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19:29:14

머시니마(기업)

파일: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px -11px -6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004eb3><colcolor=#ffffff> 워너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HBO, 맥스(스트리밍), Cinemax, TNT
워너 미디어 뉴스 & 스포츠 CNN US, HLN, CNN 인터내셔널, NBA TV, AT&T SportsNet
워너 브라더스 영화: 뉴 라인 시네마,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애니메이션, DC 스튜디오, DC 엔터테인먼트( DC 코믹스, DC 유니버스 인피니트)
방송: TCM, 카툰네트워크 ( 어덜트 스윔), 부메랑, 카투니토
기타: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 ( 포트키 게임즈),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 해나-바베라 스튜디오 유럽
직배사: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디스커버리 채널 방송: 디스커버리 채널, 디스커버리+
해체 및 분사 머시니마, TMZ, The CW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해: 해체한 MCN ### 무: 설립 무산
<colbgcolor=#f2f2f2,#1313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대한민국의 MCN 참조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일본의 MCN 참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디즈니 디지털 네트워크 · 머시니마 · 츤데리아 · 워너 뮤직 그룹 · 콜랩 · Cloud9 · VEVO · VShojo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권
니지산지 상하이 · hololive CHINA · VEgo · VirtuaReal
파일:세계 지도.svg 다국적 니지산지 월드 · hololive 해외 · 콜랩 아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니지산지 ID · hololive INDONESIA · MAHA5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니지산지 IN · hololive INDIA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스튜디오71
파일:미국 국기.svg 영미권 니지산지 EN · hololive ENGLISH · 페이즈 커넥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Zoomin.TV }}}}}}}}}

1. 개요2. 과거 소속 크리에이터3. 외부 링크

1. 개요

파일:Machinima_2007.svg
2007~2013년 로고

파일:Machinima.svg
2013~2018년 로고

파일:Machinima2018.svg
2018~2019년 로고

Machinima, Inc.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웹 아카이브)[1]

2000년 Strange Company 설립된 멀티 채널 네트워크 회사. 유래는 머시니마 작업을 선보이는 스트리머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일종의 기획사 역할을 한다 할 수 있다.

배틀필드 시리즈는 전통적으로 게임 플레이 영상만을 편집해서 트레일러를 만들기도 한다.

알려진 바로는, 2016년에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에 인수되고 MCN 쪽이 아닌 다른 쪽으로 전향하기로 했으며, 2019년 1월 18일에 Machinima 채널은 동영상을 비공개로 설정하여 유튜브 채널을 갑자기 중단되었으며 출처, 2019년 2월 1일에 폐쇄됐다고 한다.

비록 소리소문 없이 사라졌지만 2007~2013년 시기에는 소속된 스트리머들이 주로 콜 오브 듀티, GTA, 마인크래프트 같이 청소년들한테 인기가 많았던 게임들이나 관심이 잘 끌리는 TOP 영상들을 위주로 제작했기에 이 시기 유튜브를 본 서구권 사람들이라면 채널의 정체성은 몰라도 로고는 한번 쯤 봤을 정도로 인지도가 높았었다.

2. 과거 소속 크리에이터

CaptainSparklez
PewDiePie

3. 외부 링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현재 접속불가 [2] 동영상 비공개로 인해 영상을 볼수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