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듬체조의 난도 | |||||
BD 신체 난도 |
AD 수구 난도 |
R 리스크 |
S 댄스 스텝 콤비네이션 |
||
점프 난도 |
밸런스 난도 |
회전 난도 |
O 오리지널리티 |
1. 일반 수칙
수구난도 중 선수가 독창적으로 시도한 기술 중 FIG로부터 인정 받은 기술들을 말한다. FIG가 인정하면 그 선수의 이름을 딴 오리지널리티 기술이 되며, 올림픽 사이클 동안 0.5점의 점수가 주어진다. 기술을 계획표에 표기할 때는 알파벳 o의 필기체를 따로 표기해야 한다.오리지널리티를 등재하려면 해당 동작에 대한 그림과 설명문[1], 영상[2]을 FIG의 RG 기술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FIG 의장의 친필 서명을 받은 시점부터 오리지널리티로서의 효력이 생긴다.[3]
당연한 이야기지만, 다른 선수들도 등재된 오리지널리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0.5점이 아닌 해당 수구난도의 본래 점수만 받는다.
2. 오리지널리티의 예시
2017-2020 채점제에서 유효한 기술들만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기술 이름 옆에 괄호로 수구를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2.1. 2016년까지 유효한 동작
-
쿠드랍체바(공):
야나 쿠드랍체바의 오리지널리티다. 공을 손가락으로 돌리면서 워크오버를 한다.
-
쿠드랍체바2(곤봉):
야나 쿠드랍체바의 오리지널리티다. 다이브 립과 함께 곤봉을 바닥에 튕겼다 받은 후 착지하면서 앞구르기를 한다. 이때 양 손의 곤봉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축회전을 해야 하며(비대칭 조작), 튕겼다가 받는 곤봉 또한 축회전을 유지해야 한다.
- 쿠드랍체바3(후프): 야나 쿠드랍체바의 오리지널리티다. 후프를 던졌다가 신체회전 후 목으로 받아 돌린 후 손으로 잡는다. 연이어 백스플릿으로 연결한다.
-
쿠드랍체바4(공):
야나 쿠드랍체바의 오리지널리티다. 공을 던졌다가 받으면서 스태그 턴 립 점프로 연결한다. 공을 받을 때 공을 보면 안 된다.
-
마문(후프):
마르가리타 마문의 오리지널리티다. 후프를 몸 위에서 수직축 회전을 하면서 손에서 가슴으로 굴린다. 이때 신체 높이에 변화가 생긴다.
-
리잣디노바(후프):
안나 리잣디노바의 오리지널리티다. 팔을 수평으로 벌린 상태에서 후프를 한쪽 팔에서 반대편으로 굴린다. 이때 후프는 수평축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함과 동시에 수직축 회전을 유지해야 한다.
-
두룬다(후프):
마리나 두룬다의 오리지널리티다. 물구나무서기를 하면서 후프를 등에서 굴린 후 발로 차올렸다가 받는다.
3. 신체난도에서의 오리지널리티
수구난도에서와 같이 가산점을 주는 방식의 오리지널리티라면 없다고 하는 것이 맞다.FIG에서는 신체난도 표에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신체난도를 만드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오리지널리티를 등재하려면 FIG 주관대회[4] 2개월 전까지 해당 동작에 대한 그림과 설명문[5], 영상[6]을 FIG의 리듬체조 기술위원회에 제출한 후, 대회[7]에서 감점 없이 성공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FIG 의장의 친필 서명을 받은 시점부터 새로운 신체난도로 등재되어 일정 점수를 부여 받게 된다.
3.1. 신체난도 표에 등재된 동작들
- 점프 난도 계열
- 밸런스 난도 계열
- 카바예바(Kb): 러시아 선수 알리나 카바예바의 이름을 딴 기술이며 서포티드 체스트 밸런스다.
- 우차쉬바(U): 러시아 선수 리야잔 우차쉬바의 이름을 딴 기술이며 백스플릿+백벤드 백스케일 180º 슬로우 턴+백스플릿이다.
- 우차쉬바2(U2): 우차쉬바에서 슬로우 턴이 빠진 동작이다.
- 우차쉬바3(U3): 우차쉬바2에서 마지막 백스플릿이 빠진 동작이다.
