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5:40:12

후안 라가레스

라가레스에서 넘어옴
후안 라가레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 (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 (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 (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 (3) (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 (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 (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 (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 (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 (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 (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 (3) (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 (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 (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 (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 (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 (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 (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 (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 (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 (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 (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 (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 (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 (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 (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 (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 (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후안 라가레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SG 랜더스 우승 엠블럼 V5.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2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중견수 부문 골드 글러브
카를로스 고메즈
( 밀워키 브루어스)
후안 라가레스
( 뉴욕 메츠)
AJ 폴락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2013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외야수 부문 윌슨 올해의 수비수 상
카를로스 고메즈
( 밀워키 브루어스)
카를로스 곤잘레스
( 콜로라도 로키스)
저스틴 맥스웰
( 휴스턴 애스트로스)
앤드류 맥커친
( 피츠버그 파이리츠)
마이클 본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지안카를로 스탠튼
( 마이애미 말린스)
맷 켐프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카를로스 고메즈
( 밀워키 브루어스)
크리스 데노피아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제이 브루스
( 신시내티 레즈)
후안 라가레스
( 뉴욕 메츠)

그레고르 블랑코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데나드 스판
( 밀워키 브루어스)
헤라르도 파라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양대리그 통합 수상

파일:MLB 로고.svg 2013년 메이저 리그 중견수 부문 필딩 바이블 상
카를로스 고메즈
( 밀워키 브루어스)
후안 라가레스
( 뉴욕 메츠)
케빈 키어마이어
( 탬파베이 레이스)

뉴욕 메츠 등번호 12번
스캇 헤어스턴
(2011~2012)
<colbgcolor=#FF5910><colcolor=#FFFFFF> 후안 라가레스
(2013~2019)
에두아르도 누네즈
(2020)
뉴욕 메츠 등번호 15번
루이스 기요르메
(2018)
후안 라가레스
(2020)
브라이언 도저
(2020)
뉴욕 메츠 등번호 87번
후안 라가레스
(2020)
결번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19번
호세 브리세뇨
(2020)
후안 라가레스
(2021)
오스틴 로마인
(202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10번
저스틴 업튼
(2020~2021)
후안 라가레스
(2022)
딜런 토머스
(2022)
SSG 랜더스 등번호 27번
크론
(2022~2022.7.7.)
라가레스
(2022.7.19.~2022)
에레디아
(2023~)
}}} ||
}}} ||
파일:라가레스2022.jpg
<colbgcolor=#FFBF00><colcolor=#000> 아길라스 시바에냐스 No.17
C
후안 라가레스
Juan Lagares
본명 후안 오스발도 라가레스
Juan Osvaldo Lagares
출생 1989년 3월 17일 ([age(1989-03-17)]세)
라베가 주 콘스탄사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센트로 에두카티보 후안 파블로 고등학교
신체 188cm, 99kg
포지션 외야수[1]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6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 NYM)
소속팀 뉴욕 메츠 (2013~2020)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1~2022)
SSG 랜더스 (2022)
아길라스 시바에냐스[2] (2023~)
등장곡 GTA & TJR - Mic Check[3]
응원가 구단 자작곡[가사]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데뷔 전2.2. 뉴욕 메츠
2.2.1. 2013년2.2.2. 2014년2.2.3. 2015년2.2.4. 2016년2.2.5. 2017년 ~ 2020년
2.3.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3.1. 2021년
2.4. SSG 랜더스2.5. 2022년 이후
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연도별 기록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국적의 외야수. 메이저리그 골드글러브 수상 경력이 있으며, 넓은 수비 범위와 판단력으로 외야 전 포지션에서 고른 활약을 보이는 선수다.

2. 선수 경력

2.1. 데뷔 전

도미니카 공화국 내에서도 고산지대인 콘스탄자에서 자랐다. 동네가 워낙 야구 외에도 스포츠 관련으로는 열악한 교육 환경을 가진 지라 처음에는 소프트 볼을 시작했다고 한다.

동네 또래들에 비해 타고난 팔힘으로 유망하다는 평가를 받고 더 큰 도시로 유학을 가서 정식 야구 교육을 받기를 권유 받았지만 그는 동네에 계속 머물기를 원했고 계속된 주변 사람들의 설득으로 유학 길에 올랐다. 야구 유학길에 오른 지 8개월째인 2006년 도미니카로 온 뉴욕 메츠의 스카우트에게 관심을 받게 되었고 그해 5월 5일 계약을 맺게 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강한 어깨와 날쌘 발로 유격수 포지션을 맡고 있었다.
곧바로 도미니카의 교육리그에 참여하게 되었고 57경기에 나와 .255/.339/.412 12도루의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었다. 성장 가능성을 본 프런트는 곧바로 본토로 그를 불렀고 싱글 A 리그에 참석하게 된다.

