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20:11:08

네바다급 전함

네바다급에서 넘어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1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구축함 SC-1급SC, 베인브리지급, 트럭스턴급, 스미스급, 폴딩급, 캐신급, 아일윈급, 오브라이언급, 터커급,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A, 계획 1912 향도, 계획 1917 향도
잠수함 플런저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K급, L급, M-1급, AA-1급, N급, O급, R급
비방호순양함 몽고메리급
정찰순양함 체스터급, 미국 계획 정찰순양함
장갑순양함 뉴욕, 브루클린급, 펜실베이니아급, 테네시급
방호순양함 시카고, 볼티모어, 샌프란시스코, 올림피아, 신시내티급, 컬럼비아급, 뉴올리언스급, 덴버급, 세인트루이스급
순양전함 렉싱턴급
전함 <colbgcolor=#155759> 전드레드노트급 텍사스, 인디아나급, 아이오와, 키어사지급, 일리노이급, 메인급, 버지니아급, 코네티컷급, 미시시피급
드레드노트급 사우스 캐롤라이나급, 델라웨어급,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A, 콜로라도급A, 사우스다코타급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SC: 구잠함/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해군 군함
구잠함(PC) <colbgcolor=white,#191919> PC급 구잠함
초계함(PG) 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 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 렉싱턴급
전함(BB)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군수지원함 키어사지AB, 베스탈AR
잠수함모함(AS) 풀턴급
구축함모함(AD) 딕시급
소해함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 PT 보트
공격수송함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연습항공모함 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 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윗첨자AB:구난/공작함, 윗첨자AR:공작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1920px-USS_Oklahoma_(BB-37)_passing_Alcatraz_in_the_1930s.jpg
현대화를 끝낸 BB-37 오클라호마

1. 개요2. 제원3. 동형함 목록4. 개발5. 특징
5.1. 3연장 주포탑 도입5.2. 중앙부 주포탑 제거5.3. 주포탑 배치 확립5.4. 집중방어5.5. 갑판장갑 강화
6. 한계점
6.1. 3연장 주포탑의 초기 문제점6.2. 부포곽 사용6.3. 새장형 마스트 사용6.4. 분산식 갑판장갑6.5. 느린 속력
7. 실전8. 세부적인 개조9. 평가10. 등장 매체11. 관련 문서12. 둘러보기

1. 개요

USS Oklahoma BB-37 U.S.S. Oklahoma C 1915 - 1920 (1915-1920)
Battleship USS Nevada after two nuclear weapons test USS Nevada refloated at Pearl Harbor, Hawaii. HD Stock Footage

Nevada-class battleship. 미합중국 해군 전함.

이전의 미국 전함인 뉴욕급 전함에 비해 집중방어(all or nothing), 3연장 주포탑, 대낙각탄 방어를 위한 갑판장갑 강화등 굵직한 개선사항을 도입함으로서 미 해군 전함의 한 세대인 표준형 전함(Standard-type battleship)을 성립한 전함이다.

2. 제원

네바다급 전함
Nevada-class battleship
이전급 뉴욕급
다음급 펜실베이니아급
기준배수량[1] 27,900 → 31,000톤
만재배수량 28,900 → 34,445톤
전장 178m
전폭 29m
흘수 최소 8.7m
승조원 864 → 1,374명
전자 장비 SC 대공 레이더[2]
출력 26,500HP[3]
최고 속력 20.5노트 (약 38km/h)
항속거리 10노트 (약 19km/h) 순항 시 14,816 → 29,100km
동력 기관 수관식 보일러 12 → 6기
증기 터빈 2기
추진 2축 프로펠러
초기 무장 주포 3연장 14인치 45구경장 함포 2기
2연장 14인치 45구경장 함포 2기
부포 5인치 51구경장 함포 21문
어뢰[4] 21인치 어뢰 발사관 2문
중기 무장
(1927 ~ 1930년 탑재)
주포 3연장 14인치 45구경장 함포 2기
2연장 14인치 45구경장 함포 2기
부포 5인치 51구경장 함포 12문
5인치 25구경장 함포 8문
기타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8정
네바다의 최종 무장
(1942년 탑재)
주포 3연장 14인치 45구경장 함포 2기
2연장 14인치 45구경장 함포 2기
부포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16문
보포스 40mm 포 36문
오리콘 20mm 기관포 38문
장갑 측면 203 ~ 343mm
바벳[5] 330mm
주포탑 정면 406 ~ 457mm
장갑함교 406mm
갑판 76 ~ 159mm

