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17:02:07

부산광역시청

부산시청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청 부산광역시청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경기도청
북부청사
강원특별자치도청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청 충청남도청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라남도청 경상북도청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이북5도청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청
釜山廣域市廳 | Busan City Hall
파일:부산시청.jpg
<colbgcolor=#E5007F><colcolor=#fff> 슬로건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
주소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광역시도 부산광역시
직원 수 2,894명
예산 16조 6,921억 원 ( 2025년)
광역시장
박형준 (재선)[3]
부시장 이준승 (행정)
김광회 (미래혁신)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
2.1. 연산동 현 청사2.2. 옛 시청2.3. 부산광역시 서부산청사(계획)
3. 조직4. 소속기관
4.1. 휘하 군/구청4.2. 산하 기관
4.2.1. 지방공기업4.2.2. 지방출연기관4.2.3. 지방출자기관
4.3. 유관 단체4.4. 역대 시장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6. 여담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 본관은 26층까지 있으며, 시장실은 7층에 있다.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연산동) 소재. 현 청사는 1998년 1월에 완공된 건물이다. 부산광역시경찰청과 쌍둥이로 붙어 있어서[4], 부산시내 표지판에는 시청·경찰청으로 표시된다.

옛 청사는 중구 중앙동 남포역 근처에 있었으나(현 롯데백화점 광복점 부지), 1998년 1월에 연산동으로 이전하였다. 구 청사는 일제강점기의 잔재라는 이유로 1998년 10월경 철거되었으며, 청사 이전과 동시에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연제역도 시청역으로 개명되었다. 중앙대로를 따라서 구청사와 신청사 간 거리를 재어 보면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정확하게 10.00km 거리가 나오기 때문에 신청사의 도로명주소가 비범하게도 중앙대로 1001이다. 더군다나 이전 당시만 해도 지번주소였으니 정말 우연히 10km인 것.[5] 바로 옆에 부산광역시청을 견제하는 부산광역시의회가 있다.

전국의 광역·기초자치단체 청사 중 세 번째로 비싼 건물이다(2640억 원). 첫 번째 건물은 경상북도청, 두 번째 건물은 성남시청이다. 처음에는 너무 규모를 크게 지어서 예산 낭비가 아니냐며 비판을 받았으나, 2022년 기준으로 공간 부족으로 인해 각종 부서와 출연기관들이 시청 주변의 다른 건물로 튕겨져 나가고 있다! 지리상 부산 중심부에 있으며 옆에 부산광역시경찰청, 부산광역시의회가 있다. 인근에 법원, 검찰청, 국세청, 노동청, 통계청, 선관위, 연제구청, 상수도본부 등이 있어서 부산의 행정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도시철도 1호선 시청역이 지하도를 통해 시청과 연결돼 있어서 청사 접근성이 매우 좋은 편이다.

2. 연혁

2.1. 연산동 현 청사

파일:부산시청사 조감도.jpg
파일:부산시청사 조감도2.jpg
1992년에 최종적으로 확정된 부산광역시청사 건립안 시청사의 야경 조감도
파일:부산광역시청사부지.jpg
파일:부산시청사 건설현장.jpg
시청 건립 이전의 모습[6][7] 시청사를 건설하기 위해 기초공사를 진행하는 모습
파일:19950804 부산시청사 건설현장.jpg
파일:19951227 부산시청사 건설현장.jpg
1995년 8월 4일 건설 당시의 모습 1995년 12월 27일 건설 당시의 모습
파일:19960403 부산시청사 건설현장.jpg
파일:19970116 부산시청사 건설현장.jpg
1996년 4월 3일의 모습 1997년 1월 16일 건설 당시의 모습
파일:19970731 부산시청사 건설현장.jpg
파일:19980428 부산시청.jpg
1997년 7월 31일에 촬영된 시청사 건립 당시의 모습 연산동 신청사로 이전 3개월 후인 1998년 4월 28일 당시의 모습

2.2. 옛 시청

파일:부산부청사.jpg
파일:구 부산시청사.jpg
1930년대 부산부 시절의 옛 시청사 1996년에 촬영된 옛 부산시청.[8]

일제강점기 시기인 1936년부산부청사으로 건설된 옛 부산시청. 중구 중앙대로 2 ( 중앙동7가)[9]에 있었으며 현재 이 자리에는 롯데몰 광복점이 있다.

과거 경상남도 부산시 및 부산직할시 시절에는 부산의 도심이 중구 일대였고, 서구, 동구, 영도구가 인구밀집지역이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시청사 자리를 유지했다. 하지만 동래군이 부산광역시에 차례차례 편입되고 부산의 확장이 지속되면서 기존 중앙동 청사가 너무 부산 남단에 치우쳤다는 지적이 많았고, 좁고 낡은 기존 청사 건물로는 350만에 달하는 행정 수요를 처리하기도 버거웠기 때문에 기존 중앙동 청사를 포기하고 시청사를 연산동으로 신축, 이전하게 되었다.

