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07:24:19

ZODIAC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8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D1515, #C12F2C)"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10px; color: #fff; min-width: 50%"
{{{#!folding [ 앨범 ]
<tablebgcolor=#ffffff,#1f2023>
1st Album
ZODIAC
2024. 2. 29.
}}}}}}
{{{#!folding [ 싱글 및 EP ]
}}} ||
1st Album
『ZODIAC』
파일:ZODIAC.jpg
<colbgcolor=#B01A1A><colcolor=#FFD800> 아티스트 하코스 벨즈
발매일 2024년 2월 29일
장르 인디 팝
레이블 파일:커버(기업) 로고.svg
일러스트 miya*ki

1. 개요2. 트랙 리스트3. 트랙 설명
3.1. R x R x R3.2. La Roja3.3. The Fight Song3.4. HIDE & SEEK 〜なかよくケンカしな!〜3.5. GEKIRIN3.6. 8183.7. RIDE3.8. COLOUR3.9. この世を照らすもの3.10. Ohayo-EST Gozai-MASTER ♡3.11. BITE! カム! BITE!3.12. GIMME MORE3.13. EIEN

[clearfix]

1. 개요

홀로라이브 EN 소속 버츄얼 유튜버 하코스 벨즈가 2024년 2월 29일 공개한 첫 번째 정규 앨범. 기존에 공개된 2곡과 신곡 11곡을 포함한 13곡이 수록되었다.[1] 앨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동양권 십이지를 모티브로 했고, 마지막 한 곡 EIEN을 더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2. 트랙 리스트

<rowcolor=#FFD8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01A1A><rowcolor=#FFD800> 파일:zodiac.png }}}
<rowcolor=#FFD800> 트랙 곡명 작사·작곡·편곡 MV 음원
1 R x R x R 하코스 벨즈작사, 카렌 야마구치작사
ZAQ작사ㆍ작곡ㆍ편곡, eba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La Roja Kris Roche작사ㆍ작곡ㆍ편곡
Cackie Jhen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The Fight Song 카렌 야마구치작사, 유키 코쿠보작곡
은솔 (1008)작곡ㆍ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HIDE & SEEK 〜なかよくケンカしな!〜[2]
(HIDE & SEEK ~ 사이좋게 싸워라! ~)
오구라 아스카작사, 우사미 유지작곡ㆍ편곡
이즈키 마모루작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GEKIRIN Camellia작사ㆍ작곡ㆍ편곡, Kris Roche작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818 Kris Roche작사ㆍ작곡ㆍ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RIDE 카렌 야마구치작사, Zekk작곡ㆍ편곡, TSK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COLOUR[3] 후지무라 코노미작사, 엔도 신고작곡ㆍ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この世を照らすもの (이 세상을 비추는 것) 이즈츠 히미작사, 이시 켄타로작곡ㆍ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Ohayo-EST Gozai-MASTER ♡ Camellia작사ㆍ작곡ㆍ편곡, Kris Roche작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BITE! カム! BITE![4] (BITE! 카무! BITE!) 후지무라 코노미작사, Kris Roche작사
우사미 유지작곡ㆍ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GIMME MORE LUSCHKA작사, Kris Roche작사
TSK작곡ㆍ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EIEN 하루세 루나작사, 후루하시 유우키작곡ㆍ편곡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트랙 설명

3.1. R x R x R

<R x R x R> MV

하코스 벨즈 자신의 정체성이기도 한 쥐를 주제로 한 곡. 제목의 뜻은 가사에 나온 대로 Rogue Rat Runaway[5].이전에 발매한 EP Pandæmonium에서는 자신의 여러 성격을 표현했다면, 이번 곡에서는 EP에는 들어있지 않았던 메시지와 장르를 표현하고 싶었기에 팝 록 장르의 본 곡을 만들었다고 한다. Play Dice!부터 본 곡에 이르기까지, 자신을 상징하는 곡은 대부분 자유를 주제로 했고 본 곡도 그러하지만, "반항적인 고등학생"의 이미지를 좀 더 부각시킨 것이 <R x R x R>이라고.