3. 동형함 목록

함번 함명 기공 진수 취역 퇴역 비고
BB-36 네바다
(Nevada)
1912년 11월 4일 1914년 7월 11일 1916년 3월 11일 1946년 8월 29일 1948년 7월 31일 표적함으로 침몰
BB-37 오클라호마
(Oklahoma)
1912년 10월 26일 1914년 3월 23일 1916년 5월 2일 1944년 9월 1일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 당시 침몰
1947년 5월 17일 예인 중 재침몰

4. 개발

미 해군의 1912년도 해군 계획에 전함 2척의 건조가 미국 의회의 승인을 받았다. 원래는 14인치(356mm) 주포를 12문 장착한 강력한 전함을 연구 및 설계하고 있었지만, 승인받은 예산 안에서는 건조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기존의 방식대로 하면 이전의 전함인 뉴욕급 전함과 별로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래서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다량 적용하는 방식으로 네바다급 전함이 만들어지게 된다.

5. 특징

상당히 진보된 화력과 방어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외에도 자잘한 개선점이 있었다.

5.1. 3연장 주포탑 도입

집중방어 및 방어력 향상을 위해 1번 주포탑과 4번 주포탑에 미 해군 사상 처음으로 3연장 주포탑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뉴욕급 전함과 동일한 주포 문수인 14인치 10문을 유지하면서도 주포탑을 4기로 줄일 수 있었다.

물론 3연장 주포탑에 대해 반대 의견도 만만치 않았다.

비록 3연장 주포탑을 처음으로 도입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긴 했으나 주포의 다연장화는 잃는 것 보다 집중방어 등의 이득이 더 크기 때문에 이후 출현하는 모든 전함이 항상 추구하는 덕목이 되었으므로 유용한 결단이었다.

5.2. 중앙부 주포탑 제거

화력 증대를 위해 주포를 8문을 초과해서 탑재하려면 2연장 주포탑을 사용할 경우에는 주포탑이 5기 이상이 되어야 하며, 이런 경우에는 함체 중앙에 주포탑이 위치하게 된다. 이런 주포탑을 중앙부 주포탑이라고 하는데, 화력 증대에 대한 이득보다 손해가 더 많았다. 이를테면,

이런 이유로 인해 이전 함급인 뉴욕급 전함에서도 주포를 12인치에서 14인치로 대구경화하는 대신 주포 문수를 12문에서 10문으로 축소하면서 중앙부 주포탑을 1기 제거하였으며, 네바다급 전함에서 다시 1기를 추가로 제거함으로서 완벽하게 중앙부 주포탑을 없앨 수 있었다.

중앙부 주포탑을 제거하는 것은 이후의 각국 전함들이 건조되거나 개조될 때 준수하는 지침이 되었으므로 역시 유용한 결단이었다.

5.3. 주포탑 배치 확립

네바다급 전함부터는 미국의 전함은 함수쪽에 적층식으로 2기의 주포탑을, 함미쪽에도 적층식으로 2기의 주포탑을 탑재해서 총 4기의 주포탑을 탑재하는 방식을 확립한다.

이 방식은 적층식으로 주포탑이 배치되므로 각 포탑은 서로의 사계를 방해하지 않으며, 양 측면에 100%의 화력집중이 가능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50%의 화력을 배당할 수 있으며 1기의 주포탑이 손상되더라도 화력 감소는 25%로 억제되는 동시에 손상된 주포탑이 전면에 존재하건 후면에 존재하건 간에 해당 방면에 아직 1기의 주포탑이 남으므로 대응사격이 아직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공격과 방어 양면에 고루 균형이 잡히는 주포탑 배치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해당 방식의 주포탑 배치는 표준 전함의 끝까지 사용되었고,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런던 해군 군축조약으로 취소된 전함과 순양전함에도 도입되었으며, 양 조약이 무너진 다음에 등장하는 노스캐롤라이나급 전함에 이르러서야 주포탑 3기 배치로 변경된다.

