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9:31:03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문화예술회관
蔚山文化藝術會館 | Ulsan Culture & Arts Center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CI.svg
<colbgcolor=#1c4e9e><colcolor=#fff> 주소 울산광역시 남구 번영로 200
개관일 1995년 10월 5일
(종합문화예술회관 개관)
(1997년 7월 15일 ‘울산광역시 문화예술회관’으로 명칭 변경)
전화번호 052-275-9623
운영 시간 매일10:00 - 19:00
이용료 공연·전시별 상이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유튜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시설
3.1. 대공연장
3.1.1. 무대3.1.2. 조명실3.1.3. 음향실3.1.4. 객석
3.2. 소공연장
3.2.1. 무대3.2.2. 조명실3.2.3. 음향실3.2.4. 객석
3.3. 야외공연장3.4. 전시장
3.4.1. 제1전시장3.4.2. 제2전시장&제3전시장3.4.3. 제4전시장3.4.4. 야외전시장
3.5. 연습실 및 회의실
3.5.1. 아트홀3.5.2. 다목적홀3.5.3. 회의실
3.6. 편의시설
3.6.1. 어린이 놀이방3.6.2. 쉼터(식당 및 카페)
3.7. 아트클래스3.8. 문화공원
4. 공연&전시
4.1. 공연일정4.2. 전시일정
5. 울산시립예술단
5.1. 울산시립교향악단5.2. 울산시립합창단5.3. 울산시립무용단5.4. 울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5.5. 울산시립청소년합창단5.6. 찾아가는 예술단
5.6.1. 공연 신청방법5.6.2. 공연프로그램5.6.3. 찾아가는 예술단 공연이 불가한 경우
6. 대관
6.1. 공연대관
6.1.1. 정기대관6.1.2. 수시대관6.1.3. 대관절차
6.2. 전시대관
6.2.1. 정기대관6.2.2. 수시대관6.2.3. 대관절차
6.3. 연습실·회의실대관
6.3.1. 대관신청6.3.2. 대관사용료(사용시간 09:00~22:00)
6.4. 대관대상과 대관제한대상
7. 교통8. 논란
8.1. 울산문예회관, 울산시 감사서 부적정 행정 무더기 적발

[clearfix]

1. 개요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jpg
울산문화예술회관 蔚山文化藝術會館, Ulsan Culture & Arts Center

울산광역시 남구 번영로 200 에 위치한 시립 복합문화 공간이다. 1981년에 시민회관으로 건립이 추진되었으며, 기본 계획 수립과 설계 모집 등을 거쳐 1990년에 착공해 1995년 10월 5일에 개관했다. 개관 당시의 명칭은 '종합문화예술회관' 이었으나, 1997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2. 연혁

울산문화예술회관 연혁
<colcolor=#fff> 1981년
<colbgcolor=#1c4e9e> 3월 시민회관, 시립도서관 추진위원 창립총회
4월 추진위원 위촉 262명 추진위원회 개최
1983년
11월 시민회관 건립 기본계획(안)수립
12월 현장설계공모
1984년
5월 현장설계 당선자확정 (부산-일신건축사무소)
1985년
11월 기본 설계용역 계약
1986년
5월 기본 설계도서 납품
1988년
10월 실시 설계용역 계약
1989년
9월 실시 설계도서 납품
1990년
3월 공사착공
1995년
1월 종합문화예술회관 직제 승인
7월 사업완료 준공
10월 종합문화예술회관 개관
1997년
7월 울산광역시 문화예술회관으로 명칭변경
10월 제3전시장 개장
2001년
11월 관리동 증축, 제4전시장 개장
2005년
9월 야외공연장 준공
2009년
4월 연습동 증축
2013년
6월 갤러리 쉼 개장
2017년
3월 대공연장 시설개선공사
5월 야외공연장 객석보수공사
2020년
2월 휴게시설(쉼터) 개선공사

3. 시설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안내도.jpg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시설 안내.png
대공연장, 소공연장, 야외공연장, 전시장, 연습실 및 회의실, 편의시설 등이 있다.

3.1. 대공연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입구.jpg
1995년 10월 5일 산업화의 물결이 이루어낸 발전과 번영을 발판으로 문화예술 창달의 염원을 담고 개관했다.
음악, 연극, 무용 등 다양한 공연장르를 펼치는 대공연장은 백십오만 시민의 무대이자 21세기 공연예술을 꽃피우는 예술의 전당으로 자리하고 있다.
공연시작 1시간 전부터 건물 입장이 가능하다.

