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3:29:45

제15보병여단

15보병여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15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15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군단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한미연합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36사단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55사단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colbgcolor=#009600> 수도 17사단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포병여단
51사단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제169보병여단
I 1사단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포병여단
9사단 제28보병여단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포병여단
25사단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제72보병여단 · 포병여단
II 7사단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포병여단
15사단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제50보병여단 · 포병여단
III 12사단 제17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포병여단
21사단 제31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포병여단
22사단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제56보병여단 · 포병여단
V 3사단 제18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포병여단
5사단 제27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포병여단
6사단 제2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19보병여단 · 포병여단
28사단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포병여단
VII 수도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 제16기계화보병여단 · 제26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8사단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 제60기계화보병여단 ·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11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 제13기계화보병여단 · 제61기계화보병여단 · 포병여단
2사단 제201신속대응여단 · 제203신속대응여단
제2작전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직할사단 31사단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제96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32사단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35사단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제106보병여단
37사단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제112보병여단
39사단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50사단 제120보병여단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501보병여단
53사단 제125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 사단 예하 여단
수방사 52사단 제210보병여단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56사단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제221보병여단
동전사 60사단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포병여단
66사단 제187보병여단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포병여단
72사단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포병여단
73사단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포병여단
75사단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포병여단
■ 상비사단 ■ 기계화/기동사단 공중강습사단 ■ 지역방위사단(구 향토) ■ 동원사단 ■ 한미연합사단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파일:6dv~2`reg_flag.png 파일:3연대.png 파일:5rgt.jpg 파일:7rgt.jpg 파일:8보병여단 마크.jpg
제2보병여단 제3보병여단 제5보병여단 제7보병여단 제8보병여단
파일:제11보병여단(육탄).svg 파일:12rgt.jpg 파일:제1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7보병연대 마크.jpg 파일:진백골마크.jpg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 제17보병여단 제18보병여단
파일:19rgt.jpg 파일:제22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23보병연대 마크.jpg 파일:27rgt.jpg 파일:28연대 마크.png
제19보병여단 제22보병여단 제23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 제28보병여단
파일:29연대 마크.png 파일:제30보병연대 마크.png 파일:31여단 로고.pn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9보병여단 제30보병여단 제31보병여단 제35보병여단 제36보병여단
파일:15사단 번개부대.png 파일:39rgt.jpg
제38보병여단 제3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파일:50보병여단 마크.jpg 파일:51여단.jpg 파일:1652597830073.jp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보병여단 제51보병여단 제52보병여단 제53보병여단 제55보병여단
파일:금강산부대.jpg 파일:제6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천봉여단.png 파일:70여단.jpg 파일:71BDE.png
제56보병여단 제65보병여단 제66보병여단 제70보병여단 제71보병여단
파일:72연대.png 파일:81보병여단 마크.png 파일:82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3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95여단 로고.png
제72보병여단 제81보병여단 제82보병여단 제93보병여단 제95보병여단
파일:31 사자여단.jpg 파일:97여단 로고.png 파일:98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99여단.jpg
제96보병여단 제97보병여단 제98보병여단 제9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파일:100여단.jpg 파일:101보병여단.jpg 파일:102여단.jp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0보병여단 제101보병여단 제102보병여단 제103보병여단 제105보병여단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6보병여단 제107보병여단 제108보병여단 제110보병여단 제111보병여단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낙동강여단.jpg
제112보병여단 제117보병여단 제118보병여단 제119보병여단 제120보병여단
파일:해룡여단 로고.png 파일:화랑여단 로고.png 파일:일격여단 로고.pn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21보병여단 제122보병여단 제123보병여단 제126보병여단 제127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파일:160여단 로고.png 파일:이신의부대.jpg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67여단.jpg 파일:비봉여단.jpg
제160보병여단 제161보병여단 제162보병여단 제167보병여단 제168보병여단
파일:제5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70연대.png 파일:쌍마부대.jpg 파일:172보병여단.jp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69보병여단 제170보병여단 제171보병여단 제172보병여단 제187보병여단
파일:66 땅벌부대 로고.png 파일:66 돌풍부대 로고.png
제188보병여단 제18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03여단.jpg 파일:73 사자여단.jpg
제200보병여단 제201보병여단 제202보병여단 제203보병여단 제205보병여단
파일:광명부대.png 파일:75횃불여단.pn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06보병여단 제207보병여단 제208보병여단 제209보병여단 제210보병여단
파일:212여단 마크.pn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19여단.pn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12보병여단 제213보병여단 제218보병여단 제219보병여단 제220보병여단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21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파일:501logo.png 파일:503여단 로고.png 파일:한밭부대.jpg 파일:507여단 마크.png
제501보병여단 제503보병여단 제505보병여단 제507보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제1보병사단 예하부대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
포병여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사단 직할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본부근무대 수색대대 공병대대 군수지원대대 정보중대
제7전차대대 정보통신대대 군사경찰대대 의무대대 화생방대대
서해지구군운영단 방공중대 보충중대 }}}}}}}}}
JSA 경비대대는 1사단 예속이 아니나 행정지원으로 엮여 있다.