그리고 변경된 방식인 주포탑 3기 배치도 엄밀하게 말해서는 4기의 주포탑중 후방 상부에 있는 3번 주포탑을 제거하여 후방 화력을 반감하는 대신 집중방어면적을 축소시키는 방식이라서 파생형으로 보면 적당하며, 완전하게 조약의 굴레에서 벗어난 페이퍼 플랜 몬태나급 전함은 다시 주포탑 4기 체제로 돌아갈 정도로 유용한 주포탑 배치다. 네바다급 전함이 도입한 개념 가운데 가장 장기간 유용성을 가진 개념 중 하나.

5.4. 집중방어

All or Nothing 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주포탑이나 동력부같은 중요 부위는 강력하고 튼튼한 장갑을 덧대 적의 주포탄을 막아내고 그렇지 않은 곳은 장갑을 크게 줄이거나 없애서 효율적인 방어를 한다는 이론이다.

원래 전함은 철갑선에서 발전했으므로 당시의 보조함선에 비해 강력한 장갑을 선체 전체에 두르고 있었다. 물론 중요 부위에는 더 많은 장갑을 붙이고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곳에는 약간 장갑을 줄이는 정도의 설계를 하지만 집중방어 수준으로 극단적으로 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점차 전함의 주포가 강력해질수록 한계점에 부닺히게 된다. 전함 주포에 견딜만한 장갑을 선체 전체에 다 붙이려고 하니 배수량이 폭증하고 속도가 느려지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고 비용도 만만치 않게 올라갔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네바다급 전함을 설계하는 사람들은 아래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서 대응방어가 되는 측면 장갑의 두께가 12인치라고 설정한다.
그리고 선체 전체에 이 정도의 장갑을 두르는 것은 예산, 자원상 불가능하다.
주포탄을 장갑이 막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으니 비중요구획의 측면 장갑이 10인치건 11인치건 의미가 없다. 배수량 낭비다.
따라서 비중요구획은 순양함이나 구축함의 주포를 막을 수준으로 장갑을 줄이고, 일부 구획은 아예 비장갑으로 전환한다.
중요구획은 한 곳으로 집중시켜서 최대한 장갑을 두껍게 발라서 대응방어가 가능하거나 그보다 약간 강력한 13.5인치 수준으로 만든다.
이를 통해 한정된 배수량과 예산,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중요 구획을 한 곳으로 집중하고, 중요 구획에는 튼튼한 장갑을 설치하고, 나머지 구획은 보조함에게 대응할 수준의 장갑을 달거나 아예 일부 구획은 비장갑화하는 집중방어가 탄생했다. 그리고 집중방어 방식도 다른 전함들이 건조되거나 개조시 적용하는 중요한 이론이 된다.

놀라운 것은 네바다급 전함에 집중방어이론을 적용할 때는 반 쯤은 모험에 가까운 일이었다는 것이다. 비록 퇴역한 초대 텍사스 전함을 사격표적으로 한 실험에서 비중요구획인 함수부나 함미부의 장갑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긴 했지만, 실전에서 검증된 사례가 없는 상태에서 해당 이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만일 집중방어이론이 틀렸다면 전함 2척이 쓰레기로 전락할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5.5. 갑판장갑 강화

이 때까지의 전함은 상대적으로 근거리에서 포격했던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처럼 측면장갑은 강력하게 두르지만, 갑판에 대해서는 파편방어수준의 약한 장갑만 붙이던 상황이었다. 그리고 드레드노트급 전함이 등장하면서 전함간의 포격거리가 증대됨에 따라 장거리에서 대낙각으로 떨어지는 주포탄에 대한 대비가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갑판장갑의 강화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네바다급 전함부터 미국 전함은 대낙각탄에 대비하기 위해 적어도 5인치(127mm) 이상의 갑판장갑을 부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갑판장갑 강화도 모험적인 결정이었는데, 실제로 대낙각탄의 위력이 실전에서 입증된 유틀란트 해전이 벌어진 시기에는 이미 네바다급 전함은 모두 취역한 후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유틀란트 해전의 교훈을 해전 전에 미리 적용한 사례가 되었다.

6. 한계점

첫 술에 배부를 수 없듯이, 표준 전함을 최초로 정립한 네바다급 전함은 각종 문제 및 한계점에 직면한다.

