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4 08:11:44

가야/인물



가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d428b>역사 역사 전반
구성국 구성국들( 틀:가야의 구성국)
상징 쌍어
왕사 왕조(왕사) 전반 · 국왕
외교 외교 전반 · 대외관계( 후한 · 백제 · 신라 · 일본)
문화 문화 전반 · 가야금 · 가야어 · 토기 · 가야 고분
경제 덩이쇠
무기 가야 무기
인물 인물
기타 사국시대설 · 가락국기 · 개황력 · 변한의 국가 }}}}}}}}}


1. 개요2. 인물 목록
2.1. ㄱ2.2. ㄴ2.3. ㄷ2.4. ㄹ2.5. ㅁ2.6. ㅂ2.7. ㅅ2.8. ㅇ2.9. ㅈ2.10. ㅊ2.11. ㅋ2.12. ㅌ2.13. ㅍ2.14. ㅎ
3. 테마 분류
3.1. 가야계 신라인3.2. 가야계 도래인 및 후손3.3. 전설 및 신화

1. 개요

가야의 인물들 목록. 가야의 기록이 굉장히 부족하기 때문에, 전해지는 인명은 고구려, 백제, 신라보다 훨씬 적은 편이다.

가이의 인물이 등장하는 사료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일본서기, 신찬성씨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이 있다.

2. 인물 목록

2.1.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가렵직기갑배 귀족 5세기 추정 일본서기
계화 왕비 6세기 삼국유사
국사리 왕족 4세기 일본서기
고전해 귀족 6세기 일본서기
과고 사신 4세기 일본서기
구례사기모 사신 6세기 일본서기
구취유리 귀족 6세기 일본서기
극충 귀족 4세기 삼국유사
기전지 왕족 4세기 일본서기
김상 귀족 5세기 삼국유사

2.2.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노수구리 사신 6세기 일본서기
나기타갑배 장군 5세기 말 일본서기

2.3.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대불손 귀족 6세기 일본서기
도령 귀족 5세기 삼국유사

2.4.

2.5.

이름 분류 시기 사료
마도 왜계 가야인 6세기 일본서기
모정 귀족, 왕후 1세기 삼국유사
모량 귀족 1세기 삼국유사

2.6.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백구지 왕족 4세기 일본서기
박원도 대신 5세기 삼국유사
방원 귀족 5세기 삼국유사
복수 왕후 5세기 삼국유사
분질수이질 귀족 6세기 삼국유사
분파위좌 사신 6세기 일본서기

2.7.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소나갈질지 사신 ?[1] 일본서기
신귀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신보 대신 1세기 삼국유사
신천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숙(淑) 왕후 5세기 말 삼국유사

2.8.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아도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아수지 왕족 4세기 일본서기
아지 왕후 4세기 삼국유사
여도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오도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오천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용녀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우륵 음악가 6세기 삼국사기
유수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유천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월광태자 왕족 6세기 신증동국여지승람
이나사 왜계 가야인 6세기 일본서기
이라마주 왕족 4세기 일본서기
이문 음악가 6세기 삼국사기
이문지 왕족 4세기 일본서기
이타 관료 6세기 일본서기
인덕 왕후 5세기 삼국유사
일라 왕족 6세기 일본서기

2.9.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정견모주 여신 ? 신증동국여지승람
조광 대신 1세기 삼국유사
좌리금 가야계 도래인 미상 신찬성씨록
죽문지 귀족 6세기 일본서기
정신 왕후 4세기 삼국유사
진사 귀족 5세기 삼국유사
집지 사신 6세기 일본서기

2.10.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출충 귀족 5세기 말 삼국유사

2.11.

2.12.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탈지이질금 왕족 6세기 삼국유사
탐하리 자객 2세기 삼국사기

2.13.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피도간 개국공신 1세기 삼국유사

2.14.

이름 분류 시기 확인되는 사료
호구 왕후 3세기 삼국유사
허황옥 왕비 1세기 삼국유사
흘건지 관료 6세기 일본서기

3. 테마 분류

3.1. 가야계 신라인

3.2. 가야계 도래인 및 후손

3.3. 전설 및 신화


[1] 일본서기 기년에는 기원전 1세기로 나오나 설화적 성격이 강해서 진실일 가능성은 낮다. [2] 강수의 아버지. [3] 삼국유사에 인용된 가락국기의 기록 [4] 총 9명으로 아도간(我刀干)·여도간(汝刀干)·피도간(彼刀干)·오도간(五刀干)·유수간(留水干)·유천간(留天干)·신천간(神天干)·오천간(五天干)·신귀간(神鬼干)을 말한다. [5] 가락국기에 기록된 석탈해의 아버지. 함달파라는 이름으로도 나오며, 완하국의 왕이라고 한다. 불교에서 음악의 신으로 등장하는 건달파(乾達婆)와 이름이 유사해서 후대에 불교식 이름으로 각색됐다고 보기도 한다. [6] 금관가야 건국설화에서는 금관가야의 왕위를 노리고 수로왕에게 도전했다가, 패해서 물러나는 인물로 나온다. [7]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인용된 석순응전, 석이정전의 기록. [8] 각각 이진아시왕, 수로왕에 해당된다. [9] 겸지왕의 부인 왕후 숙(淑) 아버지 각간 출중(出忠)이 모티브로 추정된다. [10] 겸지왕의 딸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