제15보병여단
第15步兵旅團
The 15th Infantry Brigade
파일:제15보병여단 마크.png
天下第一 무적칼부대
창설일 1947년 12월 1일(제15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15보병여단)
상징명칭 무적칼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1보병사단
규모 여단
역할 파주 일대 및 강안 경계
여단장 대령 이재화
위치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1. 개요2. 역사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3.3. 제1대대 으뜸(방미)3.4. 제2대대 필승(장단)3.5. 제3대대 여우고개3.6. 무적칼 포병대대
4. 출신인물
4.1. 여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여단가
6. 사건 사고7.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 제1군단 제1보병사단 예하 제15보병여단. 별칭은 무적칼부대.

2. 역사

1947년 대한민국 국군 창군 이후 마산에서 제15연대가 창설되었다. 구 일본군 육군 조선군제19사단 병영을 해방 후 현 국군의 모체인 조선경비대가 접수하였고 6.25 전쟁 발발 때까지 이 곳에 주둔하였다. 마산 전투 항목의 여담 부분에 보면 이 당시 국군 15연대의 병영 사진이 보인다.[1] 여수·순천 10.19 사건 당시 최남근 연대장이 반란에 가담하려 했던 흑역사도 있었는데, 15연대는 여수·순천 지역으로 이동하여 반란군 토벌에 임하였다.

한국 전쟁 초반엔 제5보병사단 소속이었다가, 임진강과 파주 전투에서 괴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고 1개 대대만 남은채 후퇴중인 1사단 13연대를 재건하기 위해 7월 5일 최영희 연대장과 2개 대대가 13연대에 병합되고 15연대는 해체 수순을 밟았다. 하지만 15연대라는 호칭에 자부심이 있었던 15연대 출신 장병들은 15연대 해체 사유가 하필이면 전멸에 가까울 정도로 극심히 소모된 13연대 때문인 것[2], 또 자신들이 주류임에도 계속 13연대로 불리는 것에 불만이 있었고, # 이에 낙동강 다부동 전투 말기에 연대장의 건의로 육본 일반명령(육53호)에 의거 8월 25일부로 15연대 단대호로 개칭되었다. 반대로 기존 13연대 장병들은 자신의 연대가 사라졌다며 탄식했다.

다만 역대 15연대장 액자란 중 병합 전의 13연대장을 전임 연대장으로 해놓아 초대 13연대의 역사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한편 13연대 단대호는 한동안 공란 상태였다가 11사단 창설 시 예하 연대로 신규 창설되었으나 15연대 장병들이 분가해 만든 게 아니다 보니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

1사단 연대들 중 평양에 최선봉으로 입성한 부대다. 제1보병사단 항목 참조.