6.1. 3연장 주포탑의 초기 문제점

미국 최초로 탑재한 탓에 당연하겠지만 문제없이 넘어가지는 않았다.

6.2. 부포곽 사용

주포에서 보여준 개선과는 달리 부포의 경우에는 여전히 기존 전함의 포곽식 부포를 사용한다. 포곽식 부포는 대포의 상하좌우 각도조절이 크게 제한되고, 포곽 후방을 해당 측면의 모든 부포가 공유하기 때문에 포곽중 1개만 포탄에 관통되더라도 유폭이 퍼져서 해당 측면의 부포가 전멸해버리며, 측면장갑에 개구부를 뚫는 격이라서 취약점을 늘리는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기껏 해놓은 집중방어방식을 갉아먹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와 함께 상갑판 하부에 있는 부포곽은 항해시 파도등으로 인해 바닷물이 선체 내부로 들어오는 등 사용이 곤란하다는 의견이 개진되었으며, 그래서인지 1927년에서 1930년 사이에 근대화 개량이 지속될 수록 부포곽을 줄이고 대신 대공포를 추가하는 개량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진주만 공습 이후인 1942년에는 기존의 부포와 대공포를 모조리 제거한 후, 5인치 (127mm) 38구경장 2연장 양용포탑 8기를 설치하면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한다.

6.3. 새장형 마스트 사용

방어력 강화책과는 어울리지 않게 미국 특유의 새장형 마스트를 그대로 사용했다. 이 마스트는 새장처럼 얽힌 형태의 마름모꼴 트러스트 구조를 가지는데, 다른 마스트에 비해 가볍고, 포격에도 의외로 잘 버티는 편이지만 마스트 내부공간을 활용하기 어렵고, 부식이나 손상이 발생하면 구조물의 강도가 크게 약화되므로 추가적인 충격을 받거나 하면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가능성이 높았다.

결국 이 문제는 네바다급 전함이 아닌 다른 함선이 폭풍을 만나면서 새장형 마스트가 구부러지는 사건 이후, 안그래도 마스트에 각종 장비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전방 함교와 후부 마스트를 삼각 마스트로 교체하면서 해결한다. 이후 진주만 공습의 피해를 복구하면서 전방 함교는 강화하고 후부 마스트는 철거하게 된다.

6.4. 분산식 갑판장갑

갑판장갑을 강화하긴 했는데, 강화 방법이 주갑판은 63 ~ 76mm, 하갑판은 38 ~ 63mm 라는 2중 구조로 만들었다. 이런 분산식 구조는 단일식 갑판장갑에 비해 방어력이 낮아지고, 관통탄에 의한 피해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구조가 만들어진 것은 상부에 두꺼운 장갑이 있으면 무게중심이 상승하기 때문이었으며, 여기에 아직 갑판장갑의 중요성이 갑판장갑을 강화한 미국 입장에서도 완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이 합체해서 작용한 결과였다.

이 문제는 역시 1942년의 수리 겸 최종대개조에서 주갑판을 127mm로 크게 강화하고, 상갑판등은 탄편방어용으로만 가볍게 장갑화함으로서 해결한다.

6.5. 느린 속력

한정된 배수량과 예산에서 화력과 방어력을 맞춘 결과 속력을 거하게 희생했다. 물론 취역 당시 기준으로는 그렇게까지 느린 속력은 아니었지만 곧 빠르게 도태되는 신세가 된다.

이렇게 된 원인을 살펴보면 상기한 원인 외에도 당시의 미 해군이 전함 동력기관 문제로 고민한 것을 감안해야 한다. 당시 상황에서는 미 해군은 증기터빈과 기존의 왕복식 피스톤 증기기관과의 우열을 도저히 가릴 수 없었기에 네바다에는 증기터빈을 적용하고, 오클라호마에는 수직형 3확장식 왕복 피스톤 증기기관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증기터빈은 상대적으로 힘이 좋지만 항속거리가 짧고, 왕복피스톤 증기기관은 힘이 약한데다가 항속거리가 증기터빈보다 더 짧고, 관리가 어렵고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파악한 후, 이후의 전함에는 증기터빈으로 발전한 후 모터를 돌려서 항해하는 터빈-일렉트로 기관을 도입하게 된다.