3.2. La Roja

<La Roja> 음원
[clearfix]

3.3. The Fight Song

<The Fight Song> 음원
[clearfix]

3.4. HIDE & SEEK 〜なかよくケンカしな!〜

<HIDE & SEEK 〜なかよくケンカしな!〜> MV

토끼를 주제로 한 곡으로, 홀로라이브 내에서 같이 설치류를 담당하고 있는 우사다 페코라와의 듀엣곡이다. 평소 페코라와 만날 때마다 서로 장난치고 경쟁하던 것에서 착안했다고 하며, 페코라의 이미지와 목소리, 노래하는 방법에 잘 어울리는 곡을 만들고 싶다는 희망이 반영된 곡이라고 한다.

3.5. GEKIRIN

음원
용을 주제로 한 곡. Gekirin은 일본어로 역린(逆鱗)을 의미한다. 벨즈에 따르면 랩 파트의 가사가 빠른데다 복잡해서 앨범 중 가장 녹음하기 힘들었던 곡 중 하나.[clearfix]

3.6. 818

음원
뱀을 주제로 하고, 우로보로스[6]를 생각하며 만든 곡이라고 한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우로보로스를 제목으로 하기에는 이미 모리 칼리오페가 동명의 곡[7]을 발표한 적 있어, 대신 재탄생을 상징하는 엔젤 넘버[8] 818을 제목으로 지었다고. 곡 곳곳에 반복을 상징하는 장치를 넣었는데, 곡 시작과 끝의 곡조를 맞추었고, 그 부분의 가사를 "모든 시작에는 끝이 있다"와 "모든 끝에는 시작이 있다"로 대칭 형태로 만들었다고 밝혔다. 팬들은 이런 걸 곡에 구겨넣는 IQ가 818이라며 놀렸다[clearfix]

3.7. RIDE

음원
말을 주제로 한 곡. 브루노 마스 The Lazy Song과 2009년 애니메이션 영화 바비와 삼총사의 초반부에 나오는 '바비가 파리에 가기 위해 말을 타고 가며 자연을 즐기는 모습'(...)을 모티프로 했다고 한다. 벨즈에 따르면 일명 '평온하게 말을 타고 들판을 노니는데 마침 딱 적당한 크기의 완벽히 익은 사과가 손에 떨어져 한 입 깨물어 먹고 "캬 인생 최고"라 말하는 느낌'이라고. 가사 중 "Emerald City, I'll find my brick road" 부분은 직접 작사했다고 한다.[clearfix]

3.8. COLOUR

MV
양을 주제로 한 곡으로, 홀로라이브 내 양을 맡고 있는 츠노마키 와타메와의 듀엣 곡이다. 벨즈에 따르면 이 곡은 캔버스가 아닌, 세상을 색상으로 칠하는, 무지개 이미지의 긍정적인 곡을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포터 로빈슨 Shelter MV에서 펜으로 그림을 그려 세상을 채워나가는 장면[9]을 인상깊게 보고, 해당 곡의 내용보다는 정말로 그 주변을 그려나가는 장면 자체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또한 부드러우면서도 힘있는 와타메의 목소리와 잘 어울리는 곡을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3.9. この世を照らすもの

<この世を照らすもの> 음원
원숭이를 주제로 한 곡.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원숭이"의 이미지와는 상당히 다른 느낌을 주는 발라드 곡인데, 이는 원숭이를 인류의 조상이라는 관점에서 본 결과라고 한다. 가사에는 인간이 가진 날 것의 감정, 인간이 마주하게 되는 현실[10], 그리고 최선을 다해 살아가는 사람들[11]에 관한 실존주의적 내용이 담겨 있다. 그래서 제목도 "이 세상을 비추는 것". 벨즈는 마지막 "마음이여, 불타올라라" 부분에서, 고음을 내는 부분도 그렇고 고음을 낸 뒤 음을 끝내는 부분[12]에서 느껴지는 날것의 느낌이 특히 마음에 든다고.[clearfix]

