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암순환선 구간 | |||||||
← 신내 방면 → |
응 암 | ← | 구 산 | ← | 연신내 | ← | 독바위 |
→ | 역 촌 | → | 불 광 | → |
구산역 | ||
응암 출발
연신내 1.0 ㎞ → |
6호선 (615) |
신내 방면
응 암 1.5 ㎞ → |
단방향 운행 구간 →
|
||
역명 표기 | ||
6호선 |
구산 Gusan 龜山 / 龟山 / [ruby(亀山, ruby=クサン)] |
|
주소 | ||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지하137-1 ( 구산동 1) | ||
소속 영업사업소 | ||
6호선 | 성산영업사업소 구산역 | |
운영 기관 | ||
6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6호선 | 2000년 12월 15일 | |
역사 구조 | ||
지하 4층[1] | ||
승강장 구조 | ||
단선 승강장 |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6호선 615번. 서울특별시 은평구 연서로 지하137-1 ( 구산동 1) 소재.2. 역 정보
역 안내도[2] |
단선 승강장 역으로, 오른쪽 출입문이 열린다. 지하 1층의 개찰구를 통과하여 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깊이 내려가면 곧바로 승강장이 나오는 단순한 구조다. 대구은행역과 비슷하다.
이 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하기 위해서는 바로 다음 역인 응암역에서 내려서 상행( 역촌역 방면) 열차로 바꿔 타고 불광역에서 환승할 수 있는데 굉장히 불편하고 시간만 낭비하는 쓸모없는 행위다. 실질적인 환승 방법으로는 6호선을 쭉 타고 약수역까지 내려가서 환승하는 방법이 있다.[3] 또는 연신내역 방향에 있는 예일여고 버스 정류장에 오는 아무 버스나 타면 대조동 주민센터 다음이 연신내역이니 버스로 환승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다. 이처럼 3호선과의 환승이 그리 편하지는 않아서 구산동에 사는 사람들이 약수역 이북 3호선을 이용할 경우 그냥 10분 배차로 다니는 752번을 이용한다. 752번은 녹번 - 독립문 사이의 3호선을 쫓아서 지나가기 때문이다.
응암순환선의 맨 끝에 존재하여 이 동네에서 도심(아래쪽) 방향으로 출근할 때는 빠르지만 퇴근할 때는 아닌[4] 특이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응암역에서 목적지를 코앞에 두고 역촌역으로 빙 돌아가는 것이다. 14분 정도 손해를 보니 인근 주민들은 퇴근 시 응암역에서 하차하여 753번, 702번, 7022번, 571번 등으로 환승하는 것이 좋다. 이것은 연신내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아니면 역촌역에서 하차하여 750m 정도를 걸어가는 방법도 있다. 역촌사거리 인근 주민이라면 이 역이나 역촌역이나 걷는 거리는 비슷하므로 상황에 따라 유리한 역을 선택하면 된다.
참고로 구산역이 있는 네거리는 구산사거리가 아니다. 구산역이 있는 사거리는 예일여고사거리이고 서오릉 쪽으로 가는 곳에 구산사거리가 있다. 선진운수 본사도 구산사거리 근처에 있다.
원당~서오릉을 지나는 서오릉로에 위치해 있어, 현재 고양(원당)지역의 교통 거점 역할을 한다.
독바위역, 연신내역보단 덜하지만 이 역도 승강장 곡선이 꽤 심하다. 진행 방향 기준 승강장이 왼쪽으로 꺾여 있는 독바위역, 연신내역과 달리 구산역은 오른쪽으로 꺾여 있다.
이상하게도 스크린도어 안내 개정 전까지는 선명하게 들리던 스크린도어 안내방송이 '띠링띠링띠링띠링'거리는 소리가 추가된 안내로 개정된 이후로는 스크린도어 안내방송이 잘 들리지 않는다.
2023년 3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될 예정이다. 본래 2020년 10월경에 공사가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아직도 공사중이며, 당분간 에스컬레이터 공사를 멈춘걸로 보인다. 2023년 4월로 연장된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공사가 진행중이 아니라 이것도 확실하지 않다. 현재는 2023년 10월 24일 완공 예정이며 서울교통공사에 문의해본 결과 많은 문의로 최대한 예정일 안에 완공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장기간 3번출구 폐쇄로 답답한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최근 많이 있다고 추측된다.
2024년 1월 23일 기점으로 에스컬레이터가 개통이 되었다.
승강장과 대합실을 잇는 엘리베이터가 없어 장애인은 장애인용 경사형 휠체어리프트를 이용해야 한다. 2022년 6월에 엘리베이터가 착공되었다. 관련 기사
이 역에서 응암역까지의 거리가 1.5km로[5] 6호선 중에서 가장 길다.[6]
3. 역 주변 정보
6호선 역촌역과는 도로로 800m 정도 떨어져 있다. 역 주변은 1970~80년대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단독주택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단위 아파트 단지는 매우 적다. 고만고만한 스카이라인 위로 나름 고층아파트 높이인 갈현 베르빌이 있다. 2022년에는 갈현 베르빌 근처에 민간임대아파트로 분양한 호림 리슈리안과 역세권청년임대아파트가 생겼고, 최근 역촌시장 재개발이 시작되어 제법 고층 건물이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1번 출구는 대조동, 2번 출구는 역촌동 소재이며, 3번 출구는 구산동, 4번 출구는 갈현2동 소재이다.
