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구역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서구역 | 대안구역 | 와우도구역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천리마구역 |
시인민위
항구구역
|
}}} | |||||
군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룡강군 | 온천군 |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동 | ||||
세길동 | 산업동 | 샘물동 | 기양동 | 문화동 | |
락원동 | 봉상동 | 기산동 | 서학동 | 탄포동 | |
남산동 | 전진동 | 서기동 | |||
리 | |||||
청산리 | 태성리 |
구역당 덕흥리 |
약수리 | 삼묘리 | |
수산리 | 잠진리 | ||||
}}}}}}}}} |
남포시의
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강서구역
江西區域 Kangsŏ District |
}}} | |||
<colbgcolor=#295487><colcolor=#ffffff> 구역 소재지 | 덕흥동 | |||||
광역행정구역 | 남포시 | |||||
하위 행정구역 | 14 동 6 리 | |||||
면적 | 736km² | |||||
인구 | 191,356명[1] | |||||
인구 밀도 | 259.99명/km² | |||||
최고인민회의 |
|
김평해 (강서선거구 / 초선)
|
||||
|
정철준 (서학선거구 / 초선)
|
|||||
|
윤춘화 (청산선거구 / 2선)
|
|||||
|
리광철 (서기선거구 / 2선)
|
|||||
|
김영재 (덕흥선거구 / 초선)
|
|||||
지역번호 | 039 |
[clearfix]
1. 개요
평안남도 서쪽에 위치했던 강서군에서 유래한 행정구역. 남한에서도 같은 이름을 가진곳이 있다. 면적 736㎢로, 광복 당시 14개 면이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남포시에 속한다. 구역의[2] 소재지는 옛 강서면 덕흥리 일대이다. 2010년 남포시로 편입되면서 평안남도가 관할하지 못하고 남포시가 관할하는 구역으로 조정되었다.▲ 북한에서 관광지로 공개하는 강서약수 공장
2. 시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d914b>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
시 |
평양시 |
진남포시 |
|||||||
군 |
대동군 |
순천군 |
맹산군 |
양덕군 |
덕천군 |
|||||
성천군 |
강동군 |
중화군 |
용강군 |
영원군 | ||||||
강서군 |
평원군 |
안주군 |
개천군 |
|||||||
명목상 도청소재지 : 평양시 | }}}}}}}}} |
3.1. 구 강서군 지역
- 강서면(江西面)
- 관할 리 : 덕흥(德興), 거장(巨庄), 광향(廣鄕), 삼묘(三墓), 암저(巖底), 염전(鹽田)[3], 정화(靜和), 학천(鶴泉), 현봉(賢鳳)
- 읍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덕흥리다. 삼묘리에 고구려시대의 벽화고분 3기(강서삼묘)가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읍의 진산인 무학산(舞鶴山, 346m)이 유명하다.
- 동진면(東津面)
- 관할 리 : 기양(岐陽), 고일(古逸), 다필(多必), 덕봉(德鳳), 석현(石峴), 신교(新橋), 심정(心貞), 어은(於隱), 용정(龍井), 청산(靑山), 추죽(推竹), 탄포(灘浦), 태성(台城), 학송(鶴松)
- 면소재지인 "기양(岐陽)"이라고 부른다. 일제강점기 조선경금속주식회사가 위치해 금속공업이 발달해 있던 곳이다. 기양리를 중심으로 거의 도시화되었으며,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여기가 강서읍 소재지다. 면 서쪽에는 태성호(台城湖)[4] 저수지가 있다. 북한에서 (아마도) 유일한 골프장이 있다. 북한에서 선전하는 ' 청산리 방법'의 청산리가 이곳에 있다.
- 보림면(普林面)
- 관할 리 : 화학(和鶴), 간성(肝城), 관포(觀浦), 광포(廣浦), 남삼(南三), 대화(大和), 문천(聞天), 서학(棲鶴), 우산(羽山), 유현(柳峴), 학남(鶴南)
- 간성리에는 고구려 벽화고분인 연화총(蓮華塚)이 있고, 서학리에 있는 서학산(棲鶴山, 272m)은 일명 구룡산이라고도 하며, 산세가 웅대하고 경관이 뛰어나 ‘강서 금강’이라고도 한다.