1998년, 현 연산동 청사의 완공과 함께 시청의 역할이 이전되어 철거에 돌입했다. 1998년 6월 말엽에 철거 작업이 시작되어 동년 11월경 마무리되었다. 롯데는 당시 부산롯데타워와 롯데백화점 건설을 약속하였고 우여곡절 끝에 2009년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완공된 후 개장하였다. 부산롯데타워는 백화점이 개장할 당시에 막 착공된 상태였으며, 이후 공사 진행 중 무산되고 수 년이 지나도록 재개되지 않고 있다가 2023년 8월 17일에 다시 착공했다.

해당 건물 때문에 이 교차로( 중앙대로, 구덕로 태종로의 교차로) 명칭을 옛시청교차로라고 한다.

2.3. 부산광역시 서부산청사(계획)

기존의 부산광역시청은 서울특별시청 등 다른 대도시들과 다르게 분관 청사들이 전혀 없고, 모든 부서가 연산동 본 청사에만 소재해 있었다. 그러다 보니 점점 청사 내 공간 부족이 심해지기 시작했고, 강서구를 필두로 한 서부산 일대가 활발히 개발되면서, 서부산권에서 부산시청과의 접근성이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공간 부족 해소 및 서부산 일대의 균형 발전을 위해 사상구 학장동 사상스마트시티 내[10] 서부산청사를 추진 중이다.[11]시 본청 도시균형발전실과 데이터센터, 부산시 산하 서부산개발본부, 건설본부, 낙동강관리본부와 부산관광공사, 부산도시공사, 부산연구원, 부산신용보증재단, 부산테크노파크, 부산경제진흥원, 부산글로벌도시재단[12], 부산문화재단, 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인재평생교육진흥원 등 시 산하기관이 입주할 것으로 보인다. # 사상하단선 사상스마트시티역도 계획 중이다.

서부산청사가 들어서면 서부산(강서구·북구·사상구·사하구)과 원도심(서구·영도구·중구) 권역에서 더욱 접근성이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13]

3. 조직

해당 홈페이지로.

차관급 광역시장 아래 1급 보직으로 행정부시장, 미래혁신부시장, 소방재난본부 정도다. 하지만 행정부시장은 행정안전부 인사가 파견오고, 미래혁신부시장은 내부승진으로써 1급 지방관리관으로도 보할 수는 있으나 최근에는 주로 시장 인맥으로 정치인 낙하산이 내려오는 1급 상당 별정직[14]으로 보하는 추세라 웬만해서는 거의 올라오기 어려우며, 소방재난본부장은 소방공무원 차지이기 때문에 사실상 지방행정공무원으로 입직한다면 2급이 한계선이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은 1~2급 자리로 부산광역시장 경상남도지사가 3년마다 번갈아 인사권을 행사하는데, 운과 실력이 따른다면 지방직공무원으로 이곳을 차지할 여지는 있다.

4. 소속기관

소속기관 중 부산소방재난본부가 1급 상당 기관으로 격이 가장 높다.

4.1. 휘하 군/구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강서구
파일:금정구 CI_White.svg
금정구
파일:남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남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동구
파일:동래구 CI_White.svg
동래구
강서구청 금정구청 남구청 동구청 동래구청
파일:부산진구 CI_White.svg
부산진구
파일:북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북구
파일:사상구 CI_White.svg
사상구
파일:사하구 CI_White.svg
사하구
파일: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서구
부산진구청 북구청 사상구청 사하구청 서구청
파일:수영구 CI_White.svg
수영구
파일:연제구 CI_White.svg
연제구
파일:영도구 CI_White.svg
영도구
파일:중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중구
파일:해운대구 CI_White.svg
해운대구
수영구청 연제구청 영도구청 중구청 해운대구청
자치군
파일:기장군 CI_Black.svg
기장군
기장군청 }}}}}}}}}


4.2. 산하 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5007F>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5007F><colcolor=#fff> 지방공기업 부산광역시상수도 | 부산광역시하수도
부산관광공사 | 부산교통공사 | 부산도시공사 | 부산시설공단 | 부산환경공단
지방출연기관 부산경제진흥원 | 부산글로벌도시재단 | 부산디자인진흥원 | 부산문화재단 | 부산연구원 | 부산광역시사회서비스원 | 부산신용보증재단 | 부산여성가족과 평생교육진흥원 | 부산의료원 | 부산정보산업진흥원 | 부산테크노파크 | 영화의전당 | 부산산업과학혁신원 | 부산문화회관
지방출자기관 벡스코 | 아시아드컨트리클럽
}}}}}}}}} ||

