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은아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연기대상 여자 주연상[1] | ||||
김민자 (1972년) |
→ |
고은아 (1973년) |
→ |
안인숙 (1974년) |
역대 | ||||
여우주연상 | ||||
제10회 ( 1971년) |
→ |
제11회 ( 1972년) |
→ |
제12회 ( 1973년) |
윤정희 (분례기) |
→ |
고은아 (며느리) |
→ |
윤연경 ( 비련의 벙어리 삼룡) |
제16회 ( 1977년) |
→ |
제17회 ( 1978년) |
→ |
제18회 ( 1979년) |
윤미라 (고가) |
→ |
고은아 (과부) |
→ |
유지인 (심봤다) |
영화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 ||||
제7회 ( 1971년) |
→ |
제8회 ( 1972년) |
→ |
제9회 ( 1973년) |
윤정희 (해변의 정사) |
→ |
고은아 (고백) |
→ |
윤정희 ( 석화촌) |
<colbgcolor=#090b16><colcolor=#FFFFFF> 고은아 高銀兒 | Ko Eun-ah[2] |
|
|
|
본명 | 이경희 (Lee Kyung-hee) |
출생 | 1946년 2월 16일([age(1946-02-16)]세) |
미군정 조선
경상남도
부산부 (現 부산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가족 |
아버지, 어머니 남동생 이재철[3], 조카 이승윤 |
배우자
곽정환(1967년 ~ 2013년 사별) 아들 곽승남 딸 곽인숙 딸 곽승경 사위 노성우 사위 백대현[4] |
|
학력 |
부산여자고등학교 (졸업) 홍익대학교 (미술공예과 학사) |
종교 | 개신교( 예장통합)[5] |
경력 |
은하극장 대표 은하필름 창립 및 대표 합동영화(주) 대표이사 사장 서울극장 대표 서울시네마타운 대표 행복한나눔 이사장 |
[clearfix]
1. 개요
|
<rowcolor=#ffffff> 1969년 영화 당신의 뜻이라면 |
2. 생애
영화배우가 될 줄은 생각도 못할 정도로 조용하고 평범한 학창시절을 보냈다. 사업가였던 부친이 부산과 서울을 오가며 서대문 쪽에 위치했던 동양극장을 경영하기는 했지만, 부산에서 거주하던 그녀는 그 곳에 방학 때나 되어야 가는 것이 전부였다. 그나마 같은 학과 친구들 작품의 두상모델을 해주었던 것이 학창시절의 특이한 경험의 전부였다고 한다.1964년 당시 최고의 톱스타 신성일과의 결혼으로 역시 인기절정이었던 엄앵란은 사실상 은퇴를 하게 되었다. 이에 영화계에는 엄앵란의 뒤를 이을 새 얼굴이 필요하게 되었고 학교에서 두상모델을 하던 청순한 여대생 이경희를 '난의 비가'의 여주인공으로 급하게 캐스팅한다.
이 때 극작가 한운사 선생이 '참 고운 아이' 라는 뜻으로 그녀에게 고은아라는 이름을 지어주었고, 그렇게 여대생 이경희는 ‘'난의 비가' 의 주연 여배우 고은아로 정식으로 데뷔하게 된다. 이 때가 1965년. 사실 얼떨결에 영화계에 데뷔는 했지만 딱히 배우의 길은 생각하지 않았던 고은아는 연이은 작품의 성공으로 순식간에 톱스타로 자리매김하였고, 1966년 제4회 청룡영화상에서 당시 인기배우였던 태현실을 밀어내고 1위로 인기여우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데뷔한 또래의 남정임, 문희와 함께 큰 사랑을 받게 되었다.
이렇듯 청초한 이미지로 사랑받던 고은아는 1967년 그녀의 나이 22살에 다소 이른 결혼을 한다. 상대는 합동영화사의 사장 곽정환. 단신으로 월남하여 영화사를 설립,성공가도를 달리던 곽정환은 고은아에게 적극적으로 구애, 두 사람은 15살의 나이 차이를 극복하고 결혼하여 1남 1녀를 두었다. 결혼 후에는 영화 출연을 줄이고 주로 TV에서 활동하였다. 동양방송의 '사모곡'에서 맡았던 연산군의 생모 폐비 윤씨와 문화방송의 제2공화국에서 맡았던 육영수 여사 역할은 올드팬들 사이에서 지금까지도 회자가 되고 있다.
