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04:01:23

1분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비슷한 이름의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1분미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1b2a3a><colcolor=#fff>
   소속 치지직 스트리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분만 가인저쏘제 과로사 군림보 금강연화 김동현
김블루 김성회 김재원 남도형 네루짱 단군
똘킹 라디유 램램 러끼 런민기 레바
류으미 마뫄 말랑찹쌀 매직박 문호준 밍모
박옥자누나 발__젭 빅헤드 뽀융쨩 쁘허 사모장
살구 새옴 선바 소니쇼 쉐리 슈카월드
아구 아이템의 인벤토리 알로직 양아지 에렌디라 연두
예라랑 옥냥이 왈도쿤 용연향 유콘 이춘향
일오팔 장마군 주둥이방송 주호민 지식해적단 진돌
진렬이 쵸쵸우 치킨쿤 코렛트 퀸톨 태경
판자집 강아지 푸린 풍월량 프로관전러 P.S 피아노캣 피큐큐
헤징 형독 흑운장
전체 소속 크리에이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지식스토리.jpg 지식스토리
관련 채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10초만 프로필.jpg
파일:꼬미브 프로필.jpg
파일:줌알스토리 프로필.jpg
지식스토리 1분만 1분 음악 Kkomeve 꼬미브 주말특급 LIFE
※ 주말특급 LIFE와 꼬미브는 현재 버려진 것으로 추정. }}}}}}}}}
<colbgcolor=#000><colcolor=#fff> 1분만
Just 1 Minute
파일:딱1분만집중해서들어봐.jpg
출생 2001년 ([age(2001-12-31)]~[age(2001-01-01)]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67cm
가족 부모님, 남동생
종교 무종교[1]
MBTI ENFJ[2]
퍼스널 컬러
검은색 (#000000)
구독자 애칭 1인분
영상 첫 업로드일 2021년 1월 28일
[dday(2021-01-28)]일째
구독자 수 99만 명[기준]
총 조회수 738,401,281회[기준][5]
소속사 샌드박스 네트워크
관련 링크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커뮤니티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디어스 아이콘.png
블로그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
2.1. 스트리밍2.2. 구독자 증가 추이
3. 활동 중단 및 재개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1분만 자캐.png
1분만을 나타내는 캐릭터[6]
딱 1분만 집중해서 들어봐.
영상 시작 대사
딱, 1분만 뺏는다.
채널 배너
1분만은 지식스토리의 부계정으로, 유튜브를 볼 시간도 없이 바쁜 현대인을 위해 여러 가지 내용을 정확히 1분으로 말한다.

특이점이라면 설명을 하고 있는 도중에도 정확히 1분이 되면 끊는다는 것인데, 오분순삭, 1분미만 등 다른 채널들은 거의 대부분 채널명과 달리 시간을 초과하거나 미달되는 경우가 많지만, 1분만은 정확히 1:00에 끊는다. 그런데 이것이 습관이 된건지 커뮤니티 게시글에서도 말을 하다가 중간에 끊는다.[7] 진지한 주제에서는 말을 끊지 않는다.

업로드 시각은 평일 오후 5시, 주말 정오 및 오후 6시이다.

2. 상세

정확히 1분이 지나면 영상을 끊으며, 항상 영상이 끝나갈 무렵에 팩트나 자신의 썰을 말하곤 한다. 문장을 다 읽기 전에 영상을 끊어 버리는데 이것이 재미있어서 그런지 거의 시그니처처럼 자리 잡았다.[8][9][10] 게다가 오른쪽 위에 초 시계가 있어 1분까지 얼마나 남았는지 표시해 준다.
파일:1640589818686.png
1분맨
캐릭터도 존재한다. 이름은 '1분맨'이다.[11]