하지만 부진한 모습을 보여준 뒤 팔 부상으로 인해 약 10개월만에 복귀를 하였고 로우 싱글A에서 시즌을 보냈다. 65경기 .253/.284/.352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2009 시즌을 앞두고 싱글 A로 승격했지만 허리 부상으로 시즌을 통째로 날렸고 포지션을 외야로 변경한 뒤 가을 리그로 복귀를 했다. 53경기 .266/.297/.323 10도루를 기록했다.

이듬해 2010년, 싱글 A에서 3할 타율을 유지하며 시즌 중반 하이 싱글 A로 승격했지만 발목이 부러지는 부상을 당하면서 시즌을 조기에 마감했다.

2011년, 타격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며 도중에 더블 A로 승격하였고 시즌이 끝나고는 40인 로스터에 포함되는 쾌거를 이룩했다. 그해 기록한 성적은 120경기에서 .349/.383/.500 71타점과 15도루였다.

2012년은 더블A에서 풀 시즌(130경기)를 보내며 빅리그 진입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었다.

2.2. 뉴욕 메츠

2.2.1. 2013년

처음으로 트리플A에서 시작해 중견수 포지션으로 활약 중이었는데, 17경기를 뛰던 중 4월 23일, 커크 뉴엔하이즈의 강등으로 콜업이 되었으며 처음으로 빅 리그 진입을 하게 되었다. 타격 능력에 대해서는 언제나 의문이었던 그였지만 몇 년 새 발전된 모습을 보였고 뛰어난 수비능력은 어디가지 않았기에 프런트에서 콜업을 결단하였다. 그리고 당시 말론 버드를 제외하면 부실한 수준의 외야진( 앤드류 브라운-.239/마이크 백스터-.212/요다노 발데스핀-.188) 이라 유망주를 이른 시기에 승격할 수 밖에 없었다.
승격된 4월 23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경기에서 데뷔를 하였다. 선발 출장이 아닌 투수대타로 5회 나온 그를 상대한 첫 투수는 클레이튼 커쇼였고 뜬공을 만들어내는데 그쳤다. 하지만 다음 타석에 파코 로드리게스를 상대로 생애 첫 메이저 리그 안타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팀은 2-7로 패배하였다.

이후 하위타선에서 선발과 대타를 오가며 경기에 나섰지만 1할도 안되는 타율을 보여주며 고통을 안겨주었다. 5월에는 주로 주전으로 나섰고 3경기 연속안타 등 신바람 야구를 하던 중 5월 19일 리글리 필드에서 열린 시카고 컵스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 출장하여 트래비스 우드를 상대로 투런을 처내며 첫 메이저리그 홈런을 신고했다. 경기를 멀티히트로 마치면서 8경기 .320의 타율을 마크했다.

이후 다시 귀신같이 침묵에 빠졌고 4경기 연속 무안타를 6월 5일 워싱턴 내셔널스를 상대로 3안타를 쳐내며 끊어냈고 이후 시즌이 끝날 때까지 96경기 동안 .256/.295/.366을 기록하면서 반전 모습을 보여주었다.(데뷔 후 첫 25경기 .146/.180/.250)

7월 15-21일 동안 3경기에 나와서 7안타 1홈런 5타점 .700/.700/1.200 압권의 모습을 보여주었고 내셔널 리그 주간 선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말론 버드, 트레이드로 온 에릭 영 주니어와 함께 카를로스 벨트란이 빠진 뒤 침체기에 빠진 외야진에 한줄기 희망이 되었다.

시즌 총평은 '타격은 그저 그런데 수비는 엄지 척'이었다. 중견수로는 108경기 밖에 출전하지 않았는데 내셔널 리그 중견수 최다 보살 1위(14, 2위- 카를로스 고메즈 12)과 외야수 레인지 팩터 1위(2.95), 수비 WAR 3.5로 내셔널 리그 전체 5위에 랭크 그리고 내셔널 리그 윌슨 수비수 외야수 부문에 선정되면서 수비에서만큼은 슈퍼루키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타격은 다소 아쉬운 수준을 보여주었다. 하위타순에서 121경기 .242/.281/.352 4홈런 34타점을 기록 공격 WAR 0.3으로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히팅 능력은 나쁘지 않은 편이나 선구안이 엉망이라 20개의 볼넷을 골라내는 동안 96개의 삼진을 당하였다.

