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9:52:10

과호흡 증후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과호흡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만화에 대한 내용은 과호흡(만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과호흡 증후군
| Hyperventilation Syndrome(HVS)
<colbgcolor=#3c6,#272727> 이명 <colbgcolor=#fff,#191919>과환기(過)증후군, 과호흡
국제질병분류기호
( ICD-10)
R06.4
의학주제표목
(MeSH)
DXXXXXX
진료과 내과, 정신건강의학과
질병 원인 지나치게 가빠진 호흡으로 인한 이산화 탄소의 과한 배출로 혈액의 pH가 급증하여 알칼리화가 진행되면서 말초혈관에서 조직으로 산소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음
관련 증상 호흡곤란, 저림, 손발꼬임, 어지럼증, 흉통, 경련, 실신
관련 질병 공황장애, 부정맥, 심장마비

1. 개요2. 원인3. 증상4. 진단과 검사
4.1. 비슷한 증상
5. 치료와 예방6. 경과와 합병증7. 대중매체8. 질병과 관련된 인물 및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과호흡 증후군()은 심리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발작의 일종이다.
[clearfix]

2. 원인

정신적으로 극도로 불안해지면 호흡이 매우 가빠지게 되는데[1], 이 과정에서 체내의 이산화 탄소가 지나치게 배출되고 혈액의 pH가 급증하여 알칼리화가 진행되면서 말초혈관에서 조직으로 산소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다.[2]

3. 증상

과호흡 증후군이 오면 일단 몸이 저려오기 시작한다. 손끝, 발끝부터 시작하여 점점 몸을 타고 올라온다. 저림이 몸과 머리까지 올 때쯤부터 숨을 쉬기가 굉장히 곤란해진다.[3] 전신 저림이 계속 발전하는데 말 그대로 전신이 저려온다. 머리끝까지 눈꺼풀은 물론 입 속 천장까지 저려온다. 이윽고 전신 저림은 손가락, 발가락이 강하게 꼬이는 증상과[4] 안면부 경련으로(쥐, 눈꺼풀과 입술 등이 일그러짐) 진행된다. 숨을 쉬지 못하는 공포와 신체적 고통이(저림과 꼬임) 함께 오게 되니 환자는 심리적으로 더 불안정해지면서 십중팔구 점점 더 악화된다. 이산화 탄소가 적은 게 문제인데 산소가 없는 것처럼 느껴지니 본능적으로 더 숨을 들이쉬려고 헐떡거리게 되는 걸 잡아야 한다. 또 개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또한 심장으로 가는 혈액 양의 감소로 인해 흉부, 심장 통증까지 느끼는 경우도 있다.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숨을 못 쉬어서 죽음의 고비까지 넘어갈 정도로 힘들어진다. 또한 몸에 마비 및 경직이 오는데, 입을 다물 수 없을 정도로 심해진다. 숨쉬기도 힘든데 코로 숨을 못 쉰다는 제일 큰 문제가 있다. 입으로만 숨을 쉬다간 굉장히 고통스러운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5]

발생 후 응급처치를 하거나 고비를 넘겼다면 먼저 시야가 다시 확보되며 온몸에 났던 쥐들이 서서히 풀리기 시작한다. 하지만 호흡이 바로 정상화되기보다는 숨을 쉬는 텀이 길어진다, 그 후 움직일 수는 있지만 근육에 힘을 주기는 쉽지 않으며 뇌가 멍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단 완전히 진정이 안되면 또 과호흡이 재발할 가능성이 커서 방심은 금물이다.

4. 진단과 검사

구급차 등으로 응급실에 이송됐다거나 병원으로 갔을 경우 동맥혈을 채혈하여 혈중산소포화도와 PCO₂를 검사, 과호흡증후군인지 아닌지를 판명한다. 공황장애 등의 인식이 널리 알려지며 아무 검사없이 공황장애 약부터 주사로 놓는다거나 코에 산소 호흡줄을 끼고 천식 에뷸라이저부터 연결하기도 한다. 동맥혈검사만 해보면 바로 과호흡인지 알 수 있으므로 동맥혈검사를 먼저 해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방법이다.

먼저 기본적으로 산소공급에는 정상이라고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그냥 안정을 취하라는 말을 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런 증상에서 정신적으로 진정하는 건 매우 어렵다. 참고로 체내에 이산화 탄소 정상 범위는 37 ~ 43mmHg 이다.

몸의 과도한 알칼리화로 인해 전해질 이상이 나타나 어지러움, 감각이상, 손발의 경련,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알칼리증에 의하여 심장 혈관 수축에 의해 심근 허혈, 흉통, 부정맥이 나타나며 뇌혈관 수축에 의해 어지러움, 시각 이상, 경련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손과 발, 팔다리가 꼬이는 모습을 보이며 더 심할 경우 기절하기도 한다. 심한 공포감이나 심한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다른 질환이 동반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4.1. 비슷한 증상

과호흡증후군과는 원인은 완전히 다르고 과호흡증후군으로 분류되지도 않지만, 폐렴 등의 호흡기 감염질환을 앓고 있거나 천식으로도 과호흡이 생긴다.[6] 머리를 다치거나 뇌졸중이 일어나는 등 호흡중추에 이상이 생기면 과호흡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 외에 필로폰 중독자들이 경찰에 잡혀와서 과호흡, 공황장애 드립을 치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 사람들의 경우 과호흡이 아닌 그냥 금단증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 과호흡을 코로나19 증상으로 착각하는 병원이 많다. 과호흡으로 응급실을 갔는데 다짜고짜 코로나19 검사를 시키며, 코로나19 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는 출입하지 말라는 등 어처구니 없는 대응에 과호흡 환자들의 불편이 늘어나고 있다. 물론 확진자의 출입을 최대한 막아야 하는 규정상 병원도 어쩔 수 없지만...