지금은 사단 예비연대로 평시엔 임진강, 통일대교 경계를 담당하고 있다. 참고로 김신조 사건 당시 15연대가 공비들을 진압할 때 큰 활약을 해서 15연대가 한때 큰 명성을 얻기도 했다. 물론, 피해도 있었다. 당시 15연대장 이익수 대령이 흉탄에 맞아 전사하였다.[3]
여단본부 위병소를 지나서 연병장으로 올라오다 보면, 거대한 언월도 상징물[4]을 볼 수 있으며, 여단본부 부지가 예전 미군부대 주둔지[5]여서, 상대적으로 편의시설이 좋다. 부대 내에 스쿼시장, 풋살장[6], 체육관, 목욕탕[7] 등이 있다. 연병장의 형태도 잘 보면 일반적인 직사각형 연병장이 아니라 야구장 모양의 연병장이다. 2005년경 축구하기 좋도록 직사각형에 좀 더 가깝게 하면서 넓혔다. 부대 정문에 M47 패튼전차가 세워져 있다.[8]

과거 사단 내 제2신병교육대대가 15연대에 속해있었다.[9]

원래 명칭은 제15보병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돼 15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제15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3. 예하부대

3.1. 여단 직할대

3.2. 군수지원대대 (舊 수송대)

2020년 12월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연대에서 여단급으로 격상되면서 수송대 해체 후 군수지원대대로 재편되었다.

3.3. 제1대대 으뜸(방미)

2021년 K808 차륜형장갑차가 배치되어 차량화(기계화)보병대대급으로 전력이 확충되고 있다.

대대의 샤워시설이 평균보다는 그나마 잘 구축되어있다. 15여단 본부에서 대기하다가 자대를 배치받고 나면 우려보다는 다소 깔끔한 환경에 놀라는 병사도 꽤 있는 편이다.

또한 체단실 역시 기구의 종류가 심하게 부족하진 않은 편이다. 다만 수량이 적고 사이클이 겹치는 사람이 있다면 해당 전우와 잘 협의를 해서 사이클을 굴리는 것이 추천된다.

막사 내 생활 여건도 그럭저럭 쾌적하기에 고된 훈련 및 고된 작업 이후 휴식을 취할 때 시설로 인한 불편함은 크게 없는 편이다.

면회장소 역시 실외와 실내로 나뉜다. 겨울에는 실외 면외장은 운영하지 않는다.
면회자 전용 주차 공간이 생각보다 많지가 않다. 또한 면회자 전용 주차장의 진입 경사에서 범퍼를 긁었다라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들려오니 면회를 가게된다면 주의하자.
또한 부대 근처에 음식점이 전멸수준으로 없다. 때문에 음식을 준비한다면 문산역 주변에서 준비해가는걸 추천한다.

막사에서 3분거리에 교회가 위치하고 있다. 천주교 및 기독교 행사를 간간히 진행한다. 종교행사 외에도 여러 행사들을 교회에서 진행하기도 한다.
코로나로 인해 휴가를 통제할 때 출타자 교육 장소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대대 자체가 언덕 위에 있어 언덕 아래에 있는 위병소 근무자들은 근무 때마다 헥헥대며 올라가게 된다.(약 뜀걸음 코스도 헬 난이도)

지리적으로 신교대에서 무척 가까운데 신교대 화생방 훈련장이 대대 뒤쪽에 있는 대대 사격장에서 보일 정도이다.
때문에 신교대 뒤쪽에 있는 사단의무대에 가게 될 경우 간부가 약식보고 후 개인 차량으로 데려다 주는 경우도 있다.

3.4. 제2대대 필승(장단)

장단대대 본부는 장단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 1개 대대씩 FEBA 강안경계를 교대하였지만,[10] 2016년 2월 이후 2대대가 장단대대에 고정적으로 주둔하게 되었다.

4개 중대가 임진강 유역을 경계하는 임무를 맡고 있으며 그 중 한 중대는 통일대교 검문 업무를 겸하고 있다. 아무래도 다른 GOP부대와 비슷한 임무형태를 띄고 있기에 휴가가 많이 주어지고 훈련보다는 경계작전 임무에 집중하게된다. 대대본부와 특정 중대는 민간인통제지역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출, 외박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현재는 과학화감시장비의 도입으로 몸으로 때우는 힘든 경계임무를 많이 하지는 않지만 초병이 아예없는 것은 아니기에 초병 근무를 설때도 있고 상황병, 영상감시병 업무를 볼때도 있고 중대마다 업무 사이클이 좀 다르다. 장단대대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생각보다 많이 긴 담당 구간[11]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무래도 강안으로 침투하는 적을 경계하는 임무이기에 강을 따라 담당 구역이 길게 설정 되어있는데 어차피 카메라로 보니까 길던 말던 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TV나 매체에서 보면 가끔 철책을 만지면서 담당 구역을 일일히 걷는 영상을 본 적있을 것이다. 경계시설물점검으로 불리는데 경계에 사용되는 장비(철책, 초소, 초소내 장비, 경계등 등) 전반을 매일 2번씩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는데 이게 총들고 총기별로 탄약 다 챙겨서 가는(간혹 방탄조끼마저...)[12] 고된 작업인지라 담당 구역이 길어지면 그 체감이 꽤 크다. 거기에 눈이라도 내리면 그 날은 모든 걸 포기하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모든 구역을 차량이 다닐 수 있게 제설해야하기때문에...

