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 ||||
경기도 |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 |||||
인천광역시 | 강화산성 (강화석수문)ㆍ 강화중성 · 강화외성ㆍ 정족산성 · 계양산성 | |||||
충청북도 |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 |||||
충청남도 |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 |||||
전북특별자치도 |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 |||||
전라남도 |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 |||||
광주광역시 | 무진고성 | |||||
경상북도 |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 |||||
대구광역시 |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 |||||
경상남도 |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 갈마봉산성 · 자마산성 · 제덕토성 | |||||
부산광역시 | 금정산성 | |||||
울산광역시 | 관문성 | |||||
강원특별자치도 | 영원산성 | |||||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 ||||||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 |
충청북도의 기념물 | ||||
34호 | ← | 35호 | → |
|
영동 부용리 고분 | 제천 덕주산성 |
|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35호 | |
제천 덕주산성 堤川 德周山城 | Deokjusanseong Fortress |
|
<colbgcolor=#6f448c><colcolor=#fff>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638 산 46-1, 123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
수량 / 면적 | 일곽 |
지정연도 | 1983년 3월 30일 |
건축시기 | 통일신라[2] |
|
<colbgcolor=#344c3c> 덕주산성 |
[clearfix]
1. 개요
|
<colbgcolor=#344c3c> 덕주산성 |
덕주산성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 한수면에 있는 통일신라에 세워진 산성이다.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35호로 1983년 3월 30일에 지정된 제천시의 문화재이다.
2. 내용
|
<colbgcolor=#344c3c> 덕주산성의 현판 |
전해오는 얘기론 몽골의 침입 당시인 1256년 4월에 몽고군이 충주를 침략하여 충주성을 제압하고 충주산성을 공격하여 관리와 주민들은 두려워서 감히 항거하지 못하고 덕주산성으로 피난하였는데 몽고군이 추격하며 공격을 가하자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끼고 비바람과 번개, 벼락이 함께 들이쳤다는 전설이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와 중종 때 내성을 축성하고, 임진왜란 당시에도 차단성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조선 말 명성황후가 흥선대원군과의 권력 암투에서 패배할 것을 상정하고 은신처를 마련하려고 이곳에 성문을 축조하였다는 이야기도 전해온다.
3. 관련 유적
세계유산 잠정목록 중부내륙 산성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충주산성 |
장미산성 |
덕주산성 |
온달산성 |
미륵산성 |
||
둘러보기 틀: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 }}}}}}}}} |
충북, 대전 일대는 소위 중원지역이라고 지칭되는데, 삼국시대 5~6세기의 각축장이었던 만큼 관방시설이 굉장히 많다. 중원지역의 삼국시대 산성들이 실제로 유네스코에 등재될 가능성은 낮지만 중부내륙 산성군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등재 목록에 포함되었다.
4.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제천 덕주산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제천덕주산성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제천 덕주산성
- 답사여행의 길잡이 12 - 충북: 덕주사와 덕주산성
- 답사여행의 길잡이 12 - 충북: 제천 덕주산성
- 대한민국 구석구석: 제천 덕주산성
- 두산백과: 제천 덕주산성
5.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35호
충청북도의 기념물 제35호 |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의 남쪽에 있는 이 산성은 돌로 쌓은
통일신라시대의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되어있다. 문경과 충주를 잇는 도로를 차단하는 전략적인 요충지이기 때문에 차단성의 기능을 지닌 이 성은 고려 고종 43년(1256) 몽고군이 충주를 공략하자 갑자기 구름, 바람, 우박이 쏟아져 적군들은 신이 돕는 땅이라 하여 달아났다고 한다. 또 조선 말기에는 명성황후가 흥선대원군과의 권력다툼에서 패배할 것을 상정하고 은신처를 마련하려고 이곳에 성문을 축조하였다고 한다. 둘레가 32670척(9800m)에 이르렀던 성벽은 거의 무너졌으나,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동문·북문의 3개 성문이 남아 있다. 남문은 동창으로부터 문경으로 통하는 도로에 무지개모양으로 만든 홍예문으로 되어있고, 좌우를 막은 석벽은 내외 겹축으로 길이가 100간이다. 덕주골 입구에 있는 동문은 남문과 비슷하며, 새터말 민가 가운데 있는 북문은 내외에 홍예가 있으며 홍예 마룻돌에는 태극 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덕주산성은 내·외 5겹의 성벽이 있는데 축조연대가 각기 달라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