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井 | 底 | 之 | 蛙 | |||
우물 정 | 밑 저 | 어조사 지 | 개구리 와 |
1. 개요
우물 안에서만 사는 개구리는 하늘의 넓이나 바다의 깊이를 우물만큼의 넓이와 깊이로만 이해한다는 뜻. 폐쇄적이고, 편협한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 있거나 세상물정 모르는 존재가 상식적이고 폭넓은 문제나 진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일 때 주로 쓰인다.동의어로 온실 속 화초가 있다. 주로 안전한 양지에 살며 어떠한 위협도 경험해보지 못한 자는 위협 투성이인 음지 사정을 모른다는 의미로 쓰인다.
2. 상세
장자에서 나오는 문구 "정와불가이어해(井蛙不可以語海)"에서 기원한 속담이다.
황하의 신 하백(河伯)이 자신이 다스리는 황하가 물이 불어 끝없이 펼쳐진 것을 보고 매우 흡족했다. 그런데 바다를 보고는 경악했다. 자신이 가장 크다고 생각했던 것이 무너진 것이다. 이를 보고 바다를 지키는 신인 약(若)이 하백에게 세 가지 충고를 한다.
* 우물 속에 있는 개구리에게는 바다에 대해 설명할 수가 없다.(井蛙不可以語海, 정와불가이어해) 그 개구리는 우물이라는 공간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拘於虛也, 구어허야)
* 한 여름에만 사는 여름 곤충에게는 얼음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없다.(夏蟲不可以語氷, 하충불가이어빙) 그 곤충은 자신이 사는 여름이라는 시간만 고집하기 때문이다.(篤於時也, 독어시야)
* 편협한 지식인에게는 진정한 도의 세계를 설명해 줄 수 없다.(曲士不可以語道, 곡사불가이어도) 그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가르침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束於敎也, 속어교야)
장자 외편 17
이 우물 안 개구리 이야기는 장자 17편에서 다음과 같이 변주된다.* 우물 속에 있는 개구리에게는 바다에 대해 설명할 수가 없다.(井蛙不可以語海, 정와불가이어해) 그 개구리는 우물이라는 공간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拘於虛也, 구어허야)
* 한 여름에만 사는 여름 곤충에게는 얼음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없다.(夏蟲不可以語氷, 하충불가이어빙) 그 곤충은 자신이 사는 여름이라는 시간만 고집하기 때문이다.(篤於時也, 독어시야)
* 편협한 지식인에게는 진정한 도의 세계를 설명해 줄 수 없다.(曲士不可以語道, 곡사불가이어도) 그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가르침에 묶여 있기 때문이다.(束於敎也, 속어교야)
장자 외편 17
동해의 거북에게 우물 안 개구리가 우물을 자랑하자, 거북은 바다는 물론 이 세상의 크고 넓음을 다 이야기해 준다. 이를 들은 개구리는 크게 놀라서 자신이 얼마나 어리석었는지를 깨달았다.
모든 인간에게는 자신이 경험하고 배운 것에 명백한 한계가 있지만 그러한 경험과 지식에 집착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하라는 의미로 이 고사가 생겨났다. 이 고사는 이런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자신이 속한 시간과 공간에서 벗어나 생각할 줄 알아야 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 전부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타인의 가치관과 경험 등을 이해하는 상대주의적 관점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표본조사의 원인이기도 하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말로 '좌정관천(坐井觀天)'이 있는데, 우물 안에서 하늘을 바라본다는 이야기이다. 중국 문학자 한유의 논문집 '원도'에서 나오는 이야기이고, '우물 안 개구리'라는 속담을 사자성어로 쓸 때 '정중지와(井中之蛙)'와 '정저지와(井底之蛙)'[1]와 함께 '좌정관천'도 쓰인다. 정약용은 열집 남짓 사는 시골에서 퉁소 좀 분다고 이름나도 서울기생방 일급연주자 앞에선 고개도 못드는 수준이며, 잘 모르는 것들이 조잡한 운구로 스스로를 도연명이나 사령운에 빗대고, 어설픈 글로 왕희지나 왕헌지에 빗댄다고 했다.
실제 유래는 개구리가 아닌 맹꽁이일 가능성이 높다. #
3. 사례
- 2010년에 PC가 5년 내에 사라질 거라고 한 팬택. 하지만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는 임베디드 시스템이라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으니 프로그래밍에는 PC를 비롯한 범용 컴퓨터가 필요하며, PanteCh이 오히려 먼저 사라졌다.
- 각종 정보 및 콘텐츠도 잘못 활용하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SNS인 트위터에는 차단 및 뮤트 기능이 있어 보기 싫은 글은 안 보게 하는 기능이 있다. 그래서 보고 싶은 것만 보다 보니 자연스레 생각의 넓이 및 깊이가 좁고 얕게 되는 것. 중립적 생각을 갖고 있으면 모를까, 이것이 곧 극단주의로 퍼지면서 정치적 싸움으로 번지기도 한다. 인지적 종결 욕구와도 유관한 문제이며, 결국은 사람이 문제라고 지적하는 견해도 있다. 독재 국가에서도 활용하는 수단이며, 인터넷 방송 채널에 있는 영구출입금지기능인 블랙리스트를 남용하는 스트리머 역시 우물 안 개구리 신세를 면키 어렵다.
- 한 분야에서만 전문가이고 다른 분야에는 아예 무지한 '전문 바보' 역시 우물 안 개구리의 대표적인 예이다. 성공하려면 한 우물만 파라는 말이 있지만 이 또한 과유불급이다. ' 학제간 연구' 문서도 참고할 만하다.
- 비록 전문가는 아니래도 어느 정도로 알고 있는 것을 얘기하는데 그 대상을 우물 안 개구리로 몰기도 한다.
- 한편으로 우물에서 벗어나고 싶어도 그러지 못할 수도 있다. 이는 학습된 무기력으로 이어진다. 우물 안 개구리의 문제는 우물 안에 있는 게 아니라 개구리인 것이라는 블랙 유머도 있다. 용이나 호랑이였으면 우물에서 벗어났을 테니까.
- 일본에서는 흔히 "井の中の蛙大海を知らず"(우물 안 개구리, 큰 바다를 알지 못하고)라는 식으로 쓰인다. 1970년대에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인 "永六輔の誰かとどこかで"(에이 로쿠스케의 어떤 이와 어디에서)에서 이 말의 뒤에 "されど空の蒼さを知る"(하지만 하늘의 푸르름을 안다) 식의 문구를 덧붙인 것이 유명해져서 이런저런 매체에서 인용되곤 한다. 예시로 에어기어에서는 우물 안 개구리처럼 바다를 말하지 못하는 자라도 하늘의 깊이를 알 수 있다는 뜻의 문구인 "井蛙不可以語於海者 而知空深(정와불가이어어해자 이지공심)"이 사용되었다.
4. 관련 문서
[1]
중국어로는 /jǐngdǐzhīwā/로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