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22:33:18

고요제이 덴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일본 신화|
전승
]]
<rowcolor=#DCA6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진무 안네이 이토쿠 고쇼
<rowcolor=#DCA6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안 고레이 고겐 가이카 스진
<rowcolor=#DCA6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스이닌 게이코 세이무 주아이
[[고훈 시대|
고훈 시대
]]
<rowcolor=#DCA600>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오진 닌토쿠 리추 한제이 인교
<rowcolor=#DCA6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안코 유랴쿠 겐조 닌켄
<rowcolor=#DCA600>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부레쓰 안칸 센카 긴메이
<rowcolor=#DCA600> 제30대 제31대 제32대
비다쓰 요메이 스슌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rowcolor=#DCA600>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스슌 스이코 조메이 고교쿠
<rowcolor=#DCA6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고토쿠 사이메이 덴지 고분
<rowcolor=#DCA600>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덴무 지토 몬무 겐메이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겐메이 겐쇼 쇼무 고켄
<rowcolor=#DCA600>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준닌 쇼토쿠 고닌 간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rowcolor=#DCA600> 제50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간무 사가 준나 닌묘
<rowcolor=#DCA600> 제55대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몬토쿠 세이와 요제이 고코 우다
<rowcolor=#DCA600>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다이고 스자쿠 엔유
<rowcolor=#DCA600>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가잔 이치조 산조
<rowcolor=#DCA600>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고산조 도바
<rowcolor=#DCA600>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스토쿠 고노에 니조 로쿠조
<rowcolor=#DCA600> 제80대 제81대 제82대
안토쿠 고토바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rowcolor=#DCA600>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고토바 준토쿠 주쿄
<rowcolor=#DCA600>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제91대
고사가 고우다
<rowcolor=#DCA600>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후시미 고니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rowcolor=#DCA600>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조케이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rowcolor=#DCA600> 제100대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쇼코
<rowcolor=#DCA600>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고나라 오기마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rowcolor=#DCA600> 제106대 제107대
오기마치 고요제이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rowcolor=#DCA600>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메이쇼 고코묘
<rowcolor=#DCA600>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고사이 레이겐
<rowcolor=#DCA600> 제115대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모모조노
<rowcolor=#DCA600> 제119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고카쿠 닌코 고메이 메이지
근현대
<rowcolor=#DCA600>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메이지 다이쇼 쇼와 아키히토
<rowcolor=#DCA600> 제126대
나루히토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나라 시대
]]
제35대
제41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지토 겐쇼 쇼무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고켄 고닌 사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준나 우다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스자쿠 엔유 가잔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이치조 산조 고산조
제72대 [[인세이|
원정
]]
제74대 [[인세이|
원정
]]
제75대 [[인세이|
원정
]]
제77대 [[인세이|
원정
]]
도바 스토쿠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원정
]]
니조 로쿠조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
제82대 [[인세이|
원정
]]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원정
]]
고토바 준토쿠
제86대 [[인세이|
원정
]]
제88대 [[인세이|
원정
]]
제89대 [[인세이|
원정
]]
제90대 [[인세이|
원정
]]
고사가
제91대 [[인세이|
원정
]]
제92대 [[인세이|
원정
]]
제93대 [[인세이|
원정
]]
제95대
고우다 후시미
[[남북조시대(일본)|
남조
]]
제95대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원정
]]
조케이
[[남북조시대(일본)|
북조
]]
제95대
북조 초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고곤 고묘 스코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고코곤 고엔유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
북조 제3대 [[인세이|
원정
]]
북조 제5대 [[인세이|
원정
]]
제98대
제99대
제100대 [[인세이|
원정
]]
추존
제102대 [[인세이|
원정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제106대
추존
요코
[[에도 시대|
에도 시대
]]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원정
]]
제109대
제111대
메이쇼 고사이
제112대 [[인세이|
원정
]]
제113대 [[인세이|
원정
]]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원정
]]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원정
]]
고카쿠
[[일본국|
현대
]]
제125대