중견수에는 이렇다할 경쟁자들이 없기 때문에 내년 시즌에도 별일 없다면 메이저리그 주전으로 활약할 것이 기대되었다. 시즌 후에도 도미니카 윈터리그에 참여하여 윈터리그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하며 단점 극복의 노력을 보였다.

2.2.2. 2014년

개막로스터에서 시작된 이번 시즌은 초반부터 부상에 시달렸는데 4월 14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의 경기 7회에 주루 도중 햄스트링 부상으로 교체되었고 15일 DL에 올랐다. 이번엔 커크 뉴엔하이즈가 마이너에서 콜업되어 그의 공백을 메운다.

부상 전까지 13경기에 나왔는데 1경기를 제외하고 모두 안타를 치며 .314/.345/.471의 영양만점의 활약을 보여주던 중이기에 깊은 아쉬움이 남았다. 2주만에 복귀하였고 복귀전 멀티 히트를 시작으로 타격감각의 건재함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6월 2일 오른 사근 부상으로 다시 DL에 올라야했고 6월 말이 돼서야 복귀를 하였다. 복귀 후 한달 간 타격감은 완전 떨어졌으며 (.295->.252) 수비에서도 조심스러운 모습이 종종 나왔다.

8월 이후 다시 감각의 날을 갈아서 돌아왔지만 9월 16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경기 중 수비상황에서 팔꿈치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여 5회에 교체되어 나갔고 23일 오른 팔꿈치 염좌로 남은 시즌을 정상적으로 치를 수 없게 되었다.

에릭 영 주니어의 부진(.229/.299/.311)과 밥값 못한 베테랑 바비 아브레우 덕에 커티스 그랜더슨과 함께 유이한 외야 버팀목으로 남으며 피로도가 심한 중견수 포지션임에도 팀으로부터 체력 안배를 받지 못하며 잦은 부상으로 고생했던 것이다.

부상을 제외하면 정말 흠잡을 데 없는 활약을 보여주었는데 2년차 징크스 없이 타율을 4푼이나 끌어올렸고(BABIP .310->.341) 선구안은 여전했지만 컨택능력이 농익고 날랜 발로 도루를 13회 (4회 실패)하며 다재다능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성적으로 공격 WAR는 2.3(13년 0.3)을 마크했다.

수비는 여전히 건재했는데 지난해에 이어 레인지 팩터 내셔널 리그 외야수 1위 (2.85)를 기록, 실책은 지난해와 같은 5회 (내셔널 리그 중견수 4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수비 WAR 3.4로 내셔널 리그 전체 2위[5]에 위치했다. 클라스가 여전한 수비와 급 빵긋한 타격으로 종합 WAR 5.5를 기록했다. 결국 골드 글러브 외야수 부문을 수상하게 되면서 뉴욕 메츠의 10번째 골드 글러버가 되었다.[6][7]

2.2.3. 2015년

2년차 징크스 따위는 문제도 아니었던 성공적인 시즌을 보내며 상승 주가를 보이는 상황, 4월 2일 뉴욕 메츠와 4+1년 최대 32.5M의 계약을 맺게 된다. 이는 바로 다음 시즌부터 적용되는 계약이며 백로드 계약이다(2.5M - 4.5M - 6.5M - 9.5M + 9.5M)

시즌 시작하며 뚜껑을 열어보니 참된 계약을 맺었음을 알 수 있었다. 4월 13일부터 23일까지 10경기 연속 안타를 치며 .342/.366/.368의 똑딱스러움을 보여주었고 4월 한 달 간 .297의 타율을 마크했다.

하지만 이후 21경기에서 .165/.224/.203 삼진 15개로 밸런스가 완전히 무너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래도 주전자리는 유지하였다.

기복이 유난히 심한 해였는데 10경기를 몰아치며 버닝했다가도 다시 침묵에 빠지면서 테이블 세터인 2번 자리에서 점점 밀려나기 시작했다. 부진하다가도 다시 반등의 모습을 보여줬지만 여름 이후로는 아무 공에나 마구잡이식 스윙을 하면서 더 깊은 부진의 늪에 빠지게 되었다.