주변에 예일여고라든가 학교들이 조금 있기 때문에 '간단히' 먹을 곳들은 많다. 동네가 오래 됐기 때문에 허름해 보여도 1번 출구에 이디야, 스타벅스와 3번 출구 앞에 맥도날드, 4번 출구 근처에 서브웨이 샌드위치, 배스킨라빈스 개점, 2번 출구 근처에 롯데리아, 맘스터치 개점 등 프랜차이즈 패스트푸드점도 거의 다 있으며 네임드 맛집도 몇 곳 있다.
의료기관으로 살림의원이 있다.
은평구를 대표하는 학원가가 구산역과 연신내역 사이의 대로변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구산역 주변의 중대형 건물에 여러 대학 입시학원을 비롯하여 작은 빌딩에도 다양한 보습학원과 영어학원 등이 성업 중이다.
악덕업체로 악명높은 선진운수의 구산동 본사 차고지가 가까이 있다. 752번 등의 도심 방면 버스도 지나다니며, 707번을 타고 원당, 원흥, 화정, 일산신도시 방면으로도 갈 수 있다. 선진운수 관련 시설물들은 이 역 근처에 다 있다.[7]
3번 또는 4번 출구에서 내려서 북서쪽으로 향하면 서오릉이 나온다. 거리는 대략 2km. 도보 소요시간은 (네이버 지도 기준) 30분 가량 소요된다. 서오릉 방향으로 1.3km 정도 가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시경계가 나온다. 서오릉까지 못 걸어가겠으면 702A번을 타고 가자.[8]
단순히 살기에는 구산역 주변 자체는 나쁘지 않다. 학교 자체도 많고 병원도 많다. 다만 6호선의 응암순환선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철을 통해 도심을 나가기 어렵고, 거의 빌라가 대부분이라 연식 때문인지 개발 의욕 자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관에서는 그렇고 단독주택들을 신나게 때려부수고 빌라로 개조하는 오함마질 소리는 끊이질 않는다. 요즘은 역 주변에 아파트들이 꽤 들어서기 시작했다.
3.1. 출구 정보
구산역 출구 정보 | |
1 |
대조동 서울대조초등학교 대조동주민센터 동명여자고등학교·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삼성타운아파트 |
2 | 역촌동 |
3 |
구산동 예일여자중· 고등학교 구산동주민센터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은평구시설관리공단 구립구산동도서관마을 |
4 |
갈현2동 갈현동우체국 역촌중앙시장 구산사거리 은평구건강가정지원센터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d7c2f><bgcolor=#cd7c2f> 연도 ||
||<bgcolor=#cd7c2f>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7,824명 | [9] | ||
2001년 | 9,963명 | ||||
2002년 | 11,424명 | 비고 | |||
2003년 | 12,336명 | ||||
2004년 | 12,718명 | ||||
2005년 | 12,778명 | ||||
2006년 | 12,527명 | ||||
2007년 | 12,377명 | ||||
2008년 | 12,327명 | ||||
2009년 | 12,183명 | }}}}}}}}} | |||
2010년 | 12,572명 | ||||
2011년 | 12,834명 | ||||
2012년 | 13,395명 | ||||
2013년 | 14,050명 | ||||
2014년 | 13,988명 | ||||
2015년 | 14,289명 | ||||
2016년 | 14,358명 | ||||
2017년 | 14,377명 | ||||
2018년 | 14,182명 | ||||
2019년 | 14,001명 | ||||
2020년 | 10,548명 | ||||
2021년 | 11,129명 | ||||
2022년 | 12,126명 | ||||
2023년 | 13,204명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참고로 대부분의 역들은 승.하차 이용객에 큰 차이가 없지만 여기는 응암순환선의 특징으로 인해 승차량이 하차량에 비해 훨씬 많다. 2017년 기준 하루 승차 8,257명, 하차 6,120명으로 대략 35% 정도 차이난다.[10]
- 이 역에서는 은평구 최대 상업/교통 중심지인 연신내역으로 한 번에 못 가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하루 평균 이용객은 14,377명(2017년 기준)으로 만 명대 중반의 수요를 꾸준히 유지한다.
- 구산동, 갈현동, 대조동, 역촌동의 경계선에 있어 역세권이 넓으며, 서오릉로를 따라 내려오는 승객들의 환승 수요가 일부 있다. 특히 봉산 자락에 교통이 불편한 동네에서의 수요가 많다.
