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8 10:17:14

문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신라의 황후 문희에 대한 내용은 문명왕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2017년에 데뷔한 보너스베이비 출신 배우에 대한 내용은 문희(배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대한민국의 성우 출신 여배우에 대한 내용은 나문희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동명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문희(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동명의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문희(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문희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역대 파일:daejongfilmawards_logo.png
파일:daejongawards.png
여우주연상
제6회
( 1967년)
제7회
( 1968년)
제10회
( 1971년)
문정숙
( 귀로)
문희
( 카인의 후예)
윤정희
(분례기)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제3회
( 1967년)
제4회
( 1968년)
제5회
( 1969년)
문정숙
( 만추)
문희
(막차로 온 손님들)
김지미
( 대원군)

}}} ||
<colbgcolor=#595959><colcolor=#FFFFFF> 문희
文姬 | Moonhee
본명 이순임(李順任, Lee Soon-im)
출생 1947년 7월 16일 ([age(1947-07-16)]세)
서울특별자유시
본관 전주 이씨
배우자 장강재
자녀 슬하 2남[1] 1녀
종교 가톨릭 ( 세례명: 클라라)
학력 서라벌예술대학 (연극영화학 / 학사)

1. 개요2. 활동3. 여담4. 영화5. 수상 경력

[clearfix]

1. 개요

파일:문희트로이카.jpg
대한민국의 배우. 윤정희, 남정임과 함께 1세대 트로이카의 일원으로서 영화에서 수많은 활약을 보여 줬다.

2. 활동

1965년 서라벌예대 재학시절 친구를 따라 KBS 탤런트 시험에 응시했다가 카메라 테스트를 참관한 이만희 감독의 조감독에 의해 발탁되어 영화 흑맥으로 데뷔했다.[2] 이후 1966년 초우, 1967년 원점을 찍으면서 서서히 이름을 알렸다. 그렇지만 다른 트로이카 여배우들이 데뷔작부터 큰 성공을 거둔 것에 비해 문희의 성장은 더딘 편이었다.[3]

그러다가 1968년 여름 미워도 다시 한번으로 이들에게도 명함을 내밀 수 있는 흥행작을 내었다. 미워도 다시 한번은 당시 서울 시내 한개 영화관에서 37만 관객을 동원하여 이전 최은희 주연의 성춘향의 기록을 갈아치우며 윤정희도 남정임도 못했던 기록 갱신에 성공한다. 비련의 여주인공역을 맡았는데, 이러한 비련의 여성 이미지는 문희의 상징이 되었다. 이 때 문희에게 붙은 수식어가 눈물의 여왕. 미워도 다시 한번의 성공으로 남정임과 윤정희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트로이카 여배우가 되었다.

이후 전성기 시절에는 윤정희와 치열한 경쟁을 했는데 문희가 미워도 다시 한번을 낼 때쯤, 윤정희는 내시를 흥행시키며 만만치 않은 기세를 보여줬다. 윤정희는 선역에서부터 악역까지 다양한 역을 소화했고, 남정임은 주로 발랄한 배역을, 문희는 주로 눈물연기를 중심으로 한 선역을 맡았다. 그러나 윤정희가 연기력을 중심으로 평가받은 것과 달리 문희는 외모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고, 이런 점 때문에 트로이카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다. 이후 이외의 흥행작으로는 내 몫까지 살아 주, 파도, 벽속의 여자, 형, 결혼 교실, 춘향전 등이 있다.
파일:20231209_142412.jpg
벽 속의 여자 (1969)
벽 속의 여자에서는 미워도 다시 한번과 다른 자기의 욕망에 충실한 여자역을 맡았다. 한복과 수수한 원피스 차림 중심의 전근대적 여성상과는 다른 롱코트와 부츠를 착용한 서구적인 면을 가진 역을 연기하였다.[4]

3. 여담

서울특별시에서 5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6남매 중에서 형제들은 모두 남자형제여서[5] 부모님의 사랑을 독차지하였다고 한다. 이후 아버지의 권유로 1965년 영화 <흑맥>에 출연 본격적인 영화배우의 길을 걷게 된다.

이후 꾸준히 영화에 출연한 결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해졌다. 또한 윤정희, 남정임과 함께 1960년대~70년대 여자 영화 배우 트로이카의 한 사람으로도 유명했다. 그러다가 1971년 갑자기 한국일보 부사장 장강재와 결혼해 영화 출연이 뜸해졌다. 다른 원로 여배우들이 결혼후 각종 구설수에 오르던 것과 달리 화목하고 잡음없는 결혼생활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후 1993년 남편이 간암으로 사망하면서 사별하였다. 현재는 백상재단 이사장으로 지내고 있다고 한다.

문희의 아들 장중호는 명세빈과 2003년 결혼한다고 언론에 발표되었고 문희 본인이 직접 언급도 했으나, 파혼하면서 없던 일로 되었다.

나이드신 분들에겐 귀티나는 외모의 대표로 선호받는다. 최근 노년에 여성지 화보로 모습을 비추기도 했는데, 우아하게 나이든 모습을 자랑한다.

현재 1세대 트로이카 중 유일하게 생존해 있다.

4. 영화

개봉일자 제목 관람인원 배역
1965.10.23 흑맥 미순
1966 초우 50,000명 영희
1967 원점 30,982명
1968.07.16 미워도 다시 한번 370,005명 혜영
1969 속 미워도 다시 한번 253,871명
벽속의 여자 190,130명 미지
1970 미워도 다시 한번 제3편 198,768명 혜영
1971.02.06 미워도 다시 한번 대완결편 145,270명

5. 수상 경력



[1] 장남 이름은 장중호, 전 일간스포츠 대표이사 사장이었다. [2] 훗날 절친한 사이가 된 선배 배우 엄앵란이 흑맥의 촬영 현장에서 문희를 처음 보았다고 하는데, 같이 촬영하던 남자배우들이 문희의 눈이 너무 예뻐서 쳐다보지를 못했다고 한다. 작고 가녀린 문희를 보며 엄앵란은 ‘저렇게 가녀린 아이가 이렇게 힘든 일을 어떻게 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3] 윤정희 청춘극장으로, 남정임 유정으로 데뷔작부터 대박을 터뜨리며 화려하게 데뷔했다. 이들은 데뷔하자마자 승승장구했지만, 문희는 이들에 비해 데뷔작에서 크게 부각되지 못했다. [4] 옷차림이 지금이랑 비교해도 꿀리지 않을 만큼 세련되었다. [5] 형제들 중 유명한 사람이 이상용 전 한국문원 대표이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