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9:09

Incredible Miracle 1/2013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ncredible Miracle/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102a3><tablebgcolor=#1102a3> 파일:DRX 로고(화이트).svg DRX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1102a3;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통합 이전
Incredible Miracle #1 2012 2013
2014
Incredible Miracle #2 2013
2014
통합 이후
Incredible Miracle 2015
Longzhu IM
Longzhu Gaming 2016 2017
KING-ZONE DragonX 2018
2019
DragonX 2020
DRX 2020
2021 2022
2023 2024
}}}}}}}}} ||
Incredible Miracle #1 역대 시즌
2012 시즌 2013 시즌 2014 시즌

1.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Incredible Miracle #1
감독 [[강동훈|강동훈
Hirai
]]
코치 강병률
Spark
로스터
파일:TOP_icon_EDG.png
TOP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호진|전호진
Lilac
]]
파일:JGL_icon_ED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윤성(프로게이머)|정윤성
Ring Troll
]]
파일:MID_icon_ED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용우(프로게이머)|박용우
MidKing
]]
파일:BOT_icon_ED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
Paragon
]]
파일:SPT_icon_ED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민우|권민우
Lasha
]]

12강 조별리그에서 조 3위를 기록해 8강에 진출했다. 허나 8강전 Azubu Blaze와의 경기에서 승승패패패 역스윕을 당하며 탈락했다.

2. 컨디션 헛개수 NLB Winter 2012-2013

다이아리그 8강에서 준프로팀 GSG와 대결했지만, 1차전 0:2, 2차전 1: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GSG가 아마추어지만 사실상 웬만한 프로팀을 상회하는 기량을 가진 팀이였고, 최종 우승까지 이뤄낸걸 보면 대진의 아쉬움을 느낄 수도 있다.

3.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Incredible Miracle #1
감독 [[강동훈|강동훈
Hirai
]]
코치 강병률
Spark
로스터
파일:TOP_icon_EDG.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
Smeb
]]
파일:JGL_icon_EDG.png
JGL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호진|전호진
Lilac
]]
파일:MID_icon_EDG.pn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용우(프로게이머)|박용우
MidKing
]]
파일:BOT_icon_ED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
Paragon
]]
파일:SPT_icon_ED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민우|권민우
Lasha
]]

창단 당시 소문난 재야고수만이 모인 드림팀이라는 평가에 무색하게 뚜껑을 열어보니 점점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이며 하위권에서 영 벗어나지 못하는 대한민국 대표 약체팀이 되어버렸다. 비슷한 취급을 당하는 동일 스폰서의 야구팀는 하위권이여도 일단은 올라가기는 하는데, 이쪽은 그런 것조차도 없이 만년 하위권에서 머무르고 있다. 스프링에는 그룹 광탈.

부진의 원인으로는 선수들 개개인의 기량보다는 감독과 코치진이 지적받는 편이다. LoL 전담 감독이 없는 팀 상황이 선수들에게 안좋은 영향을 끼쳤고, 2팀의 창단이 늦어지면서 자체적으로 스크림을 하는 다른 팀들에 비해 연습량이 딸릴 수밖에 없었다는 것.

4. 이엠텍 NLB Spring 2013

플래티넘 리그 8강에서 n.Die.Guts을 상대로 승리했다. 다이아 리그 8강에서 나진 블랙 소드에서 0:3 스윕을 당하며 탈락했다.