}}}}}}}}}}}}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일본 제107대 천황
고요제이 천황
[ruby(後,ruby=ご)][ruby(陽,ruby=よう)][ruby(成,ruby=ぜい)][ruby(天皇,ruby=てんのう)]
파일:1280px-Emperor_Go-Yōzei2.jpg
출생 1571년 12월 31일
야마시로국 교토 교토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사망 1617년 9월 25일 (향년 45세)
야마시로국 교토 내리 북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능묘 후카쿠사 북릉([ruby(深草北陵, ruby=심초북릉)])
재위기간 제107대 천황
1586년 12월 17일 ~ 1611년 5월 9일
상황
1611년 5월 9일 ~ 1617년 9월 2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가즈히토([ruby(和仁, ruby=화인)]) → 가타히토([ruby(周仁, ruby=주인)])
부모 친부 사네히토 친왕
친모 후지와라 하루코
형제자매 8남 6녀 중 장남
배우자 여어 고노에 사키코 등
자녀 13남 12녀
종교 불교
아명 차치마루([ruby(茶地丸, ruby=차지환)])
원호 고요제이인([ruby(後陽成院, ruby=후양성원)])
시호 고요제이 천황([ruby(後陽成天皇, ruby=후양성천황)])
연호 덴쇼([ruby(天正, ruby=천정)], 1586년 ~ 1592년)
분로쿠([ruby(文祿, ruby=문록)], 1592년 ~ 1596년)
게이초([ruby(慶長, ruby=경장)], 1596년 ~ 1611년)
}}}}}}}}}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제107대 천황.

원래 이름은 가즈히토(和仁 かずひと)였지만, 후에 가타히토(周仁 かたひと)로 고쳤다. 오기마치 천황의 황태자 사네히토 친왕(誠仁親王)의 아들로, 고요제이 천황은 즉위한 후 아버지를 요코 덴노로 추존했다.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 즉위하여 에도 시대까지 재위했으며, 그의 재위시기 임진왜란이 있었다.

2. 생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분로쿠(文禄) 2년(1593), 조선에서 약탈해 온 금속활자와 활자인쇄본 서적을 고요제이 천황에게 바쳤다. 그 해 공경인 로쿠조 아리히로(六条有広, 1564 ~ 1616), 니시도인 도키요시(西洞院時慶, 1552 ~ 1640) 등에게 명령해 그 기술을 사용, 《고문효교》(古文孝教)[1]를 인쇄하도록 했고 이게 분로쿠칙판(文禄勅版)이다. 이는 일본에서 금속활자를 사용한 최초의 인쇄 작업이었다. 또한 게이초(慶長) 2년(1597)에 조선 활자를 모방한 대형 목활자(木活字)를 제작해 《금수단》(錦繍段)을 개판하게 했고 이게 게이초칙판(慶長勅版)이다. 역으로 말하자면 한국사에서는 고려 시대 때 개발된 금속활자가 이때까지도 일본 열도에는 없었다는 소리가 된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고 천하의 운명을 건 세키가하라 전투가 일어나자 단고(丹後)의 타노베 성(田辺城)[2]에서 서군(西軍)과 교전 중이던 호소카와 유사이를 아껴서[3] 양군에게 칙령으로 성을 열 것을 명령했다. 게이초 8년(1603)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정이대장군으로 임명했고, 이로써 역사상 세 번째 막부이자 가장 안정적이었던 에도 막부가 개창되었다. 조정의 권위를 억압하려는 도쿠가와 막부는 교토 조정에 대한 간섭을 강화해, 조정이 갖고 있었던 관위서임권이나 연호 개원(改元)까지도 막부가 가져왔다. 게이초 14년(1609)에 궁중에서 여관(女官)의 밀통사건(이노쿠마 사건(猪熊事件, 체웅사건. #))이 일어나자 에도 막부는 교토 소사대(京都所司代)에 명령해 엄벌을 요청했다.

고요제이 천황은 히데요시의 강권으로 제1황자였던 요시히토 친왕(良仁親王)을 차기 계승자로 삼았지만, 히데요시가 죽자 동생인 도모히토 친왕(智仁親王, 1579 ~ 1629)에게 양위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조정 신료들과 쇼군 이에야스는 이를 반대했다. 세키가하라 전투 뒤, 고요제이 천황은 이에야스의 동의를 얻어 요시히토 친왕을 강제로 닌나지(仁和寺, 인화사)[4]에 출가시키고, 제3황자인 마사히토 친왕을 황태자로 세웠다. 게이초 16년(1611)에 마사히토 친왕(훗날의 고미즈노오 천황)에 양위하고, 선동어소(仙洞御所)로 물러났다. 그러나 고미즈노오 천황은 상황의 처소에 좀처럼 찾아가지 않는 등 천황과 상황 두 부자는 오랫동안 불화 상태였다고 한다.