팀은 워싱턴 내셔널스의 자멸로 오랜만의 가을야구를 눈앞에 두고 있던 차에 마크 커다이어가 베테랑의 품격을 보여주고 기대주인 마이클 콘포토가 범상치 않은 포스를 풍기고 커티스 그랜더슨가 무난한 활약을 보이는 외야진의 유일한 구멍이라 할 수 있는 중견수 포지션(.251/.280/.331)[8]을 보강하고자 밀워키 브루어스 카를로스 고메즈(.262/.328/.423),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요에니스 세스페데스(.293/.323/.506) 영입에 노력했고 결국 MVP급 활약을 펼치던 요에니스 세스페데스를 데려옴으로써 주전자리에서 밀려나게 되었고 대타나 대수비 자원으로 경기에 출전하게 된다.

이대로 초라한 퇴장을 할 것 같지만 반전의 기회가 찾아왔는데 포스트시즌을 앞두고 커다이어와 콘포토의 동반 부진으로 중견수 주전으로 경기에 출전하게 된다. 다저스와의 2015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는 4경기에서 .429/.500/.714를 컵스와의 2015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4경기 동안 .333/.333/.333 로얄스와의 2015년 월드 시리즈에서 10타석 3안타를 치며 첫 포스트 시즌이자 통산 포스트 시즌 .348/.375/.435의 불방망이와 호수비로 가치를 입증해냈다.

부상 없이 치른 첫 시즌 성적은 143경기에서 .259/.289/.358 6홈런과 41타점-47득점을 기록했다. 방망이에서는 다소 아쉬웠으나 수비에서는 여전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레인지 팩터 외야수 내셔널 리그 4위인 2.56, 그리고 1003⅔이닝 동안 단 2개의 에러를 허용하였다.

2.2.4. 2016년

경쟁자이던 요에니스 세스페데스는 FA로 떠났고 팀에서는 그의 대체자랍시고 알레한드로 데 아자를 데려왔다.(통산 WAR 7.1) 라가레스의 타격 성장은 기대가 어려워졌고 세스페데스가 떠나며 사실상 빵꾸가 나버린 중견수 포지션을 어떻게 보강할 것인가가 최대 난제이던 오프시즌, 뉴욕 메츠는 오랜만에 거금을 지르며 세스페데스를 다시 자리에 앉히는 데 성공한다. 사실상 중견수 포지션을 떠나서 백업 외야수로 경쟁을 하게 되었다.

2.2.5. 2017년 ~ 2020년

2020년을 마지막으로 메츠에서 방출됐다.

2.3.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3.1. 2021년

뉴욕 메츠에서 방출된 이후 스프링캠프를 통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에 합류했고, 마이크 트라웃의 백업 중견수로 개막 로스터에 드는 데 성공했다. 이후 트라웃의 부상으로 주전 중견수 자리를 얻어 출장 중이다.

2.4. SSG 랜더스

2.4.1. 2022 시즌

파일:라가레스.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후안 라가레스/선수 경력/2022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케빈 크론의 대체 용병으로 팀에 합류해 클러치 상황에서 강한 모습[9]과 쏠쏠한 한 방을 치며 통합 우승에 기여했으나 바깥쪽 공에 잘 대처하지 못하는 선구안과 수비에서의 아쉬운 모습[10] 등으로 아쉽게 재계약에는 실패하였다.

2.5. 2022년 이후

본인의 SNS에 더 이상 야구선수로서의 관련 근황이 전해지지 않아 사실상 은퇴하고 펜션을 운영하는 등 삶을 즐기는 것으로 보였으나, 다시 야구선수로서의 생활을 이어간 듯 하다.

2023년 현재, 2021년 겨울에도 뛰었던 도미니카 공화국의 아길라스 시바에냐스에서 뛰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11] 구단 공식 인스타그램이 통산 200안타를 축하해주기도 했다. #

3. 플레이 스타일

파일:라가레스 홈런.gif
라가레스의 타격폼[12]

MLB 시절 기준 전형적인 똑딱이 타자로, 홈런은 적지만 나쁘지 않은 컨택과 빠른 발로 2루타, 3루타를 곧 잘 만들어냈다. KBO 입성 이후에는 도루가 많지는 않지만 준수한 일발 장타력을 자랑하며 타격에서도 평균 이상의 모습이었다.
파일:라가레스 호수비.gif
채은성의 홈런성 타구를 잡아내는 모습
(2022. 07. 27.)
파일:라가레스 수비.gif
안치홍의 장타성 타구를 잡아내는 모습
(2022. 09. 13.)
2014년에 중견수로 내셔널리그 골드글러브를 수상했던 선수로 2013~14년 모두 베이스볼 레퍼런스 기준 dWAR 3을 넘길 정도로[13] 엄청난 수비력을 보여줬었다. 이후에는 기량이 다소 쇠했지만 여전히 외야 전 포지션을 준수하게 소화가능한 수비능력을 갖고 있다. 2021년에는 470이닝을 수비해서 평균보다 조금 더 좋은 수비를 보여줬고 주루 또한 평범한 수치를 보여주었다.