다른 문제와는 달리 이 문제는 개조시에도 보일러를 교체하는 선으로 끝나는 등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협소한 공간에 신형 기관을 탑재하기 힘들고, 2축 추진방식으로는 신형 기관을 탑재하더라도 성능을 제대로 뽑아내기 어렵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네바다급 전함은 퇴역할 때까지 속도가 느리고 항속거리가 짧았다. 그리고 항속거리는 후속 함급에서 계속 개선하지만 느린 속도 자체는 4축 추진방식이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 전함의 끝인 콜도라도급 전함까지 지속된다.

7. 실전

네바다와 오클라호마 2척이 모두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세계대전중에는 통상항로 호위등의 가벼운 임무만 담당하다가 종전을 맞이한다.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후속 전함들이 물거품이 되면서 기존 전함들을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에 따라 네바다급 전함은 1927년에서 1929년에 걸쳐서 대규모 개조를 받게 된다. 이 때 주포 앙각 증대, 부포곽 일부 철거 및 대공포 증설, 새장형 마스트를 삼각 마스트로 교체, 어뢰 공격 방어용 벌지 장착, 후부 갑판에 수상기 및 발진시설 설치등의 능력강화를 이룩했다. 그리고 네바다급 전함의 보일러를 모두 교체했다. 이 때 네바다의 증기터빈이 일찍 노후화된 관계로 동급 물건인 퇴역한 전함인 노스다코타가 사용하던 증기터빈을 수리해서 네바다의 증기터빈으로 교체했다. 오클라호마의 경우에는 왕복식 증기엔진을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고, 실제로 1920년대에 디젤 엔진으로 교체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해당 디젤엔진의 개발에 실패하는 통에 끝까지 기존 동력부를 유지했다.

이 시기에 함대 과제 훈련(Fleet Problem)이라고, 미 해군이 예상하는 전장에서의 다양한 공방전 상황을 가정하고 가상 전투 훈련을 했는데, 1923년에 이루어진 첫번째 훈련에서 오클라호마가 뜻밖의 활약을 한다. 바로 수상기들을 함재기로 띄워 항공모함처럼 파나마 운하를 공습하고 수위를 조절하는 댐을 파괴 판정내는데 성공한 것. 이는 훗날 미군이 주력함을 항모로 교체하는데 영향을 끼친다.

1941년에 벌어진 진주만 공습에서 2척 모두 침몰한다. 공습을 받기 전에 네바다는 전함 정박열 후방에 정박했고, 오클라호마는 전함 정박열 최전방에 정박했는데, 이 점이 후일의 부활 여부를 갈랐다. 네바다의 경우에는 폭탄에 맞은 후 항구를 탈출하려고 항진하였으나 네바다를 항구 입구에서 격침시켜서 항구를 막아버릴 목적으로 진주만 공습 제2파가 공격을 집중하였다. 그러자 당시 네바다에 승함하고 있었던 태평양함대 기뢰전단장인 윌리엄 펄롱 소장은 이를 인식하고 일부러 근처 해안에 좌초하도록 지시를 내렸다. 네바다의 인명피해는 60명 전사, 109명 부상이었다. 반면 오클라호마는 정박 상태에서 좌측에 어뢰를 집중적으로 맞고 배가 좌측으로 기울다가 전복되었다.

네바다의 경우에는 배가 기울지 않고 똑바로 좌초했으므로 상대적으로 인양이 쉬운 편이어서 침몰 3개월만인 1942년 3월에 인양된 후, 긴급수리만 받은 상태로 미국 본토의 퓨젯사운드 공창으로 이동해서 1942년 10월까지 수리 및 대규모 개조를 수행한다. 이 때 신형 주포로 교환하고, 전방 마스트를 강화하고 레이더등 각종 시설을 설치했으며, 후방 마스트를 제거하고 기존 부포와 대공포도 몽땅 제거하는 대신, 5인치 2연장 양용포탑을 비롯한 각종 대공포와 레이더, 전기설비를 설치했다. 이를 통해 신형전함과 비슷한 실루엣을 가지면서 대공화력과 화기정밀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오클라호마의 경우에는 배가 전복된 관계로 손상정도가 심하다고 판단되었으므로 손상이 약한 전함부터 인양해서 수리한다는 법칙에 의하면 인양우선순위가 낮아서 침몰 후 15개월 이상이 지난 1943년 3월에야 인양이 완료되었다. 그리고 인양 후에 도크에서 수리가 시작되었으나, 전복 및 장기간 방치에 의해 선체 외부 및 내부 전체에 큰 손상이 발생하는 등 수리견적이 많이 나왔고, 이미 신형전함까지 다수 등장한 상황에서 구식전함을 살리기에는 가성비 문제도 있어서 12월에는 작업이 중단된 후, 그대로 항구 한쪽 측벽에 계류된 채 방치된다.