3.1.1. 무대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무대.jpg
대공연장 무대는 1,570㎡의 넓은 면적으로 중앙에 회전무대와 승강무대가 있고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무대와 오케스트라 피트, 대형 음향반사판, 43개의 장치걸이대를 갖추고 있어 음악, 무용, 연극, 오페라 등을 공연할 수 있으며, 최신 컴퓨터 조정장치로 연출자의 개성에 따라 예술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3.1.2. 조명실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조명기기배치도.jpg
조명시설은 연기자의 위치에 따라 개성이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300개의 스포트 라이트와 팔로우스포트, 환타지아 등 특수효과기와 999여장면을 조작해낼 수 있는 컴퓨터 조광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3.1.3. 음향실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음향기기배치도.jpg
대공연장에서는 50여개의 메인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는 믹싱콘솔과 마이크를 설치하여 어떠한 공연도 가능하며 CCTV를 통하여 공연 실황을 외부에서도 볼 수 있다.

3.1.4. 객석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1층.jpg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2층.jpg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3층.jpg
1,555개의 좌석과 조명, 음향, 무대기계조정실을 갖추고 있다.

3.2. 소공연장

파일:소공연장.jpg
소공연장 전체 면적은 4,874㎡이고, 수용인원은 현재 476명이며 소공연장 안에 있는 무대의 면적은 380㎡이다.

3.2.1. 무대

파일:소공연장 무대.png
소공연장 무대는 가로14m 높이 7.5m 높이 7.5m의 크기로 승강무대 3기와 상부 무대기계 장치걸이대 전동 11개, 인활막, 배경막, 음향 반사판을 갖추어진 종합무대로써 대공연장에서 할 수 없는 일반 행사 및 음악 행사를 할 수 있게 제작 되어 있다.

3.2.2. 조명실

파일:조명실 사진.png
파일:조명기기배치도.jpg
소공연장 조명시설은 대공연장과 유사한 소규모적인 조명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현대적인 기술 및 최첨단 장비 도입을 통해 다목적으로 극장 무대를 조명 할 수 있다.

3.2.3. 음향실

파일:음향실 사진.png
파일:음향기기배치도.jpg
소공연장 음향시설은 대공연장과 유사한 소규모적인 음향시스템으로 CDP, MDP 기기가 있으며, 프로세늄과 객석주변에 각종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다.

3.2.4. 객석

파일:객석 사진.png
파일:객석 위치.jpg
좌석 476석
조명, 음향, 무대기계조정실을 갖추고 있다.
파일:대피동선.jpg
지진 발생시 대피할 수 있는 동선도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자세히 볼 수 있다.

3.3. 야외공연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야외공연장1.jpg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야외공연장2.jpg
공연장전체면적: 397㎡
수용인원: 650명
야외공연장은 65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고정객석이 있으며 여기서는 주로 사물놀이, 마당극, 풍물 놀이, 무용, 국악 등의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자유롭고 흥겨운 분위기 속에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3.4. 전시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전시장 2층 입구.jpg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전시장 건물 층별 안내.jpg
제1전시장, 제2전시장, 제3전시장, 제4전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공연장과 소공연장 입구가 있는 곳과 같은 층으로 들어가면 2층이 나온다. 2층에는 제1전시장, 1층에는 제2, 3, 4전시장이 있다.

3.4.1. 제1전시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장.jpg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장 평면도.jpg
면적 432㎡
전국규모의 순수 미술작품 전시장으로 수준 높은 전시작품을 보다 생동감 있게 감상할 수 있으며, 개인전 및 단체전과 전국규모의 공모전을 유치해도 손색이 없는 수준의 전시장으로 미술애호가 및 학생들의 단체 관람장소로 굳혀져 가고 있다.

3.4.2. 제2전시장&제3전시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제2,3전시장 평면도.jpg

제2전시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제2전시장.jpg
: 면적 270㎡
: 순수미술작품 및 취미전 등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수석, 난, 도자기 등 다양한 작품전으로 시민의 정서함양과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한 몫을 하고 있다.

제3전시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제3전시장.jpg
: 면적 252㎡
: 순수미술작품 및 취미전 등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제2전시장과 연결되어 각종 그룹전, 단체전등이 동시에 전시 될 수 있다.