5. 치료와 예방

대처법은 발작이 일어날 때마다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천천히 호흡하여 몸상태를 안정시켜 되돌리는 것이다.

만약 어려울 경우엔 입과 코를 종이봉투[7] 등으로 덮어서 체내 이산화 탄소 배출을 줄이고 재흡수하여 혈중 이산화 탄소 농도를 정상화시키는 법이 있다. 이를 의학용어로 "페이퍼 백(Paper Bag)법"이라 한다. 비닐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사실 비닐은 좋지 않다. 이유인 즉슨 숨이 더 막히기 때문인데, 비닐 재질 상 들숨 때 비닐이 오그라들며 얼굴에 완전히 밀착 되어서 숨구멍이 '아예' 없어진다는 것이다. 안정화되려면 일단 많은 이산화 탄소를 마셔야 하지만 당연히 약간의 산소도 마셔야하기 때문이다.(산소를 아예 못 마시면 그때는 방법이 없다) 혼자인 경우 두 손을 주머니 모양으로 모아서 숨 쉬든가, 소매가 길면 소매 안으로 손을 집어넣고 숨쉬는 방법도 있다. 아무래도 이산화 탄소를 많이 보존할 수 있는 봉투 계열이 바람이 숭숭 통하는 손이나 옷자락보다는 효과가 크다. 가방을 소지하고 있으면 가방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봉투가 너무 구겨져 있거나 너무 오랫동안 사용한다면 저산소증이 올 수 있으니 주의. 또한 이 방법은 의료계에선 권장되지 않는다.[8]

정확히는 기저질환이 없는 경우 증상 자체는 내버려 둬도 정신적으로 진정되면 사라진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이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문제이다.[9] 정신적으로 진정시키는 건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다. 그래서 심각하다고 판단할 경우 응급실에서 약이나 주사로 곧바로 안정시키게 할 수 있지만 중독성이 심해서 며칠간 헤롱헤롱해진다. Gabapentin이라는 약을 먹으면 그나마 정신적으로 안정시켜주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복용하는 것도 좋다.

한번 과호흡 증후군이 생기면 카페인이 많이 든 음료를 마시면 안 된다. 대표적으로 커피. 안정시켜주긴 커녕 오히려 과호흡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병원에서 커피같은 걸 마시지 말라고 권유한다.

6. 경과와 합병증

만일 과호흡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상황이 지속된 환자가 합병증으로 심혈관계나 호흡기 질환이 있다면 매우 드물게 심장마비가 오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저질환이 없는 대부분의 과호흡증후군의 경우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병인학(Etiology)에서 사망률(Mortality rate) 통계가 없을 정도다. 그러나 유사한 증상을 가진 공황장애나 천식발작 같은 질환들을 반드시 감별진단 해야 한다.

7. 대중매체

8. 질병과 관련된 인물 및 사건 사고



[1] 감정적 격앙이나 스트레스라는 조건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장거리달리기 등 격한 운동을 한 후 숨을 몰아쉬며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며, 아무 생각 없이 가만히 있다가 발생하는 경우도 드물지만 있다. [2] 자세한 내용은 헤모글로빈의 보어효과를 참고. [3] 비유하자면 마치 산소가 없는 공간에 갇힌 느낌 또는 분명히 물속이 아닌데 물속에 처 박혀 있는 느낌, 온몸이 혈압 측정 기계 속에 들어가 끼어있는 느낌 등으로 표현된다. [4] 옆에서 보호자가 펴도 못 필만큼 강하게 꼬이는데, 이 꼬임이 심하면 팔다리까지 올라온다. 호흡곤란보다 몸이 강제로 뒤틀리는 게 더 아프다며 고통스러워하는 환자도 있다. [5] 입안이 온통 마르는데,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이 생긴다. [6] 천식환자의 과호흡은 기관지가 수축으로 인한 호흡곤란에서 비롯된다. 중등도나 경증일 때의 산소 포화도는 정상인 경우가 많고, 일반인이 과호흡증후군과 천식을 구분하기는 힘들다. 그러므로 응급처치 시 병력을 물어보고 종이 봉투를 씌우자. 천식환자에 봉투 씌우면 큰일난다. [7] 비닐봉투의 경우 숨을 들이쉴 때 오그라들어 호흡을 방해한다. [8] Bergeron, J. David; Le Baudour, Chris ( 2009). "Chapter 9: Caring for Medical Emergencies". First Responder (8 ed.).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p. 262. ISBN 978-0-13-614059-7. Do not use a paper bag in an attempt to treat hyperventilation. These patients can often be cared for with low-flow oxygen and lots of reassurance [9]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없는 건강한 일반인에게도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증상'이며, 이 발작의 통증과 죽음의 공포는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것으로 인해 공포증, 트라우마가 생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10] 2006년 4월 1일 방송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