- 하지만 상기된 순환선의 단점 때문에 상당수의 역세권 주민들은 구산역이 아닌 연신내역에서 3호선을, 응암역에서 6호선을 이용한다. 역촌역보다 이용객이 1.7배 정도가 더 많은 것은 그만큼 역세권의 범위가 넓기 때문이지 역 자체의 경쟁력이 있어서가 아니다.[11]
5. 승강장
6호선 역명판 |
6호선 승강장 |
↑ 응암 | |
ㅣ | 하 |
↑ 연신내 |
하 | 서울 지하철 6호선 | 응암· 디지털미디어시티· 효창공원앞· 신내 방면 |
6. 연계 교통
6.1. 연서로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구산역1번출구(12182) ||
간선 | |
지선, 맞춤 | |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구산역2번출구.예일여고(12181) ||
간선 | |
지선 | |
마을 | |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구산역3번출구.예일여고(12206) ||
간선 | |
지선 | |
마을 | |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구산역4번출구(12205) ||
간선 | |
지선, 맞춤 | |
심야 |
6.2. 서오릉로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구산역1번출구.예일여고(12140) ||
간선 | |
지선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구산역2번출구.예일여고(12151)/구산전철역(12542) ||
간선 | |
지선 | |
마을 |
7. 여담
-
2023년 7월 24일 새벽 역사 밖
엘리베이터 앞에 설치된
유리
지붕이 산산조각 나고 떨어지면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던
서울교통공사
자회사 60대 직원 1명이
어깨를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실은 9월 1일에서야 알려졌다. 피해자는
뼈가 튀어나올 정도로 큰 부상을 입고 병원에 실려갔으나 응급
수술이 불가능한 곳이었던 탓에 다른 병원을 수소문해 옮긴 끝에 수술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런데 지하철 역 관계자는 사고 현장에서 인적 사항만 확인하고 떠나버려 병원을 알아보고 옮기는 건 가족의 몫이었다. 또한 수술이 끝난 후에야 찾아온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과거에도 비슷한 사고가 있었다고 털어놨다. 위험성을 알고 있었지만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은 것. 피해자는 서울교통공사가 안전 관리를 소홀히 했다며 고소했고, 경찰은 관계자들을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 등으로 조사 중이다.
서울교통공사 측은 치료비는 보험 처리해서 지급할 것이며 안전관리 책임과 관련해서는 자연 파손이기 때문에, 징계나 내부 조사는 필요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KBS 취재가 시작되자 사고 가능성이 있는 유리 지붕은 금속 소재로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조례 개정이 필요해 실제 교체는 내년(2024년)부터 가능하다고. #
8. 둘러보기
서울 지하철 6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d7c2f> 응암순환선 |
응암 →
역촌 →
불광 →
독바위 →
연신내 →
구산 →
|
일반 구간 |
응암 -
새절 -
증산 -
월드컵경기장 -
마포구청 -
망원 -
합정 -
상수 -
광흥창 -
대흥 -
효창공원앞 -
삼각지 -
녹사평 -
이태원 -
한강진 -
버티고개 -
약수 -
청구 -
신당 -
동묘앞 -
창신 -
보문 -
안암 -
고려대 -
월곡 -
상월곡 -
돌곶이 -
석계 -
태릉입구 -
화랑대 -
봉화산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b308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b308e>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구파발(320), 녹번(323) | ||
응암(610),
역촌(611),
독바위(613), 구산(615), 새절(616), 증산(617) |
|||
수색(K317) | |||
연신내[미개통] | |||
연신내(321, 614) |
불광(322, 612) 3호선, 6호선 |
|||
디지털미디어시티(618, K316)[마포구] 6호선, 경의·중앙선 |
|||
|
}}}}}}}}} |
[1]
심도 26.52m
[2]
2021년 10월 현재 3번 출구가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로 인해 폐쇄되었다.
[3]
3호선 약수역 이남(
성동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으로 가려면 차라리 이 방법이 낫다.
[4]
왜냐하면 구산역에서 바로 합정, 효창공원앞, 삼각지, 약수, 고려대, 태릉입구, 봉화산쪽으로 갈때에는 한방에 응암역을 거쳐서 갈수있지만, 반대로 응암순환행 열차를 탔다면 역촌-불광-독바위-연신내를 거처서 둘러오기 때문이다
[5]
하지만 응암역에서는 구산역으로 올 수 없다.
[6]
1.5km이면
경의·중앙선 경기도 구간에서 가장 짧은 구간인
운정역에서
야당역까지의 거리다.
[7]
구산동 본사 차고지, 갈현2동 제2본사(구산동 본사 건너), 옛 갈현1동영업소, 용두동영업소(서오릉 인근). 707번은 가좌동영업소를 출발하여 용두동영업소/용두동CNG충전소와 구산동 본사를 다 지난다.
[8]
702B번은 서오릉입구에 정차하지 않는다.
[9]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0]
하차 승객은 보통 3호선을 통해
연신내역으로 와서 6호선으로 갈아타 구산역에 오는 케이스.
[11]
사실 역으로 생각하면 반쪽짜리 지하철역인데도 이정도로 준수한 수요를 뽑아낸다면 6호선이 원안대로 응암순환선이 아니라 응암-구산-연신내 구간만 지어졌을 경우에는 구산역 또한 충분히 수요를 뽑아냈을 것이다. 역촌역도 일평균 8천명의 괜찮은 수요를 뽑아내고 있으니 두 역을 합치면 6호선 평균을 상회하는 2만명을 넘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