실제로 작전을 진행하는 부대이기에 군에서 실시하는 거대 훈련에는 참여하지 않지만 그에 비해 평소 생활이 좀 버거운 편이다. 갑자기 야생동물이 기분이 나빠져 과학화감시장비가 설치된 철책에 뭔 짓이라도 하면 운 나쁘면 자다가 일어나서 차단작전 펼치러 총과 탄을 들고 나가야한다. 복구 될 때 까지 못 들어오는 건 덤. 토요일 오전에도 일과를 진행하고 아무리 작전부대라도 처리해야 할 부대 일과는 존재하기 때문에 근무 인원이 아니면 잡스런 일도 다 한다. 토요일 오전 일과에 오후 근무는 진짜 개빡친다.

통일대교 검문 임무를 맡는 중대의 경우 높으신 분들을 만날 기회도 많고 그만큼 긴장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간혹 자유로에서 미친듯이 달려오는 차량이 있으면 차단을 위한 바리케이드 설치도 하고 술 취한 민간인이 난동도 피우는 것도 해결해야 하고 가장 큰 문제는 바깥에서 계속 서있는 임무기에 날씨가 좋지않기라도 하면 고생하는 임무다. 특히 통일대교 담당 중대의 막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낙후된 막사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시설이 좋지않다.(2023년 기준) 2024년 현재는 신막사로 이전하여 대대에서 가장 좋은 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다.

경계부대답게 여러 소초로 나뉘어서 임무를 진행하는데 지휘관, 소초장의 성향에 따라 정말 편한 생활을 할 수도 있고 진짜 모든 생활에서 눈치보며 살아가야할 수도 있다. 중대급 소초를 갔는데 중대장이 성격이 안좋으면 진짜 힘들 확률이 높고, 소대급 소초로 가면 소대장이 왕이기에 소대장 심기를 거스르지 않으면 정말 자유로운 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정 소초를 담당하는 소대나 중대도 상급부대의 작전형태에 의해 변할 수 있다.그러나 소초도 규모가 작을 수록 시설이 안 좋기 때문에 대대 지휘소를 원하는 사람도 있다. 취향 따라 갈리는 듯.

3.5. 제3대대 여우고개

여우고개대대 생활관은 2006년에 완공된 침대형(1층 침대) 막사로 PX까지 생활관 건물에 있다. 다만 병사식당이 주둔지 동쪽에 있어 통합막사 서편에 있는 중대는 식사 이동 시 대대 사열대 뒷편에 있는 길로 이동해야하기 때문에[13] 이동거리가 긴 게 단점. 대신 위병소가 주둔지 북서편에 있어 출타 시 막사 동편에 있는 중대보다 조금이라도 빨리 위병소를 나갈 수 있다는 게 그나마 위안. 그래도 문산읍내까지 이동수단이 콜택시나 간혹 자차가 있는 간부들이 태워주는 거 말고 없다.[14] 그리고 통합막사 입주 초기에는 아침점호를 중대별로 하였으나 공간 협소로 나중에는 연병장에서 대대 통합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2007년에는 병사식당에 식기세척기가 도입되어[15] 식판을 정말 대충 닦고 나와도 중대별 식기세척 당번이 식기세척기로 한번 더 씻는다.