2.1. 스트리밍

2.2. 구독자 증가 추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table bgcolor=#fff><table color=#000> 파일:딱1분만집중해서들어봐.jpg 1분만
구독자 수 변화 추이 일람
}}} ||
기준 날짜 구독자 수 증가 수치
2022년 1월 31일
630,000명
+2천 | +2%
2022년 2월 1일
631,000명
+1천 | +1%
2022년 2월 2일
633,000명
+2천 | +2%
2022년 2월 3일
635,000명
+2천 | +2%
2022년 2월 4일
637,000명
+2천 | +2%
2022년 2월 5일
638,000명
+1천 | +1%
2022년 2월 7일
639,000명
+1천 | +1%
2022년 2월 8일
641,000명
+2천 | +2%
2022년 2월 9일
643,000명
+2천 | +2%
2022년 2월 11일
645,000명
+2천 | +2%
2022년 2월 12일
646,000명
+1천 | +1%
2022년 2월 13일
648,000명
+2천 | +2%
2022년 2월 14일
649,000명
+1천 | +1%
2022년 2월 15일
651,000명
+2천 | +2%
2022년 2월 16일
653,000명
+2천 | +2%
2022년 2월 17일
655,000명
+2천 | +2%
2022년 2월 18일
657,000명
+2천 | +2%
2022년 2월 19일
659,000명
+2천 | +2%
2022년 2월 20일
662,000명
+3천 | +3%
2022년 2월 21일
665,000명
+3천 | +3%
2022년 2월 22일
667,000명
+2천 | +2%
2022년 2월 23일
672,000명
+5천 | +5%
2022년 2월 24일
674,000명
+2천 | +2%
2022년 2월 25일
681,000명
+7천 | +7%
2022년 2월 26일
687,000명
+2천 | +2%
2022년 2월 27일
693,000명
+2천 | +2%
2022년 2월 28일
705,000명
+1.2만 | +12%
2022년 3월 1일
706,000명
+1천 | +1%
2022년 3월 10일
750,000명
+4.4만 | +14%
2022년 3월 11일
753,000명
+3천 | +3%
2022년 3월 12일
757,000명
+4천 | +4%
2022년 3월 13일
761,000명
+4천 | +4%
2022년 3월 14일
766,000명
+5천 | +5%
2022년 3월 15일
770,000명
+4천 | +4%
2022년 3월 16일
774,000명
+4천 | +4%
2022년 3월 17일
777,000명
+3천 | +3%
2022년 3월 18일
780,000명
+3천 | +3%
2022년 3월 19일
784,000명
+4천 | +4%
2022년 3월 20일
788,000명
+4천 | +4%
2022년 3월 21일
791,000명
+3천 | +3%
2022년 3월 22일
794,000명
+3천 | +3%
2022년 3월 23일
800,000명
+6천 | +6%
2022년 5월 18일
900,000명
+10만 | +100%
2022년 6월 29일
903,000명
+3천 | +3%
2024년 6월 7일
983,000명
+8만 | +80%
2024년 6월 7일
990,000명
+7천 | +7%
2024년 6월 22일
994,000명
+7천 | +4%
2024년 6월 ?일
1,000,000명
+1만 | +10%

3. 활동 중단 및 재개

2022년 5월 30일 공지에 의하면, 운영진의 건강 상태와 개인적인 사정으로 더 이상 채널을 운영할 수 없고, 언제 다시 재개할 수 있다고 확답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추후 재개 과정에서 제작진이 교체가 된 것을 미루어보아 내부 갈등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커뮤니티 전문 펼치기 · 접기 ]
||안녕하세요. 1분만입니다.

지난번 업로드 중단 문제로 커뮤니티를 통해 공지했었는데, 연이은 공지가 좋지 않은 소식이어서 정말 죄송한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

우선 앞으로 1분만 채널은 운영이 중단될 예정입니다.
운영진의 건강 문제와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더 이상 채널을 운영할 수 없는 상황이며, 언제부터 다시 재개할 수 있다고도 말씀드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예전 지식스토리 채널을 시작으로 1분만 채널을 개설하며 지금까지 달려오는 동안 많은 분들이 폭발적인 관심을 보내주셨습니다. 저희 모두 믿을 수 없을 만큼 신기하고 기뻤습니다. 이 채널에서는 종종 스트리밍으로 여러분과 소통하기도 하며 정말 재미있게 운영했는데요. 어느새 90만을 돌파하며 꿈만 같았던 100만을 향해 달려가면 되는 상황에서 이런 소식 전해드리게 되어 너무 안타깝습니다...

이 채널을 운영한 지가 1년 반 정도 되었는데요. 어찌 보면 길지 않은 시간이지만 이 기간에 제가 1분만이라는 채널과 저희 시청자분들께 가진 애정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입니다. 이에 채널 운영이 어려워진 것에 대하여 저도 너무 속상하고 마음 아플 따름입니다. 아마 채널 운영이 재개된다고 해도 제가 참여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어서, 마지막으로 인사드리는 마음으로 글을 올립니다.