- 기지코바(Gz): 러시아 선수 자리나 기지코바의 이름을 딴 기술이며 프론트스플릿에서 프리 렉만 움직여 백스플릿으로 전환되었다.
- 카프라노바(Kp): 러시아 선수 올가 카프라노바의 이름을 딴 기술이며 기지코바의 전환 과정에서 180º 턴이 들어간다. 롱드 포지션이라고도 한다.
- 회전 난도 계열
3.2. 이름을 따지 않은 신체난도들
- 밸런스 난도 계열
- 회전 난도 계열
3.3. 사라진 동작들
더 어려운 난도가 등장하거나, 부상 위험 등으로 제외된 동작들이다. 이 중 몇몇 동작은 룰 개정을 거치면서 신체난도에 등재되었다.- 카바예바(Kb): 어려운 난도의 등장으로 제외되었다가 밸런스 난도에 등재되었다.
- 코스티나: 3연속 스플릿 립. 부상 위험을 이유로 제외되었다가 부활했다.
- 바티르쉬나: 러시아 선수 야나 바티르쉬나의 기술이었다. 프리 렉을 펴지 않은 백일루전 자세로, 3회전 이상을 구사했다. 후에 이리나 차시나가 3회전 이상을 구사하면서 제외되었다.
- 라렌코바: 불가리아 선수 아넬리아 라렌코바의 기술이었다. 카트휠의 일종으로, 어려운 난도의 등장으로 제외되었다.
- 우차쉬바: 러시아 선수 리야잔 우차쉬바의 기술이었다. 양 발 링 점프와 스플릿 링을 연달아 수행하는 기술로, 부상 위험으로 제외되었다. 실제로 우차쉬바는 이 기술을 연습하다가 발가락뼈가 골절 당하는 부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 골루벤코: 러시아 선수 율리아 골루벤코[9]의 기술이었다. 니밸런스 360º 슬로우 턴으로, 채점제에서 니밸런스 상태에서의 슬로우 턴을 금지하면서 제외되었다.
3.4. 발레 동작에서 유래한 기술
발레 동작에서 유래한 동작을 선수가 갈라 프로그램에서 선보인 기술들이다.- 포에테 밸런스: 러시아 선수 베라 세시나가 갈라에서 처음 구사한 기술로, 각각 다른 자세의 밸런스를 자세 전환마다 180º의 회전을 동반해 2가지 이상 구사하는 동작이다. 2012년 룰 개정 때 밸런스 난도에 공식 등재되었다.
- 프로메나데 턴: 러시아 선수 올가 카프라노바가 처음 구사한 기술로, 발레의 프로메나데와 동일하다.
3.5. 오리지널리티가 아닌 기술들
오리지널리티로 알려졌던 기술들이다. 다만 해당 선수들 외에는 구사하는 선수가 거의 없어서 오리지널리티 취급을 받는다.-
제냐 피봇:
카나예바의 기술로 알려졌지만, 단순히 백벤드 서포티드 링 피봇의 변형 동작이다.
- 스타니우타: 벨라루스 선수 멜리티나 스타니우타의 기술로 알려졌지만, 코작+팡쉐 회전의 복합 난도일 뿐이다. 기한이 지나서 오리지널리티에서 제외되었다.
[1]
이때 설명문은
영어와
프랑스어로 쓰여야 한다.
[2]
해당 동작 자체를 설명한 영상과 실제 경기 영상 2가지를 제출해야 한다.
[3]
FIG에서는 2010년에 FIG 의장의 오리지널리티를 승인하는 친필 서명이 담긴 서류를 샘플로 공개한 적이 있다. 참고로 당시 서류의 주인공은
안나 리잣디노바다.
[4]
올림픽, 세계선수권,
청소년올림픽을 말한다. 월드컵 시리즈는 제외.
[5]
이때 설명문은 영어와 프랑스어로 쓰여야 한다.
[6]
해당 동작 자체를 설명한 영상과 실제 경기 영상, 2가지를 제출해야 한다.
[7]
올림픽, 세계선수권,
청소년올림픽이 해당된다.
[8]
점프 난도의 턱 점프 자세와 동일하다.
[9]
예브게니야 카나예바의 올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