3.4.3. 제4전시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제4전시장.jpg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제4전시장 평면도.jpg
면적 280㎡
제4전시장은 순수미술작품 및 전시전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시공간의 활용도가 높아 실내조각전시 등 설치작품 전시장으로 호응을 받고 있다.

3.4.4. 야외전시장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야외전시장.jpg
면적 517㎡
열린공간 열린전시장으로서 야외조각전, 설치미술 등 다채로운 미술 작품들을 상설전시 할 수 있으며, 야외전시장의 특성을 살려 무료로 개방되어 있다.

3.5. 연습실 및 회의실

지역의 예술단체 및 개인들의 창작활동을 고취하고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차원에서 연습실을 대관한다.
기존 시립예술단 연습실을 새롭게 리모델링하여 아트홀 및 다목적홀 2개 연습실을 대관하며 연습실 대관은 문화예술의 품격과 연습작품의 예술성, 시민의 정서, 지역문화예술의 창달에 기여하는 단체 또는 개인이면 누구나 대관을 신청할 수 있다.

3.5.1. 아트홀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아트홀.jpg
면적 252㎡
아트홀은 교향악 및 합창, 국악 등의 음악장르 위주로 대관. 시설면적은 252㎡이며 휴게실 등을 갖추고 있다.

3.5.2. 다목적홀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다목적홀.jpg
면적 180㎡
다목적홀은 오페라,뮤지컬,무용,연극,마당놀이 등의 무대공연예술장르 위주로 대관.
시설면적은 180㎡이며 휴게실 등을 갖추고 있다.

3.5.3. 회의실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회의실.jpg
면적 172.8㎡
단체 및 시민들을 위한 각종 세미나 및 강좌등의 공간으로 빔프로젝트 및 마이크 음향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3.6. 편의시설

3.6.1. 어린이 놀이방[1]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어린이놀이방.jpg
이용대상: 공연관람객
대상어린이: 3세부터 취학전 어린이
이용시간: 공연시작 1시간전부터 공연종료 직후
장소: 회관당직실 앞
놀이방관리: 이용시간중 하우스가이드 상주
설치시설: 벽면 및 바닥에 안전패드 설치, 정글북.미끄름 및 볼등 놀이동산 설치, TV 및 비디오 시청각 시설 설치

3.6.2. 쉼터(식당 및 카페)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식당 및 카페.jpg
식당(면적 431.28㎡) : 토스카(한식뷔페)
- 영업시간 : 월~토 11:30~ 19:30일요일 정기휴무- 연락처 : ☎ 052-260-0922

카페(면적 157.93㎡) : 토스카(카페)
- 영업시간 : 월~금 10:00~19:00- 문의 전화는 식당으로

3.7. 아트클래스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아트클래스.jpg
교육신청 링크: https://ucac.ulsan.go.kr/artclass/manager/listUser.do

3.8. 문화공원

파일:울산문화예술회관 문화공원.jpg
문화공원(면적 56,355㎡) 조성기간: (1차 2001.03 ~ 2002.05)/(2001.03 ~ 2003.07)
문화예술회관 옆에 위치한 공원으로 2003년 7월에 완공되었고 시민들의 접근성이 높은 쉼터로서, 주요시설 벽천호수, 중앙광장이 있다.
파일:이예 선생 동상.jpg
태생(년도 1373~1445) 출신(울산)
오백년 조선 역사상 일본을 가장 많이 왕래한 조선 제일의 외교관이었으며, 태종, 세종대 당시에 통신사로 활약하면서 조일 외교 및 문화교류에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파일:분수공원.jpg
파일:분수공원 안내도.jpg
가동기간(4월~10월) 운영시간(평일: 12:00~13:00, 주말:12:00부터 1시간씩 가동 30분 정지)
우천 및 강풍시에는 가동하지 않고 가동일정은 시설공단의 사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분수 앞 공원에서는 날이 좋으면 많은 사람들이 강아지와 산책을 하거나 나들이를 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항일독립기념탑.jpg
https://www.fnnews.com/news/202102281020418007
준공기간(2021.02.26) 높이(30M)
한자 人(사람 인)을 형상화했다는 탑으로 탑 둘레에는 독립유공자 102인의 이름을 새겨놓은 독립기념탑이다.
이 탑이 세워지는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었다.
왜곡된 역사 인식을 가지고 있는 친일 잔재들의 몰상식 행위와 침략자인 일본에 대한 온정적이고 우상화하는 역겨운 모습을 지닌 사람들에 의해 준공이 오래 걸리게 되었다.
문화공원까지 오는 방법은 일반버스를 타고 오면 된다.
고속터미널에선 922, 925, 975번을 타고 와 남구문화원앞 정류장에서 하차한 후 도보로 이동하면 올 수 있다.