네바다는 수리가 완료된 후에 태평양과 대서양을 고루 다녔다. 우선 태평양에 투입해서 애투섬 탈환작전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해서 대서양으로 이동한 후에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남프랑스 상륙작전인 드라군 작전에 참가해서 상륙병력에 함포사격으로 지원을 해주었다. 이 과정에서 노르망디에서는 셀부르의 해안요새를, 남프랑스에서는 툴롱에 있는 프랑스의 퇴역 전함 주포탑을 개량해서 장착한 해안포진지를 포격했다. 그 이후에 다시 태평양으로 와서 이오지마 전투 오키나와 전투에 참가해서 역시 상륙병력에 함포지원사격을 해주었으며, 이 과정에서 오키나와 전투에 참여한 카미카제 특공기가 명중하기도 하고, 해안포대의 사격에 맞기도 하면서 경미한 손상을 입었다.

태평양 전쟁이 종전된 후에는 네바다급 전함은 구식함으로 처분이 결정되었다. 그래서 네바다는 1946년에 퇴역한 후, 표적함으로 전환한 다음에 비키니섬 핵실험에 투입된다. 여기서 2회의 핵실험을 겪은 후에도 침몰하지 않았으며, 이후 1948년에 하와이 앞바다에서 포격 및 폭격 표적함으로 투입된 후에 함포사격과 항공기 폭격을 신나게 두들겨 맞은 끝에야 침몰한다.

오클라호마는 1947년까지 진주만 항구 구석에 계류된 채로 있다가 매각 후 스크랩처리가 결정된 다음 해체업자가 처리를 위해 미국 본토로 예인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예인 도중에 폭풍을 만난데다가 선체가 원래 손상투성이였고, 방치 과정에서 추가로 부식된 곳까지 있던지라 그대로 하와이 앞바다에 침몰해버린다.

8. 세부적인 개조

장기간 취역했으므로 시대에 따라 세부적인 개조를 받아서 제원에 차이가 심하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전투력에도 차이가 심하므로 세부적인 내용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네바다(BB-36)의 제원
구분 취역시(1916년) 개장시(1930년) 최종사양(네바다, 1943년)
기준 배수량 27,500t 유지 30,500t
만재배수량 28,400t 유지 33,901t
전장 177.8m 유지 유지
전폭 29m 32.9m 유지
흘수선 8.7m 9.0m 유지
보일러 Yarrow 중유보일러 12기
(오클라호마 - Bobcock and Wilcox 중유보일러 12기)
Bureau Express 중유보일러 6기 유지
추진기 Brown Curtis 직결 증기터빈 (저속,고속) 2조 2축
(오클라호마 - 수직형 3확장식 4기통 왕복 증기기관)
유지 유지
출력 24,800shp 유지 유지
연료 중유 2,042t 유지 유지
속도 20.5knot(38km/h) 유지 19.0knot(35.18km/h)
항속거리 설계 - 10knot(19km/h)에서 14,816km
취역 - 12Knot(22km/h)에서 9,482km,
20knot(37km/h)에서 3,576km
유지 15knot(27.78km/h)에서 17,702km
승무원 864명 1,398명 2,220명
주포 14inch(356mm) 45구경장 2연장 주포탑 2기
14inch(356mm) 45구경장 3연장 주포탑 2기
(총 10문)
유지 유지
부포 5inch(127mm) 51구경장
단장 부포곽 21기
(총 21문)
5inch(127mm) 51구경장
단장 부포곽 12기
(총 12문)
완전제거
대공포 3inch(76.2mm) 50구경장
단장 대공포좌 4기
(총 4문)
5inch(127mm) 25구경장
단장 대공포좌 8기
(총 8문)
5inch(127mm) 38구경장
2연장 양용포탑
8기
(총 16문)
대공기관포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단장 기관총좌 6기
(총 6문)
1.1inch(28mm) 2연장 기관포좌 4기
(총 8문)
보포스 40mm 56구경장
4연장 기관포좌 8기
(총 32문)
오리콘 20mm 76구경장
2연장 기관포좌 20기
(총 40문)
오리콘 20mm 76구경장
단장 기관포좌 5기
(총 5문)
어뢰 21inch(533mm) 단장 어뢰발사관 2-4기
(총 2-4문)
완전제거 없음
장갑 측면주장갑 343mm, 측면수면하부 203mm
주갑판 63 - 76mm, 하갑판 38 - 63mm
2연장 주포탑 전면 406mm, 측면 254mm,
후면 229mm, 천장 127mm
3연장 주포탑 전면 457mm, 측면 229 - 254mm,
후면 229mm, 천장 127mm
주포탑 바벳 330mm
장갑함교 측면 406mm, 천장 127mm
유지 주갑판 127mm로 단일화
주포탑 천장 190mm로 강화
장갑함교를 1942년에 철거
양용포탑 50mm
나머지는 현상유지
레이더 없음 없음 1942년 - 전방마스트 SRa, 후방마스트 SRa
1943년 - 전방마스트 SK , SRa 후방마스트 SRa
함재기 수상기3기, 캐터펄트 2기 유지 수상기 2기, 캐터펄트 1기