여러분의 삶에서 1분이라는 시간을 제가 채워드릴 수 있어 너무 기뻤습니다.
언젠가 유튜브를 통해 다시 찾아뵐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분만 올림||


2022년 6월 14일에 커뮤니티 공지를 통해 활동 재개를 준비하고 있다고 알렸고, "주말" 등 몇몇 팀원들이 빠지는 대신 새 팀원을 모집한다고 알렸다.

2022년 6월 24일에 새로운 팀원 추가 모집하였다.

2022년 8월 15일에 공개한 팀원 수는 6명이다.

2022년 8월 14일, " 주말이" 채널에 업로드 영상에서 1분만에서 목소리를 담당하던 성우와 제작진은 따로 주말이 채널을 만들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 주말이 채널에서 밝힌 바로는 1분만은 지식스토리와 함께 성우(주말)+편집자팀이 운영하는 제작팀이었는데, 내부에서 마찰이 생겨서 채널을 두고 이전에 활동하던 1분만의 제작진과 성우가 따로 갈라져서 나온 것으로 밝혔다. 1분만에서 편집을 담당하던 편집자들도 1분만에서 나온 다음 주말이 채널에 합류한 것으로 밝혔다. 즉, 지금의 1분만 채널은 이전과는 다른 제작진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성우도 교체되어 8월경 영상에서는 이전과는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이 여파로 인해 기존 성우의 목소리를 그리워하는 팬들 때문에 복귀 이후 영상 조회 수와 구독자 수가 줄어들고 일각에서 주말이 채널로 시선을 돌리기도 했다. 기존 성우 주말이는 목소리가 낮고 중후하지만 현실적인 어조에 비해 새로운 성우는 다소 목소리가 높고 가벼운 느낌이다.

주말이에서 밝히길 1분만의 앞으로 건승을 빌어주며 각자의 길을 가기로 했다고 한다.

성우가 바뀐 이후 초기 조회수는 여전히 최소 20만을 기록하며 성행하고 있었다. 바뀐 성우가 기존의 성우와 목소리 톤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존 1분만 감성을 느끼고 싶어 하는 구독자들이 있기 때문에 주말이 채널로 이동할 가능성도 존재했다.

위 상술한 여러 이유 때문에 2022년 5월 90만 구독자를 돌파했음에도 약 1년 가까이 구독자가 증가하지 않고 유지만 되고 있었다. 2023년 연초부턴 조금씩 구독자가 감소하여 92만 명대가 위태로워졌었으나 현재는 다시 점진적 증가 중이다. 2023년 9월 기준 96.2만명, 2024년 6월 22일 기준으로 99.4만명이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 [2] 2024년 3월 9일, Shorts에서 밝혔다. # [기준] 2024년 6월 7일 [기준] [5] 실시간 [6] 원본 [7] 예를 들면 항상 감사합니ㄷ [8] 예를 들면 "근데 그러면 그냥 거기에다 전자발찌를 채ㅇ..."이런 식이다. 말은 중간에 끊기지만 자막으로는 문장이 전부 온전하게 나온다. [9] 단, 전쟁 같은 무거운 주제 또는 진지한 주제는 말을 끊지 않는다. [10] 2022년 7월 22일 영상인 '발작버튼' 편에서는 영상 길이 자체는 1분이지만 오디오를 55초에 끊고 5초간 시간 끌기(?)를 시전하였다. [11] 필요에 따라 '일분맨'으로도 부르기도 하며 북한 관련 콘텐츠에서는 '릴분맨'으로 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오류인 게, 一(한 일) 자는 이미 '일'발음이기에 북한에서도 '일'로 발음한다. [12] 스트리밍에 표시된 시계를 기준으로 한다. [13] 그냥 영상 설정에서 광고 포함을 체크하면 되는 거라 어렵지는 않다. [14] 녹음, 게시 당시에는 방송 예정이었다. [15] 다만 DGIST가 소재한 달성군 현풍읍은 대구 시내(동성로, 교동 일대)와 굉장히 멀다. 또한 특급은 주말과 '같은 학교에서 항공우주 계열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이라고 하는데, 과학기술원 중 항공우주공학과가 있는 곳은 카이스트가 유일하다. [16] 1분만에 올라왔던 영상 모음이다. [17] 현재는 일부 공개로 전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