4. 공연&전시

4.1. 공연일정

https://ucac.ulsan.go.kr/performance/main/performance/performanceList.do

4.2. 전시일정

https://ucac.ulsan.go.kr/performance/main/exhibition/performanceList.do

5. 울산시립예술단

5.1. 울산시립교향악단

안내 https://ucac.ulsan.go.kr/schedule/1/contentsPage.do
단원소개 https://ucac.ulsan.go.kr/schedule/13/contentsPage.do

5.2. 울산시립합창단

안내 https://ucac.ulsan.go.kr/schedule/2/contentsPage.do
단원소개 https://ucac.ulsan.go.kr/schedule/22/contentsPage.do

5.3. 울산시립무용단

안내 https://ucac.ulsan.go.kr/schedule/3/contentsPage.do
단원소개 https://ucac.ulsan.go.kr/schedule/32/contentsPage.do

5.4. 울산시립청소년교향악단

안내 https://ucac.ulsan.go.kr/schedule/4/contentsPage.do
단원소개 https://ucac.ulsan.go.kr/schedule/42/contentsPage.do

5.5. 울산시립청소년합창단

안내 https://ucac.ulsan.go.kr/schedule/5/contentsPage.do
단원소개 https://ucac.ulsan.go.kr/schedule/52/contentsPage.do

5.6. 찾아가는 예술단

울산문화예술회관의 교향악단, 합창단, 무용단으로 구성하여 시민이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장르의 공연을 알기 쉬운 해설을 덧붙여 공연함으로써 문화예술의 저변확대와 시민문화 향유 증대에 기여함은 물론, 문화중심도시 시민이라는 자부심과 긍지를 나누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및 병원 등 소외계층 찾아가는 공연, 해설과 함께하는 청소년 문화예술체험 특화프로그램 "초·중·고등학교 찾아가는 공연", 역동적인 삶의 현장을 방문하여 진행되는 기업체 찾아가는 공연, 다중집합공간, 시 외곽지역(문화소외지역) 지역민들을 위한 문화공연 등을 진행하였다.

5.6.1. 공연 신청방법

신청대상: 지역민 누구나
신청기간: 연중
※ 필요시 수시신청도 가능하나 원칙적으로 신청기간 내 신청
신청방법: 신청서 작성 또는 유선통화
신청서 배부: 문화예술회관 공연과 방문 또는 홈페이지(ucac.ulsan.go.kr) 서식 다운로드
신청비용: 무료
※ 공연장소 등 현지사정에 따라 무대장치 및 음향장비가 필요한 경우 비용이 추가 될 수 있음.
공연문의: 전화문의 - 울산시립예술단 사무국 052)226-8275

5.6.2. 공연프로그램

울산시립교향악단: 오케스트라 및 소규모 연주(독주, 중주, 합주)
울산시립합창단: 합창 및 소규모 연주(독창, 중창 등)
울산시립무용단: 고전무용, 창작무용, 국악연주 등
※ 프로그램 구성시 문화예술회관과 협의 후 결정

5.6.3. 찾아가는 예술단 공연이 불가한 경우

1. 특정인의 개인행사(결혼, 회갑연 등)
2. 특정단체의 특수목적 행사(종교집회 등)
3. 사기업의 영리추구 목적의 행사
4. 초·중·고등학교 축제행사
5. 기타 공익에 위배되는 행사

6. 대관

6.1. 공연대관

6.1.1. 정기대관

-상반기 대관
대관기간
1월~6월
신청,접수
전년도 9월 중 2주간 접수를 받고 있다.
-하반기 대관
대관기간
7월~12월
신청,접수
당해연도 3월 중 2주간 접수를 받고 있다.
-결과회신
접수마감 후 30일 이내 결과를 받을 수 있다.

6.1.2. 수시대관

-대관기간
정기대관 후 빈일자에 한해 대관할 수 있다.
-신청접수
공연예정일 30일전에 접수할 수 있다.
-결과 회신
접수마감 후 5일 이내 받을 수 있다.

