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1 14:13:15

국립정동극장

국립정동극장 세실에서 넘어옴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50,000명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10,000명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종합운동장 · 잠실 돔구장(예정)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문학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광주월드컵경기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 고양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KSPO DOME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 아이스 아레나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명 이상 SK핸드볼경기장 ·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명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부산금정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명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국악원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1,000명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 광림아트센터 · 국립정동극장 · 꿈의숲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무신사 개러지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현대예술관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 전문공연장
}}}}}}}}} ||

국립정동극장
貞洞劇場 | National Jeongdong Theater of Korea
파일:국립정동극장 로고.svg
<colbgcolor=#215231> 종류 국립 극장, 공연장
설립일 1996년 11월 15일
대표이사 정성숙
관할 문화체육관광부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3
연락처 02-751-150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제작 공연3. 시설
3.1. 극장
3.1.1. 국립정동극장3.1.2. 국립정동극장 세실
3.2. 문화 공간3.3. 부가 시설
4. 조직5. 역대 극장장

[clearfix]

1. 개요

국립정동극장(貞洞劇場, National Jeongdong Theater of Korea)은 전통문화의 보존, 계승발전 및 공연예술 진흥사업에 기여하기 위하여 1996년 11월 15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으로 복합 공연장이다. 국내 최초의 근대식 극장인 원각사의 복원을 이념으로 1995년 국립중앙극장 분관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재단법인으로 독립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산하에 국립정동극장 예술단이 있다.

2. 제작 공연


파일:국립정동극장 흰색 로고.svg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bgcolor=#7A3322><nopad> 파일:정동 적벽.png ||<nopad><bgcolor=#160300> 파일:우란 베르.png ||<nopad><bgcolor=#050911> 파일:정동 포미니츠.png ||<bgcolor=#050911> 파일:정동 쇼맨.png ||
2017 2021 2022
<bgcolor=#685b52> 파일:음악극 섬 로고.png
2023 2024

3. 시설

* 극장

3.1. 극장

3.1.1. 국립정동극장

파일:국립정동극장 입구.png
국립정동극장 입구
파일:국립정동극장 내부.jpg
국립정동극장 내부
326석 규모의 프로시니엄 무대를 갖춘 중극장. 연극· 뮤지컬· 전통예술· 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자체 기획 공연 및 대관 공연이 열린다. OP석(오케스트라피트석) D,E,F열은 공연에 따라 객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좌석이다. OP석(D,E,F열 전석) 및 A열 1~7번, B열 1~8번, C열 1~7번 좌석은 무대보다 낮은 좌석구역이자 객석 간의 단차가 없다. 휠체어석 2석을 보유중이다.

3.1.2. 국립정동극장 세실

파일:국립정동극장 세실 전경.jpg
국립정동극장 세실 전경
파일:국립정동극장 세실 내부.jpg
국립정동극장 세실 내부
232석 규모의 프로시니엄 무대를 갖춘 소극장. 본관과 다소 떨어진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9길 16에 위치해 있다. 전신은 세실극장으로, 국립정동극장이 2022년 4월부터 운영을 맡고 있다. 1976년 개관한 세실극장은 한때 연극인회관으로 사용되고, 서울연극제의 전신인 대한민국연극제가 열리는 등 소극장 연극의 중심지였다. 1987년 6월 항쟁 당시 민주화 선언이 낭독됐던 역사적 공간이기도 하다. 건축가 김중업의 설계로 지어진 세실극장은 2013년 건축적·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연극·뮤지컬·전통예술·무용 4개 장르를 중심으로 한 작품 개발과 창작자 지원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휠체어석 1석을 보유중이다.

3.2. 문화 공간

* 정동마루
비즈니스 문화 만남부터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 작업, 예술가와 관객의 문턱 없는 만남을 위한 정동극장만의 캐주얼 문화 공간.
파일:정동마루 전경.jpg }}}||
정동마루 전경}}}||
  • 정동야외마당
    도심 속 작은 정원을 연상케 하는, 자연의 정취와 미술 작품의 조화가 인상적인 고즈넉한 문화 공간. 야외마당 외벽 전면을 장식하고 있는 작품은 전수천 작가의 '혹성들의 신화, 놀이, 비젼(1997.03)'이다. 정동극장 야외마당에 세워진 '명창 이동백 선생'의 동상은 정동극장의 원각사 복원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기리고 있다.
파일:정동야외마당.jpg }}}||
정동야외마당 전경}}}||

3.3. 부가 시설

* CAFE정담
전통 한옥의 소담스런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정동극장 카페 공간. 아로니아마라떼, 수삼한뿌리라떼 등 시그니처 메뉴를 포함하여 커피부터 전통차까지 다양한 음료를 제공한다. 정동극장에서 공연하는 티켓을 제시하면 당일 모든 음료를 10% 할인가로 즐길 수 있다.
파일:카페정담 전경.jpg }}}||
CAFE정담 내부}}}||

4. 조직

5. 역대 극장장



[※] 국립정동극장 본 건물과 주소지가 다르니 방문 시 주의할 것. [2] 8대부터는 대표이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