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21:10:41

데이비드 모예스

모예스에서 넘어옴
데이비드 모예스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에버튼 FC 로고.svg

25대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2대
파일:선덜랜드 AFC 로고.svg

43대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대, 22대
}}} ||
스코틀랜드의 축구 감독
파일:David Moyes.jpg
<colbgcolor=#f0f0f0,#222222> 이름 데이비드 모예스
David Moyes
본명 데이비드 윌리엄 모이스
David William Moyes[1]
출생 1963년 4월 25일 ([age(1963-04-25)]세)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국적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신체 185cm
직업 축구 선수 ( 중앙 공격수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f0f0f0,#222222> 유스 ÍBV (1978)
드럼채플 아마추어 (1978~1980)
선수 셀틱 FC (1980~1983)
케임브리지 유나이티드 FC (1983~1985)
브리스톨 시티 FC (1985~1987)
슈루즈버리 타운 FC (1987~1990)
던펌린 애슬레틱 FC (1990~1993)
해밀턴 아카데미컬 FC (1993)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993~1999)
감독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998 / 코치)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1998~2002)
에버튼 FC (2002~2013)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13~2014)[2]
레알 소시에다드 (2014~2015)[3]
선덜랜드 AFC (2016~2017)[4]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17~2018)[5]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19~2024)[6]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기록
4.1. 대회 기록
4.1.1. 선수4.1.2. 감독
4.2. 개인 수상
5.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 스코틀랜드) 축구 선수 출신 감독.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에버튼 FC 감독으로 재직, 프리미어 리그에서 알렉스 퍼거슨, 아르센 벵거 다음으로 오랫동안 리그에서 한 팀의 감독직을 수행한 감독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다. 2013년 여름에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지휘봉을 잡았지만 1년도 채우지 못하고 경질되었고, 이후 여러 팀에서 고전하며 주가가 많이 하락했으나 2019년에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에 재부임한 이후로는 다시금 성공적인 행보를 걸었다.

2. 선수 경력

파일:external/i3.dailyrecord.co.uk/David-Moyes.jpg
지금은 감독으로서 나름대로 성공한 모예스도 선수로서는 평범한 커리어를 보유했다. 아이슬란드의 축구단인 ÍBV 유스 출신이며 셀틱 FC에서 중앙 수비수로 프로에 데뷔한 그는 1981/82시즌 우승에 공헌했지만 3년간 불과 24경기 출전에 그친 로테이션 멤버였고 케임브릿지 유나이티드로 이적하게 된다. 하지만 그나마 알려진 프레스턴으로의 이적 전까지 10년간 무려 5팀을 전전하는 저니맨 생활을 하게 된다.

1995/96 시즌 프레스턴의 4부 리그 우승에 공헌한 모예스는 1998년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바로 프레스턴의 수석 코치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얼마 안 가 1998년 2월 프레스턴의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축구 감독으로서의 경력이 시작된다.

3. 지도자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이비드 모예스/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록

4.1. 대회 기록

4.1.1. 선수

4.1.2. 감독

4.2. 개인 수상

5. 여담



[1] 원래 발음은 '모예스'가 아니라 '모이스'가 맞다. 린지 로핸( 린제이 로한)처럼 발음이 변형돼서 정착된 사례 중 하나. [2] 시즌 막바지였던 2014년 4월에 경질됨. [3] 시즌 도중 선임 및 경질. 공교롭게도 모두 11월에 일어났다. [4] 시즌 종료 후 사임. [5] 시즌 도중( 2017년 11월) 부임. [6] 시즌 도중( 2019년 12월) 부임. [7] 한 국가에서만 자격증을 취득해도 타국에서 감독직 수행하는데 문제가 전혀 없다. 승부의 신이라는 감독 리더십 서적에서 발췌했다. [8] 국가대표팀 지도자 과정을 배우고 싶어한다는 것을 듣고 지원해 줬다. [9] '태어날 때부터 명장'이라는 뜻이며 太명장이라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10] 0골 0도움 1퇴장 [11] 31경기 11골 6도움 [12] 시즌 절반을 날린걸 감안하면 엄청난 스탯이다 [13] 24경기 10골 3도움 [14] 코로나 재개 이후 9경기 7골을 기록했다 [15] 2023/24 시즌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