80년대까지는 조미료 미원의 모델로 장수하였고[6] TV드라마 제2공화국의 출연도 하였지만, 이후 TV나 영화 출연이 없다. 1987년 1월, 고향인 부산 서면에 본인 이름을 딴 '은아극장'을 개관하여 사장으로 취임한다. 남편 곽정환 서울극장 회장이 2013년 별세한 이후에는 '서울극장'의 대표와 행복한 나눔 이사장으로만 활동하고 있다.
2015년 부산국제영화제에 1억을 기부하기도 하였다. 이후 2021년 11월에는 아들인 곽승남 서울극장 대표가 암으로 별세하면서 참척했다.
3. 출연작
3.1. 영화
<rowcolor=#ffffff>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1965년 | 란의 비가 | |
갯마을 | ||
1966년 | 5인의 건달 | |
간첩 작전 | ||
딸이면 어때 | ||
물레방아 | ||
불사조 | ||
불타는 청춘 | ||
사랑보다 강한 것 | ||
산유화 | ||
소령 강재구 | ||
소문난 여자 | ||
순애 | ||
오늘은 왕 | 재천 처 | |
종점 | ||
친정 어머니 | ||
태양은 다시 뜬다 | ||
회전의자 | ||
흑발의 청춘 | ||
1967년 | 까치 소리 | |
팔도강산 | ||
비서실 | ||
남남북녀 | ||
종야 | ||
환영 | ||
형수 | ||
청춘 극장 | ||
제3의 청춘 | ||
열정 | ||
연합전선 | ||
애하 | ||
애인 | ||
안개 낀 초원 | ||
악인가 | ||
소복 | ||
새벽길 | ||
상처 뿐인 청춘 | ||
비련 | ||
돌지 않는 풍차 | ||
내 몫까지 살아주 | ||
남매 | ||
길을 묻는 여대생 | ||
공처가 삼대 | ||
고향 | ||
고별 | ||
가고파 | ||
1968년 | 속 팔도강산 | |
춘풍 | ||
청춘 고백 | ||
재혼 | ||
순정 | ||
엄마의 일기 | ||
어머니는 강하다 | ||
사랑했는데 | ||
비정의 항구 | ||
다시 만날 때까지 | ||
귀부인 | ||
복수 | ||
청등홍등 | ||
1969년 | 한번 준 마음인데 | |
하늘을 보고 별을 따고 | ||
정과 애 | ||
젊은 여인들 | ||
잠바 Q | ||
애수의 언덕 | ||
식모 삼형제 | ||
성녀와 마녀 | ||
사나이 세계 | ||
밤나비 | ||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 ||
독신녀 | ||
당신의 뜻이라면 | ||
내 것이 더 좋아 | ||
남편 | ||
남의 속도 모르고 | ||
나도 인간이 되련다 | ||
1970년 | 팔도검객 | |
울고 간 여인 | ||
1971년 | 세 남매 | |
내일의 팔도강산 | ||
고백 | ||
어느 부부 | ||
애 | ||
1972년 | 쥐띠 부인 | |
쥐띠 부인 2 | ||
며느리 | ||
현대인 | ||
아름다운 팔도강산 | ||
1973년 | 홍의장군 | |
야간 비행 | ||
장안명기 오백화 | ||
천사의 메아리 | ||
1974년 | 김두한 - 실록 김두한 | |
작은 새 | ||
유관순 | ||
황비홍소림권 | ||
황비 | ||
수선화 | ||
1975년 | 불꽃 | |
흑야 | ||
내일은 진실 | ||
새벽에 온 방문객 | ||
연화 | ||
동거인 | ||
1976년 | 캘리포니아 90006 | |
1977년 | 저 높은 곳을 향하여 | |
1978년 | 과부 | |
어딘가에 엄마가 | ||
비둘기의 합창 | ||
1979년 | O녀 | |
맨발의 청춘 | ||
율곡과 신사임당 |
3.2. 드라마
<rowcolor=#ffffff>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1989년 ~ 1990년 | 제2공화국 | 육영수 |
4. 수상 경력
<rowcolor=#ffffff>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1966년 | 4회 청룡영화상 | 인기여우상 | |
9회 부일영화상 | 우수 신인상 | 갯마을 | |
1972년 | 8회 백상예술대상 | 여자 최우수연기상 | 고백 |
11회 대종상 | 여우주연상 | 며느리 | |
9회 청룡영화상 | 인기여우상 | ||
1973년 | 10회 청룡영화상 | ||
1974년 | 10회 백상예술대상 | 인기상 | |
1978년 | 17회 대종상 | 여우주연상 | 과부 |
2012년 | 49회 대종상 | 영화 발전 공로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