- 성암면(城巖面)
- 관할 리 : 남양(南陽), 금산(金山), 대안(大安), 대정(大井), 세죽(細竹), 영평(永平), 입송(立松), 주산(舟山), 죽마(竹馬), 차제(車堤)
- 북한 행정구역상 대안군이 소재하고 있다. 대안군(대안구역)은 과거 대안시(大安市)로 승격된 적도 있다.
- 수산면(水山面)
- 관할 리 : 오이(烏耳), 가생(可生), 가현(可峴), 가흥(佳興), 고학(古鶴), 금천(金泉), 백운(白雲), 신정(新井), 쌍송(雙松), 어경(於京), 운남(雲南), 운북(雲北), 천도(千渡)
- 명학제(鳴鶴堤)라는 저수지가 있다.
- 잉차면(芿次面)
- 관할 리 : 오(五), 삼(三), 이(二), 일(一), 조양(朝陽), 토산(兎山), 팔(八), 화석(花石)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강서군에 편입됐다.
- 초리면(草里面)
- 관할 리 : 강선(降仙), 남호(南湖), 보봉(寶鳳), 사(沙), 송호(松湖), 이로(伊老), 포(浦)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강서군에 편입됐다. 면소재지인 "강선(降仙)"으로 잘 알려진 곳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제강공업이 발달해 동진면과 함께 일찍이 도시화된 지역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천리마군이 소재하고 있다.
3.2. 구 증산군 지역
아래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편입된 구 증산군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같은날 신설된 평원군에 편입된 한천면도 구 증산군의 영역이었다.- 반석면(班石面)
- 관할 리 : 상사(上四), 하사(下四), 반일(班一), 반이(班二), 반삼(班三), 반사(班四), 반오(班五), 반육(班六)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 성태면(星台面)
- 관할 리 : 원당(元塘), 가장(可庄), 금송(金宋), 대마(大馬), 성사(星四), 성삼(星三), 성오(星五), 성육(星六), 성이(星二), 성일(星一), 성칠(星七), 연곡(硯谷), 태사(台四), 태일(台一)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 쌍룡면(雙龍面)
- 관할 리 : 다족(多足), 기(基), 봉오(鳳梧), 산경(山慶), 신경(新慶), 운포(雲浦), 유명(柳明), 임성(林城), 창포(菖蒲)
- 적송면(赤松面)
- 증산면(甑山面)
- 관할 리 : 취룡(聚龍), 가풍(歌豊), 광제(廣濟), 낙생(樂生), 두만(斗滿), 무본(務本), 미회(美會), 반룡(蟠龍), 부암(釜巖), 사과(四科), 승영(升楹), 영천(靈泉), 오화(五和), 오흥(吳興), 용덕(龍德), 이안(利安), 자봉(紫鳳), 저명(杵鳴), 정실(鼎實), 정양(正養), 화선(化善)
- 북한 행정구역상 증산군 증산읍이 위치한다. 강서군에 병합된 구 증산군의 중심지였다.
3.3. 구 함종도호부 지역
아래 지역은 1908년에 편입된 구 함종도호부에 해당한다.- 신정면(薪井面)
- 관할 리 : 구련(龜蓮), 대흥(大興), 사(四), 삼(三), 신(新), 연하(烟霞), 이(二), 진사(進士), 탄현(炭峴), 하청(河淸), 화산(花山), 후현(後縣)
- 1929년 풍정면(豊井面)과 신흥면(新興面, 발산리 제외)을 조합하여 신설하였다.
- 함종면(咸從面)
- 관할 리 : 함종(咸從), 계산(鷄山), 계양(桂陽), 고경(古京), 달상(達上), 미석(美石), 발산(鉢山), 범오(範五), 봉황(鳳凰), 석교(石橋), 송경(松坰), 안석(安石), 여오개(汝吾介), 일중(一中), 홍범(洪範)
- 1929년 장안면(長安面)과 신흥면 발산리를 편입하였다. 어씨의 가장 대본인 함종 어씨의 본관인 함종이 바로 이 곳이다.
4. 출신 인물
- 도산 안창호 - 초리면에서 출생
- 고당 조만식 - 반석면 출신
- 손정도 - 증산면 출신
-
싸이[5] - 을지문덕 - 적송면 석다산 부근에서 출생했다고 한다.
- 배상명
- 백선엽
- 노신영
- 전철우
- 하용조
- 김성애
- 최능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