6.1.3. 대관절차

대관신청 -> 대관심의 -> 결과회신 -> 사용료 납부 -> 무대설치 계획서 제출 및 스텝회의
-> 입장권의 제작 -> 공연 -> 공연장 정리

6.2. 전시대관

6.2.1. 정기대관

-상반기 대관
대관기간
1월~6월
신청,접수
전년도 9월 중 2주간 접수할 수 있다.

-하반기 대관
대관기간
7월~12월
신청,접수
당해연도 3월 중 2주간 접수할 수 있다.
-결과회신
접수마감 후 30일 이내 받을 수 있다.

6.2.2. 수시대관

-대관기간
정기대관 후 빈일자에 대관할 수 있다.
-신청접수
공연예정일 30일 전에 가능하다.
-결과 회신
접수마감 후 5일 이내 받을 수 있다.

6.2.3. 대관절차

대관신청 -> 대관심의 -> 결과회신 -> 처리기한 -> 사용료 납부 -> 변경신청

6.3. 연습실·회의실대관

6.3.1. 대관신청

신청방법 대관시스템 접수 -> 신청서 방문 및 홈페이지 다운 -> 신청서류(사용허가신청서)
-> 감면대상 단체는 감면신청서 작성
신청기간: 사용일 전월 1일부터 선착순 접수(최소 사용예정일 5일전까지 신청)
사용료 납부기간: 사용일 1주일 전까지 납부
운영방침
-아트홀: 교향악, 국악 등 기악 장르
-다목적홀: 합창, 오페라, 뮤지컬, 무용, 연극 등
-회의실: 각종 회의 및 세미나 등
전액감면대상
-국가 또는 울산광역시가 주최 또는 주관하는 공연 및 행사
-시에 주소지를 둔 문화예술단체의 행사와 관련된 회의실 사용(단, 강연,강좌 등은 제외)
반액감면대상
-시에 주소지를 둔 예술단체로서 울산광역시장이 지정한 전문예술단체의 연습실 사용

6.3.2. 대관사용료(사용시간 09:00~22:00)

아트홀사용료
오전(09:00~12:00)
35,000원
오후(13:00~17:00)
35,000원
야간(18:00~22:00)
40,000원
다목적홀사용료
오전(09:00~12:00)
20,000원
오후(13:00~17:00)
20,000원
야간(18:00~22:00)
25,000원
피아노사용료
1회/20,000원
회의실 사용료
1회/55,000원(4시간 기준)
-사용자가 사용시간대 중 일부만 사용한 경우에도 전부 사용한 것으로 간주함
-1회라 함은 오전, 오후, 야간 중 하나를 말함.

6.4. 대관대상과 대관제한대상

대관대상
-국제 문화예술의 교류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습
-전통 문화예술의 계승 발전을 위한 연습
-지역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연습
-시민의 정서 함양과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연습
대관제한대상
-시민 정서 및 사회 통념상 유해하다고 인정되는 모습
-공연관련 법령상의 의무를 위반한 단체 또는 개인의 연습
-그밖에 운영 목적상, 공익상 부적당하다고 인정할 경우

7. 교통

버스 탑승 시
108번 133번 147번 236번 427번 472번 702번 754번 847번(문화예술회관앞 하차) 5001번(남구청앞 하차)
위 버스들을 탑승할 시 울산문화예술회관으로 올 수 있다.
택시 탑승 시
출발지
시외·고속터미널 – 약 10분 소요 - 거리 2.4km
태화강역 – 약 15분 소요 – 거리 3.1km
울산공항 – 약 30분 소요 – 거리 9km
공업탑로터리 – 약 10분 소요 – 거리 2.6km
울산역(KTX) - 약 45분 소요 – 거리 22km

8. 논란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4096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4082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9362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5767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6663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6632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56887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04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192070?sid=102

8.1. 울산문예회관, 울산시 감사서 부적정 행정 무더기 적발

울산문화예술회관(이하 회관) 60여 명 직원과 단원들이 병가를 부적정하게 사용, 일부 직원은 봉급 회수 시정조치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고 부서운영 업무추진비를 부당하게 사용하거나 공연 의상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 등 부적정 행정이 울산시 감사에 무더기로 적발됐다.
https://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5226
[1] 10여년 전 1층 상설전시장 쉼 맞은편 공간으로 이전한 이후 코로나 팬데믹 등으로 이용객이 급감하면서 지난해까지 공연장 안내를 맡는 공연안내원들의 탈의실로 이용되기도 했다. 필수 시설인 수유실은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어린이 놀이방 구석을 이용해야 한다.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2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