그리고 예전에 1대대가 쓰던 작계지를 쓴다면 축하한다. 예하 중대 중 하나는 여우고개대대 막사와 작계지가 가까워 진지공사때 작계지에 천막을 치지 않고 막사에서 아침식사 후 작계지로 이동하여 작업 후 해지기 전에 복귀한다.

종교행사는 개신교 불교의 경우 주둔지에 작지만 교회와 법당이 있어서 거기로 가지만 천주교는 629대대 찰리포대에 있는 천주교 공소로 이동한다. 물론 걸어서 5분거리에 있다.

3.6. 무적칼 포병대대

2023년 12월 1일부 전투지원중대가 해체되고 포병대대가 창설되었다.
여단본부 4층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전 여단본부4층에 자리 주둔하던 공병2중대가 다시 공병대대주둔지로 돌아갔다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역대 제15보병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0 예) 대령 육사 00기 연대장
00대 김익렬 예) 중장 군영 1기 제9대 국방대학교 총장, 前 제1군단
00대 이익수 준장[16] 예현 2기 연대장 [17]
00대 송요찬 예) 대장 군영 1기 국방부장관 외교부장관
00대 최영희 예) 대장 군영 1기 국방부장관, 육군참모총장 제8, 9, 10대 국회의원
00대 이희성 예) 대장 육사 8기 교통부장관, 중앙정보부장
00대 이기백 예) 대장 육사 11기 국방부장관, 합동참모의장
30대 이동남 예) 대령 육사 11기 연대장 [18]
00대 최평욱 예) 중장 육사 16기 국군기무사령관, 제7기동군단 철도청장, 산림청장
00대 임복진 예) 소장 육사 17기 제25보병사단장, 제2군사령부 부사령관 제14, 15대 국회의원
00대 오영우 예) 대장 육사 20기 제1야전군사령관
51대 이준용 예) 준장 육사 37기 제73보병사단 [19]
00대 김정수 예) 중장 육사 43기 육군사관학교장
00대 김홍석 예) 소장 육사 46기 국방대학교 총장
00대 손종수 대령 육사 00기 제3보병사단 부사단장
00대 김진성 소장 육사 51기 제6보병사단
00대 최원석 준장 육사 52기 지상군 페스티벌 기획단장
00대 김용일 대령 육사 53기 여단장
00대 김상근 대령 학군 36기[20] 제1보병사단 참모장
00대 이재화 대령 여단장

동 사단 예하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장이 줄줄이 장군이 나오는 요직인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나간 사람이 적다.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여단가

겨레의 소원인 통일을 위해
육군의 선봉에선 무적의 용사
뭉치고 싸워서 이겼으니
평양에 선봉으로 입성하였다
아~~ 그 이름 칼부대 용사
영원히 빛내리 15여단

'-15여단가-[22]