9. 평가

전간기간의 미국 전함인 표준 전함의 특징인 화력과 방어력 중시, 느린 속력을 확립한 전함으로, 여러가지 실험적 요소를 많이 집어넣었으나 대부분 성공적으로 적용한 첫번째 주춧돌이 된 전함이다. 이를 통해 표준전함은 당대의 동급 전함이나 약간 강한 전함을 상대로 하더라도 적어도 방어전에서 특정 목표를 지키는 역할은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느린 속도는 함선을 적극적으로 진격시키거나 단함이나 전대를 구성해서 적의 후방을 공격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이 될 지경이 되었다. 게다가 네바다급 전함은 항속거리도 부족해서 더욱 운용하기 힘들었다. 이는 이 전함이 애초에 강력한 전함 대열을 형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었으며, 강력한 타격부대가 될 표준전함 이후의 물건들이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으로 인해 사라지면서 홀로 남겨졌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런 점을 종합해볼 때, 네바다급 전함은 미국 전함의 특성을 정립한 전함으로 기술발전의 시험대가 되었다는 것으로 종합할 수 있다.

10. 등장 매체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드레드노트급 전함의 계보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3px"
적층식 주포탑 배치

사우스캐롤라이나급


 
주포 2문 추가/부포 강화

델라웨어급


 
4축 추진 도입

플로리다급


 
증기터빈 도입/주포 2문 추가

와이오밍급


 
방뢰격벽 도입/주포 구경 강화

뉴욕급


 
집중방어 및 3연장 주포탑 도입

네바다급


 
주포 2문 추가

펜실베이니아급


 
클리퍼형 함수 및 터보 일렉트릭 도입

뉴멕시코급


 
신형 방뢰구조 도입

테네시급


 
주포 구경 강화

콜로라도급


 
주포 수 및 속력 강화

사우스다코타급 전함(1920)


 
신형 주포 도입/속력 강화

노스캐롤라이나급


 
대응방어 능력 확보

사우스다코타급(1939)


 
속력 강화

아이오와급


 
방어력 및 방뢰능력 강화/주포탑 1개 추가

몬태나급

파일:미국 국기.svg 미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 항공모함 | 공격원잠 | 전략원잠 | 함대공 미사일
}}}}}}}}}



[1] 표준배수량이라는 말은 각국의 차이에 따라서 전혀 뜻이 다름 [2] 1942년 탑재 [3] 오클라호마는 24,800HP [4] 주력함은 어뢰로 대잠공격을 하지 않음 [5] 포곽은 케이스메이트 형식의 부포곽 같은 것을 말함. 주포탑 바벳은 그냥 바벳으로 부름 [6] 다만 이런 포 배열을 가진 군함들은 대개 특정각도에서는 사격 자체가 불가능하게 기능이 잠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