겐나(元和) 3년(1617)에 47세로 붕어했고, 시신은 화장되었다. 이후로 현대의 쇼와 천황에 이르기까지 역대 천황들은 모두 매장되었으므로, 화장으로 장례를 치른 마지막 천황이 되었다.

==# 천황 계보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4대
제23대
제22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3대
제32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41대
제40대
제39대
제43대
제49대
제44대
제42대
제47대
제50대
제45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46대
제48대
제54대
제55대
제58대
제56대
제59대
제57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7대
제66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7대
제76대
제78대
제80대
제79대
제81대
제82대
제86대
제83대
제84대
제87대
제88대
제85대
제89대
제90대
제92대
제91대
제93대
제95대
제94대
제96대
북조 초대
북조 제2대
제97대
북조 제3대
북조 제4대
제98대
제99대
북조 제5대
북조 제6대
제100대
제102대
제101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제117대
제116대
제119대
제118대
제120대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제126대



3. 기타

유학 국학에 매우 능해서 《 겐지모노가타리》, 《이세모노가타리》, 《구간쇼》를 지었다고 하며 《 일본서기》를 게이초칙판으로 발행하기도 했다.

도요토미 히데츠구가 참혹하게 죽은 후에, 히데츠구의 어머니를 위로하고자 '즈이류인'(瑞龍院, 서룡원)이란 원호를 내렸으므로 히데츠구와의 사이는 나쁘지 않았던 듯하다.[5]
파일:고요제이 칙서.png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당시 천황이다. 그래서 일본에선 임진왜란/정유재란을, 고요제이 천황 치세의 연호를 따서 각각 분로쿠의 역(문록의 역, 文禄の役), 게이초의 역(경장의 역, 慶長の役)이라고 부른다. 이때 천황 본인은 히데요시에게 조선으로 건너가지 말 것을 당부하는 서신을 보냈지만 히데요시가 무시했다.[6] 이 어명을 담은 친필 문서 원본이 교토국립박물관에 남아 있다. # 본문에 '고려국(高麗國)'이 보이는데 당시 한반도 왕조의 국호는 당연히 '조선국(朝鮮國)'이었으나 본래 외국에서의 국호는 보수성이 강해 늦게 바뀌는 경향이 있다. 한반도에 대해서 아직도 '조선반도'라고 지칭하는 사례가 이와 비슷하다.

《사명대사전》에서는 풍신수길을 앞세워 조선을 침공했다며 사명대사에게 농락당하는 신세로 나온다. 조선의 민간인들은 일본도 조선처럼 군주가 실권을 쥔 나라인 것으로 오해했기 때문에 그려진 잘못된 묘사였다.[7] 오히려 고요제이 천황은 임진왜란을 반대하는 인물이었다.

2024년 개봉한 영화 < 파묘>에서 가타히토라는 실제 이름으로 언급된다.


[1] 효경》의 훈점본 [2]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윤곽식 평성으로 훗날 에도 시대때 타나베 번의 번청으로 사용했지만 여러가지의 이유로 공원이 되었다. [3] 그가 대단한 교양인으로 조정과 공가와 가까운 관계였던 것도 있지만, 대신가인 산조니시 가에서 일인전승으로 전해지는 고금화가집을 전수받은 자인 것이 결정적이었다. 당시 산조니시 가문의 대가 불안정한 상황이라 유사이가 전사하면 고금화가집 전승이 끊길 수도 있었다. 실제로 유사이에게 고금화가집을 전수해준 산죠니시 사에키의 아들이 이후 요절하여 유사이가 사에키의 손자에게 전수를 해줘야 했다. [4] 교토시 우쿄구 오무로오우치에 있는 진언종어실파의 총본산 사원 [5] 사실 히데츠구는 꽤나 교양인에 고전 문학 보존에 힘써서 황실과 공가 측이 좋아할만한 인사였다. [6] 그러나 이런 전적에도 불구하고 제국 시기의 일본은 히데요시가 고요제이 천황을 수호했다고 역사왜곡을 했다. [7] 다만 조선 조정에서는 천황이 허수아비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의 국왕과 신하들의 회의를 보면 일본 천황은 수백년째 허수아비이고, 실권은 정이대장군이나 관백 등의 신하가 쥐고 있다는 것 정도는 인지하고 있었다. 그런 사정을 잘 모르는 민간인이 쓴 소설에서나 오해한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같은 민간인 출신으로서 권력을 잡은 히데요시 역시도 조선에 대해 비슷한 오류를 저지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