3.10. Ohayo-EST Gozai-MASTER ♡

<Ohayo-EST Gozai-MASTER ♡> 음원
수탉(rooster)을 주제로 한 곡. 앨범이 에너지틱하게 시작해 한번 가라앉았다가 다시 신나는 분위기로 돌아오는 구성인데, <この世を照らすもの>의 분위기를 환기하는 똘기 충만한 곡이 본 곡이다. 하루 아침을 시작하기에 충만한 에너지를 주는 곡을 만들고 싶었다고 하며, 작업 중에는 다른 곡 대비 인상이 약했으나 Kris의 도움으로 많은 변화를 만든 끝에 나온 곡이 본 곡이라고 한다. 레코딩 당시 GEKIRIN 다음 이 곡을 녹음했는데, 마치 현장에 있던 모두가 살짝 미쳐버려(unhinged) 뇌세포가 1개인 것 마냥 있었다고. 앨범 공개 파티에서 이 곡을 듣는 동안 벨즈는 중간중간 웃음을 참지 못하고 터졌으며, 칼리는 이 곡이 최애곡이라는 말을 남겼다.[clearfix]

3.11. BITE! カム! BITE!

<BITE! カム! BITE!> MV

개를 주제로 한, 개 속성의 이누가미 코로네와 듀엣한 일렉트로 스윙 장르의 곡. 제목의 カム는 '물다(噛む)'라는 뜻이 있다. 앨범의 곡 중 가장 먼저[13] 공개된 곡으로, 코로네 왈 멋있고 귀여운 곡이라고. 벨즈에 따르면 곡 자체를 굉장히 뇌리에서 맴돌 수 있게, 처음에는 "좀 끌리네" 하다가도 들으면 들을 수록 무지성으로 반복하게 되도록 만들었다고 한다.

3.12. GIMME MORE

<GIMME MORE> 음원
돼지를 주제로 한, 마지막 십이지에 해당하는 곡. 가사 중 "僕のshowtime" 부분이 <R x R x R>과 겹치는데, 이는 의도한 것이라고 한다.[clearfix]

3.13. EIEN

MV
본 앨범의 아웃트로(에필로그)에 해당하는 곡. 제목은 일본어로 영원(永遠)을 뜻한다. 당초 이 곡은 실물 앨범에만 포함되어 있는 히든 트랙으로 할 생각이었으나, 막상 작업에 들어가니 히든 트랙으로 하기에는 너무 아까워 공개했다고 한다. 십이지는 열 두 동물이지만 어느정도 점성학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숨겨진 13번째 십이지같은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하며, 이때까지의 12곡이 동물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었다면 이 곡은 점성술적인 측면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고 한다. 벨즈는 이 곡의 믹스본을 처음 받았을 때 울었다고 하는데, 스스로에 대한 어떤 약속 같은 곡이라고 하며, 여러 곡 중에서도 특히 좋아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이하게도 이 곡은 가사가 인공어인데, 단어나 발음 등에서 다양한 언어를 레퍼런스로 삼았다고 한다. 곡에 담은 이미지는 시공간을 넘나드는 비행을 하며 우주의 아름다움을 보는 느낌. 곡의 길이가 다른 곡보다 상대적으로 짧은데, 벨즈 왈 "자기도 처음 들었을때 좀 더 길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이내 그런 느낌 자체가 완벽하다고 생각해서 이 길이를 유지하게 되었다"고.


[1] HIDE & SEEK 〜なかよくケンカしな!〜와 BITE! カム! BITE!는 기존에 듀엣곡으로 공개가 되어있었다. [2] 우사다 페코라와의 듀엣 [3] 츠노마키 와타메와의 듀엣 [4] 이누가미 코로네와의 듀엣 [5] 직역하면 "불량 쥐 도주" 정도. [6] 벨즈에 따르면 우로보로스의 여러 성질 중에서도 "재탄생, 재생성, 끝이기도 하면서 시작이기도 한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고 한다. [7] 1st Album <UnAlive> 수록곡 Ouroboros [8] 반복되는 구조를 가진 3~4자리 숫자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것 [9] 해당 MV 1분 9초부터 시작 [10] "이름을 떨치고 사랑받기 위해 자신을 옥죄고 살아가도 괴로울 뿐이라"는 등의 내용이 있다. [11] "태어난 사람은 전부 세상을 비추는 없어서는 안 되는, 미래로 이어지는 빛이라"는 가사가 있다. [12] 음을 지른 뒤 다소 신음처럼 들릴 수 있는, 힘을 푸는 부분. [13] 2023년 11월 20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