6. 사건 사고

7. 여담



[1] 이 자리는 6.25 전쟁 후 국군의무사령부가 창설되기도 했고 1950년대에는 미군이 쓰기도 했다. 이후 1990년대까지 국군마산통합병원이 있어서 흔히 '마통'으로 불렸다. [2] 13연대가 군기를 분실한 기록은 찾을 수 없어 삭제함. [3] 사후 준장으로 1계급 추서가 되었다. [4] 2005년경 강풍으로 인해 칼날 중간쯤 부분이 부러져서 붙였다. 전역자는 전역하는 날 이 거대한 칼을 들 수 있다고 하며 칼을 들지 못한 전역자는 전문하사가 된다는 전설이 있다. [5] 이전에 미2사단 수색대대의 역할을 담당하는 7기병연대 4대대(이하 4/7기병대대) B중대 (B Troop, 4/7 Cavaly)(기갑수색-전차 및 장갑차, 헬리콥터로 구성)가 주둔하고 있었다. 그 당시 기지 명은 Camp Rice였다가 Camp Garry Owen으로 변경되었고, 후에 4/7 기병대대는 선유리의 사단 전차대대 근처의 Camp Palham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해당 부지가 무적칼연대 연대본부 주둔지가 되었다. 이전 당시 무적칼연대 연대본부 주둔지자리에는 육탄연대 본부가 들어오게 된다. 선유리에 있는 Camp Palham은 4/7기병대대가 이전해 온 후에 Camp Garry Owen으로 다시 명칭 변경되고, 4/7기병대대가 미2사단 2기보여단 소속으로 활동중, 2003년 이라크전 발발과 함께 2여단이 이라크로 파병나가면서 소속이 2여단에서 1중기갑여단으로 다시 변경되고, 1여단 완전 해체시까지 Camp Garry Owen으로 유지되었다. 지금은 해당부대는 완전히 해체된 상태. [6]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외 수영장자리였다 한여름에는 중대별로 수영 및 물놀이 후 오침 시간도 주어짐. [7] 2000년대 중반 100일 휴가(신병위로휴가)자들이 휴가신고 후 여기서 연대장(현 여단장)과 함께 맥주 한잔하고 같이 목욕하기도 하였다. [8] 2000년대 초반까지는 A/B/C동 막사가 있어서 A동에는 본부중대, 의무중대, 통신중대, B동에는 수색중대, 전투지원중대가 있었다. C동은 C동창고라는 이름으로 1층만 각종 공구들과 기자재의 창고로 활용되었으나, 2000년대 초반 C동을 전반적으로 개수하여 사단 BOQ로 용도 변경하였다. 2000년대 중반 A동 1층은 100일 휴가대기(출발 전 연대장에게 휴가신고를 하고 연대 수송부에서 문산역까지 차량지원을 해줬다.) 등으로 사용하다가 수송대 독립 후 수송대, 2층은 본부중대, 3층은 통신중대가 사용하였고, B동 1층은 의무중대, 2~3층은 지원중대가 사용하였다. A,B동 막사는 한 내무실당 6~7명 정도가 생활하였고, 내무실마다 화장실이 있었으나 사용은 하지 않았다. A동과 B동이 통합하여 신막사로 다시 지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C동은 BOQ 전환공사 전까지는 1층의 창고 외에는 비둘기들이 살던 비둘기집이었다. 각 방마다 비둘기 똥이 한가득. 2015년 이후 사용 중인 신막사는 1층에 통신중대와 의무중대, 2층에 지원중대, 3층을 본부중대와 수송대가 사용하고 있다. 4층에는 뜬금없이 사단직할 00대대의 0중대가 들어와있는데 주둔사유는 군사비밀이다. 2층에 만들어진 구름다리를 통해 B동(참모동이라 부르는 간부도 있다.)으로 갈 수 있는데 가끔 악천후로 인해 폐쇄되는 경우 1층으로 돌아가는 게 여간 귀찮은 게 아니다. [9] 2012년 폐지 [10] 1년간 강안경계 작전 후 2년간 FEBA 생활을 교대하였다. 당시에는 대대 전 병력이 강안경계에 투입되는 것이 아니어서 1개 보병 중대씩 교대하면서 남았다. 즉 장단중대(임진강 이북)->주둔지->반구정중대(임진강 이남, 내포리소초, 사목리소초, 반구정소초로 배치됨)방식으로 교대하였다. 화기중대와 본부중대는 경계근무에 직접 투입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 1년간 쭉 있다고 보면 된다. [11] 중대당 10km 정도, 일반 GOP의 중대는 3km 정도를 담당한다. [12] 총, 헬멧, 방탄복, 공격배낭, 탄, 각종 보호대를 차고 나면 거의 20kg에 육박한다. 만약 여기에 총까지 K15라면? 상상에 맡기겠다... [13] 웬만해서는 중앙계단을 이용하지 못하게 한다. [14] 실제로 여우고개대대는 인근에 1번 국도 37번 국도가 지나가고 있어 걸어가기에는 좀 위험하다. [15] 음식점에서 볼 수 있는 식기세척기 [16] 추서계급. 전사당시 대령 [17] 김신조 사건 당시 연대장. 무장공비와 교전 도중 적이 쏜 흉탄에 전사. 사후 준장계급 및 태극무공훈장 추서 [18] # [19] # [20] 목포대학교 [21] 대표작: 연플리 [22] 여단으로 개편되면서 연대를 여단으로 개사 [23] 대대급 부대가 주둔했었다. [24] 다른 대대에서 차타고 나오는 시간만큼 걸어가면 바로 문산읍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65
, 4.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6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