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7:24:29

2017 MB7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태양계
Solar System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letter-spacing: -0.8px"
항성
행성
<nopad> 지구형 행성
<nopad> 목성형 행성 [A]
항성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소행성체 왜행성 [B]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소행성대 1 세레스 · 2 팔라스 · 4 베스타 외 다수
켄타우로스족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카이퍼대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134340 명왕성 ( 카론 등 5개)
하우메아족 136108 하우메아 ( 히이아카 · 나마카)
큐비원족 136472 마케마케 ( S/2015 (136472) 1)
산란 분포대 136199 에리스 ( 디스노미아)
세드나족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성간 천체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오르트 구름
구조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각주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2017 MB7[1][출처1][출처2]
구분 원거리 소행성체
특이 소행성체(unusual minor planet)
다모클레스족 천체[4]
크기 약 6 km (반사율 0.09 기준)
궤도 장반경 3,549.25715 천문단위(AU) (태양 중심 기준)
776.1021479 천문단위(AU) (태양계의 질량 중심 기준)
근일점 4.447 천문단위(AU)
원일점 7,094.067 천문단위(AU) (태양 중심 기준)
1,547.7593114 천문단위(AU) (태양계의 질량 중심 기준)
근일점 편각 80.46498°
승교점 경도 58.25502°
궤도 경사각 55.71379°
이심률 0.9987471
공전주기 211,449년 (태양 중심 기준)
21,607.5 년 (태양계의 질량 중심 기준)
절대 등급 14.156
파일:2017 MB7 orbit viewer - snapshot small.ver.jpg
2017 MB7의 궤도와 2019년 4월 1일 기준 위치

1. 개요2. 관측 역사

1. 개요

2017 MB7은 2017년 6월 22일 할레아칼라 천문대의 판스타즈 1호(Pan-STARRS 1)에서 처음 관측된 소행성체다. 지름 반사율 0.09 기준으로 약 6km다.

2021년 2월 현재 알려진 소행성체 가운데 가장 큰 태양 중심 기준 궤도를 가지고 있다. 궤도의 특이함 때문에 6344 P-L처럼 한때는 혜성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토성에 상당히 접근하는 궤도를 가지고 있기에 토성에 의해 포획된 오르트 구름 천체거나 본래 궤도에서 토성에 의해 방출된 켄타우로스 천체일 수 있다. 서기 2400년 경 기준으로 원일점이 2,840 AU, 공전 주기가 약 53,600년으로 늘어날 예정이다.[출처2]

2. 관측 역사

해당 천체의 총 관측 기간은 2017년 6월 22일 ~ 2017년 12월 13일이다.

33개의 구간별 관측치가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는 IAU 소행성체 센터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출처1]


[1] 이하의 궤도 성질은 전부 2017년 9월 4일 기준이다. [출처1] 출처 : IAU 소행성체 센터 : 2017 MB7 [출처2] 출처 : NASA HORIZONS Web-Interface : 2017 MB7 [4] Damocloids. 궤도 이심률이 매우 높고 목성에 대한 Tisserand 매개 변수가 2 이하일 경우 다모클레스족으로 분류한다. 여기에 속하는 천체는 일부를 제외하면 특이 소행성체와 특징을 공유하며 대표적인 다모클레스족 천체로는 5335 다모클레스(5335 Damocles), 2008 KV42 등이 있다 [출처2] [출처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