4.2.1. 지방공기업

4.2.2. 지방출연기관

4.2.3. 지방출자기관

4.3. 유관 단체

4.4. 역대 시장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양성봉
제2대
정종철
제3대
김주학
제4·5대
손영수
제6대
최병규
제7·8대
배상갑
제9대
이근용
제10대
김종규
제11대
변재갑
제12·13대
김현옥
제14대
김대만
제15대
김덕엽
제16대
최두열
제17대
박영수
제18대
최석원
제19대
손재식
제20대
김무연
제21대
최종호
제22대
정채진
제23대
김주호
제24대
강태홍
제25대
안상영
제26대
김영환
제27대
박부찬
제28대
정문화
제29대
김기재
제30대
문정수
제31·32대
안상영
제33-35대
허남식
제36대
서병수
제37대
오거돈
제38·39대
박형준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 ||



부산광역시장 문서로.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5.2. 도시철도

6. 여담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5007F>
부산광역시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5007F><colcolor=#fff> 기관 부산광역시청 · 산하 기관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 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구청 · 기초자치의회
도로 도로 · 대로 · 부산광역시도
대중교통 동남권 전철 · 부산 도시철도 · 철도 · 버스 · 버스 터미널
주거 공동주택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 예술중) · 고등학교( 과학고 · 과학중점고 · 외국어고 · 예술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시설 병원 · 공공도서관
공원 공원
기타 부산찬가 · 브랜드 }}}}}}}}}




[1] 연산동 1000. [2] 이런 도로명 주소가 나온 이유가, 중앙대로의 시점인 옛시청 교차로에서 현 부산광역시청까지 정확히 10.0km 떨어져있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남포역에서 출발할 경우 1호선은 시청역까지가 1구간(기본요금)이다. [3] 민선 7· 8기. [4] 다만 부산광역시경찰청 부지 일부는 부산진구 양정동에 걸쳐져 있다. [5] 남포역↔시청역 간 거리가 대략 10km 정도 된다는 말이다. [6] 육군군수사령부가 남구 대연동 옛 부지로 이전하기 전에 주둔했던 곳이다. [7] 사진 중앙 하단의 시정구호가 "400만 슬기모아 살기좋은 부산건설" 인데 김영환 시장 재임기인 1990년 12월말~1992년 12월 기간중에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 [8] 부산광역시청 바로 앞에 보이는 지하철역은 남포역이다. 8번 출구와 10번 출구가 위치한 지역인데 현재는 롯데백화점 광복점이 들어서 출구를 리모델링해서 백화점 측에서 관리하고 있다. [9] 중앙동7가 20번지 [10] 학장초등학교 바로 옆에 시청사 부지가 있다. [11] 2027년 준공 예정 # [12] 부산광역시 공공기관 효율화 방안에 따른 부산국제교류재단과 부산영어방송재단이 통합된 기관 [13] 동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현 연산동 청사가 더욱 가깝다. [14] 과거 허남식, 안준태도 정무부시장을 별정직이 아닌 1급 지방관리관으로서 맡았었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색이 강해진 지금은 굳이 내부승진으로 임용할 이유 없이 시장 측 사람을 심는 게 서로 좋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 별정직으로 하는 추세가 된 것이다. 오히려 현임 김광회 미래혁신부시장이 1급 지방관리관으로서 부시장을 하고 있는 게 현재 추세에서는 다소 예외적인 케이스에 속한다. 전임 이성권 경제부시장(제22대 국회의원)은 국회의원 출신으로 박형준 시장과 가까운 친이계 인사로, 1급 상당 별정직공무원 신분이었다. 별정직 부시장과 관리관 부시장은 그 처우도 달라서, 별정직 부시장은 임명권자가 궐위되면 동반 사퇴해야 하지만 관리관 부시장은 내부승진 인사여서 신분 보장을 받는다. [15] 전임 이성권 부시장은 별정직이었으나 현임 김광회 부시장은 관리관이다. 그래서 김광회 부시장은 임명권자인 박형준 시장이 궐위되어도 신분 보장을 받는다. [16] 안내방송 시 부산의 찬가 송출. [17] 울산광역시는 아무리 자본이 많아도 지형 문제 때문에 지하철을 만들 수 없다. 늪지대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자기부상열차나 트램이 아니고서는 도저히 답이 없다. 이는 같은 해안 도시라도 늪지대가 거의 없어서 서울특별시처럼 지하철을 많이 만들어 놓은 인천광역시와 대조되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