5. HOT6 Champions Summer 2013

Incredible Miracle #1
파일:2013 IM 1 Summer.png
감독 [[강동훈|강동훈
Hirai
]]
코치 강병률
Spark
로스터
파일:TOP_icon_EDG.pn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
Smeb
]]
파일:JGL_icon_EDG.pn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의진(프로게이머)|김의진
Reign Over
]]
파일:MID_icon_EDG.png
MID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용우(프로게이머)|박용우
MidKing
]]
파일:BOT_icon_EDG.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일(프로게이머)|최현일
Paragon
]]
파일:SPT_icon_EDG.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준환
GGyuAng

결국 2013년 6월 17일 2013 서머를 앞두고 1팀과 2팀의 리빌딩을 시행했다. 일단 1팀과 2팀의 정글러를 서로 맞바꾸고 1팀의 서포터였던 라샤는 건강상의 문제로 1팀의 예비 선수로 남게되었고 김준환을 영입했다. 리빌딩 후 인터뷰

리빌딩을 거치고 기세 좋게 서머를 시작했으나 결과만 보자면 "노답 팀이랑 덜 노답 팀을 합쳤다가 다시 둘로 나눴더니 노답 팀이 2개 나오는 마법"을 보여주고 있다. 분명히 예전 팀은 성적 자체는 좋지 않았지만 1팀의 경우는 상위권에 진입할만한 저력은 있는 팀이라는 평가를 꾸준히 받았지만 2013 서머에서는 두 개의 팀이 모두 절망적인 상태. 특히 1팀의 경우 16강에서 장건웅 감독의 팀인 MiG Blitz를 상대로 완벽하게 0:2 셧아웃 당하며 팀 창단 초창기부터 내려온 고정 팬덤까지도 위태로운 상태다. 특히 팀이 망하는 가운데도 1팀에 있던 파라곤과 라일락은 어떻게든 자기 몫을 하고 있는게 더 안타까운 상황. 밸런스를 위해 했다는 리빌딩이 팀을 완전 나락으로 떨어뜨리고 있다.

6. GIGABYTE NLB Summer 2013

결국 NLB 12강을 앞두고 변경된 엔트리가 공개되었다. 일단 파라곤의 탑 전향을 시작으로 미드킹, 스멥 등 기존 멤버들이 예비 멤버로 자리를 옮겼다는 점 등이 눈길을 끌고 있다. 다만 확정 엔트리가 아니라 차후 시즌을 대비하기 위한 테스트용이라는 모양. 신멤버들도 아직 합격이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LG전자로부터의 후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저조한 성적이 어쩔 수 없었던 것이라는 동정론도 나오고 있다. # 강동훈 감독이 개인적인 사비로 팀을 운영해 왔다고 하는데 뭐 강동훈 감독은 자업자득이란 평도 있지만.

결국 LG전자로부터의 후원은 완전히 끊기고, 팀명에도 LG가 빠진 IM팀으로 바뀌고 말았다. 2013 - 2014 윈터 본선부터는 유니폼도 바꾸고 LG 스폰서 마크도 사라졌다.

한 시즌 끝나고 리빌딩, 또 그 멤버들이 성적이 안좋으면 또 리빌딩, 또 리빌딩, 이게 3번째다. IM 팬들이 입모아 지적하는 문제가 바로 이것이다. 강동훈 감독이 스타 2 팀과 LoL 팀 둘다 신경써야 해서 바쁘다고 하면, 전담 코치를 영입하는 것이라도 해야 하는데 그런 것도 없이 계속 멤버 교체만 이루어지고 있어 그게 가장 큰 성적 부진의 이유라고 지적받고 있다.

7. 팀별 둘러보기

파일:LCK 심볼(2012~2017) 화이트.svg LCK 2013 시즌 팀별
파일:external/i1.wp.com/Najin_Black_Sword_logo.png 파일:Samsung_Galaxy_Ozone_Logo.web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J_Entus_Frostlogo_square.png
NBS SSO SKT #2 CJF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 파일:CJ Entus BLAZE.png 파일:external/ognglobal.files.wordpress.com/c2a6c2ac-c2b0c2bbc2a6s.pn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KT.B CJB NWS SSB
파일:Incredible_Miracle_2logo_square.png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Jin_Air_Green_Wings_Falconslogo_square.png 파일:Incredible_Miracle_1logo_square.webp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Jin_Air_Green_Wings_Stealthslogo_square.png
IM #2 JAG.F IM #1 JAG.S
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KT.A SKT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13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따낸 서킷 포인트 점수와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