북쪽까지 부설되어 있으므로 가덕도신공항 연결 철도로 이 노선을 개량, 연장해 ITX-마음이 운행하는 공항철도로 활용할 예정이다. 관련 법률에도 접근교통수단 건설 조항이 명문화되어 있다.
2023년 8월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안 수립과 함께 아래와 같이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의 계획안이 공개되었다.
2023년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열차운행계획 |
열차운행계획의 1번째 시나리오는 부산신항선과 부전마산선 부산 방면 사이에 연결지선을 설치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
- 태화강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25분
- 진주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 동대구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2번째 시나리오는 부산신항선과 부전마산선 부산 방면 사이에 연결지선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이며, 이 경우
- 장유 ~ 가덕도신공항 셔틀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 진주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 동대구 ~ 가덕도신공항 : ITX-마음, 배차간격 60분
2024년 9월 6일,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의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 고시 내용에서 접근철도의 목적은 가덕도신공항의 직접 영향권인 부산·울산권, 경남권, 대구·경북권 지역 공항 이용객의 신공항 접근 편의성 향상을 위한 철도시설 확충으로 공개되었으며 개통시점은 2031년으로 공개되었다. #
2024년 10월 15일, 국가철도공단에서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대전 본사에서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사업설명회를 열었다. # $
2024년 12월, 국가철도공단에서 가덕도신공항 접근철도 1, 2공구를 발주했다.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지사교 | 부산광역시 강서구 | |||||
가덕도신공항 | 加德島新空港 | T | |||||
16.526 | 종점 |
4.2. 가덕도 신공항철도 연결선(예비타당성조사 중)
부전마산선과 부산신항선 사이에 복선 연결선로를 건설하는 사업으로, 해당 사업이 실현되면 부산, 울산에서 환승 없이 가덕도신공항까지 ITX-마음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및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는 단선 규격으로 부산신항 연결지선으로 반영되어 있었다.2024년 1월 5일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다면 2031년 개통 예정이다. #
[1]
신항북선 30709, 신항남선 30710
[2]
경전선 창원 동쪽 구간 편입 이후
삼랑진역으로 기점이 연장될 예정이다.
[3]
[열린마당] 항만·철도 연계 新물류시대 연다
[4]
신항 배후철도 타고 부전역까지 곧장 온다
[5]
당시 관계부처 회의에서 신항만의 배후수송시설은 원칙적으로 정부부담이라고 결정했다.
[6]
당초 부산신항선은 2006년 부산신항 개항에 맞춰 단선으로 우선개통 후 2011년까지 복선화할 계획이었으나
IMF로 경부고속철도가 2002년 개통에서 2004년 금천구청-동대구 개통, 2010년 대전, 대구 시내구간 및 동대구-부산 개통으로 변경됨에 따라 경부선 대전, 대구 시내구간 선로용량 문제로 부산신항선도 2010년 개통으로 연기되었다.
[7]
당시 중앙정부와 부산신항만 주식회사는 부산신항의 경쟁력, 부산시는 부산 도로의 혼잡을 고려해 부산신항선의 개통을 원하고 있었으며,
김해시는 향후 시의 발전계획에 따라 이를 우회하는 노선을 요구했다.
[8]
예타 당시 복선 기준에 화물차 통행 감소로 인한 사고 절감 편익을 반영한 B/C값은 대안1 1.30, 대안2 1.17이었다.
[9]
표준단면도를 기준으로 했을 땐 부산신항역까지 전구간 복선 추진이었던 걸로 보인다. 이때 화포습지를 보전하기 위해
진영역 전후 구간이 지금과 같은 대안2 노선으로 변경되어 통과되었다.
[10]
이때도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장유역에서 부산신항선과 교차할 것을 계획하고 있었다.
[A]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46호
[A]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46호
[A]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46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