4. 수상 내역

5. 연도별 기록

역대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bWAR
2013 NYM 121 421 95 21 5 4 35 34 6 20 96 .242 .281 .352 .633 2.3 3.4
2014 116 452 117 24 3 4 46 47 13 20 87 .281 .321 .382 .703 2.9 5.2
2015 143 465 114 16 5 6 47 41 7 16 87 .259 .289 .358 .647 0.6 0.4
2016 79 160 34 7 2 3 15 9 4 11 27 .239 .301 .380 .681 0.8 0.8
2017 94 272 63 16 2 3 37 15 7 14 56 .250 .296 .365 .661 1.7 2.1
2018 30 64 20 1 1 0 9 6 3 3 9 .339 .375 .390 .765 0.6 1.1
2019 133 285 55 12 1 5 38 27 4 22 75 .213 .279 .326 .605 -0.3 -0.7
2020 2 0 0 0 0 0 0 0 0 0 0 - - - - 0.0 0.1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bWAR
2021 LAA 112 327 73 20 2 6 39 38 1 12 76 .236 .266 .372 .638 -0.2 -0.3
2022 20 62 11 2 1 0 4 0 0 2 15 .183 .210 .250 .460 -0.6 -0.9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RC+ sWAR
2022 SSG 49 202 57 9 0 6 32 24 4 16 18 .317 .364 .467 .830 126.9 1.19
MLB 통산
(10시즌)
850 2508 582 119 22 31 270 217 45 120 528 .250 .291 .360 .651 7.8 11.2
KBO 통산
(1시즌)
49 202 57 9 0 6 32 24 4 16 18 .317 .364 .467 .830 126.9 1.19

6. 여담

7. 관련 문서


[1] 주 포지션은 중견수지만 좌익수와 우익수 모두 소화해 낼 수 있다. SSG에서는 중견수에 최지훈, 김강민 우익수에 추신수, 한유섬이 있어서 좌익수로 뛰었다. [2] 2021 겨울리그에서도 뛰었던 팀이다. [3] (I say woo, you say hah!) (후!) 안! ×8. 박민수 응원단장의 선창 "후!"에 맞추어 "안!"이라고 외친다. [가사] 랜더스 라가레스 빅토리 라가레스 워어어~ 워어어~ 워어어~ 랜더스 라가레스 빅토리 라~가~레~스 워어어~ 워어어~ 워어어~ 라!가!레스! [5] 1위는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유격수 안드렐톤 시몬스의 3.9 [6] 2008년 데이빗 라이트 카를로스 벨트란 이후 6년만의 수상 [7] 공교롭게도 외야 부문 수상자들 모두 내셔널 리그 동부지구 소속이다. 크리스티안 옐리치는 마이애미 소속이고 제이슨 헤이워드는 애틀랜타 소속, 유격수 안드렐톤 시몬스까지 포함하면 9명 중 4명이 동부 지구 소속이다. [8] 당시 성적 기준 [9] 만루 시 타율은 0.800 [10] 타구의 위치 파악 및 포구에는 강점을 보였으나, 안일한 후속 플레이로 1루->2루 태그업을 내주거나 바운드볼을 맨손 캐치하다 떨어뜨리거나 등 어설픈 모습을 보여주었다. [11] 말년에는 서머리그 팀을 안/못 구하고 자국 윈터리그에서만 뛰는 선수들이 중남미에는 꽤 있다. 보통 돈이 많은 선수는 야구를 하고 싶어서, 돈은 없지만 아시아에서도 안 불러주고 마이너 계약도 더 이상은 못 따내는 선수들은 은퇴 전에 한두 푼이라도 더 벌려고 윈터리그에서만 꾸준히 나온다. [12] 2022 한국시리즈 3차전 투런홈런. [13] 이는 케빈 키어마이어, 케빈 필라 등 리그를 대표하는 중견수들이나 찍을 수 있는 수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