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7455, #c3d89d 23%, #c3d89d 77%, #697455)" {{{#!wiki style="margin: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d89d><tablebgcolor=#c3d89d> |
허균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c3d89d><colcolor=#000> 소속 | <colbgcolor=#fff,#1f2023> 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 |
가족 |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
||
관련 인물 |
스승 (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 이달 · 홍길동) 주군 ( 선조 · 광해군) |
||
관련 장소 |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
||
관련 사건 |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 ||
작품 |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 ||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
노비 · 특징 · 생애 · 창작물 | ||
평가 | 평가 · 사상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 ||
[clearfix]
1. 개요
교산 허균의 노비를 다루는 문서이다.2. 노비
<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허균에게 총 8명의 노비가 있었는데 허균이 원래 데리고 있던 노비 4명과 1615년 광해군에게 하사받은 외거 노비 4명이며 허균의 노비들 중 4명은 1623년 시점 "나이가 어리다." #<양천허씨노비분재기(陽川許氏奴婢分財記)>에 의하면 양천 허씨 문중은 1681년부터 1784년까지 103년간 내려오면서 양천허씨 문중 3남 5녀에게 노비(奴婢)를 출생서열대로 나누어 주었다고 하니 허엽의 가문도 자식들에게 노비를 출생서열대로 나누어 주었고 허균의 노비들도 형제 자매들과 함께 허엽의 노비들을 분급받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1681년 이전 양천허씨의 노비분재기가 없으므로 확실하진 않다. #
허균의 노비 중 이름이 확인되는 노비는 "돌이"이다. #
2.1. 허균의 노비
1608년 음력 5월 19일 시점 허균을 따르는 충직한 남성 노비가 한명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허균의 <성소부부고>에 의하면 허균이 명나라 후베이성 황강시에서 사신 일을 하고 있을 때 한성부 집에서 남성 노비가 와서 "관과(館課)에 세 번 일등하여 품계가 올랐다"고 말했다 한다.1608년 음력 12월 허균이 숙정 민인길에게 남성 노비를 보내서 망언(妄言)한다는 누명을 풀어달라고 부탁했다. #
허균에게 남성 노비 '돌이'가 있었는데 1619년 음력 1월 5일 사복시 개천가에서 잡혀서 전옥서에 넘겨졌다. #
허균에게 품계가 올랐다고 말한 노비와 이후 민인길에게 보내진 노비가 동일인물인지 위 개천가에서 잡힌 '돌이'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위에 언급된 '돌이'가 실록에 언급될 정도로 허균과 매우 밀접한 관계였거나 1618년 허균의 옥사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1]
허균에게 이름 불명의 여성 노비가 있었는데, 1617년 경운궁을 숙위한 금위군 소속 겸사복 김윤황이 여성 노비의 남편이라고 한다. 김윤황은 이후 허균의 역모 사건에 연루되어서 거열형 당한다.
1623년 음력 2월 29일 시점 허균의 이복 형 허성의 셋째 딸의 남편 박홍도(朴弘道)[2]가 허균의 노비 중 어린 노비 4명의 행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옥서는 금부의 아문은 아니지만 역적의 옥사에 관계되어 수금한 죄수일 경우 또한 중대한 것입니다. 지난번에 신이 전옥서를 적간할 때 역적 허균의 노비 8명 중에 나이가 어린 노비 4명이 모두 간 곳이 없기에 신이 이상하게 여겨 물어보았더니 그들이 옥에서 나가 세력가의 근처에 의탁해 있으면서 사환 노릇을 하여 마치 자기들의 노비처럼 부리고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것은 본서의 제조도 모르는 것으로서 매우 놀라운 일입니다. 보통 죄인도 저들이 멋대로 방면시킬 수 없는 것인데, 더구나 허균의 옥사는 아직 끝나지도 않은 것이니 만일 국문할 일이 있을 경우 어느 누구에게 물어볼 수 있겠습니까. 옥관이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죄도 역시 큽니다. 따라서 옥관을 우선 추문하게 하고 허균의 노비 4명을 사환으로 부리고 있는 와주(窩主)도 일일이 조사하여 법에 따라 치죄하게 하소서. 신이 해방의 승지로 있으면서 전옥서의 제조를 겸임하고 있기 때문에 감히 아룁니다.
《조선왕조실록》 광해군 일기 #
《조선왕조실록》 광해군 일기 #
2.2. 광해군의 외거 노비
1614년 허균은 천추사로 중국에 가서 구입해 온 명나라 문인 오원췌(伍員萃)의 저작 <임거만록(林居漫錄)>에서 "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고 예전대로 이성계(李成桂)의 계보가 과거 그대로 수록되어 있는가 하면, 뜻밖에도 광해군이 그의 형 임해군(臨海君)의 자리를 빼앗아 왕위에 올랐다"는 내용이 있다는 것을 알고 광해군에게 보고한 후 관련 책자를 조정에 가지고 오라는 명을 받았으며, 1615년 보고한 상으로 광해군에게 전 20결과 외거 노비 4명을 하사받은 적이 있다. # #1619년 음력 5월 3일 허균의 옥사 당시 체포된 허균의 기존 노비들과 함께 광해군의 명에 따라 허균을 심문한 공신들에게 주어졌다. #
[1]
허균의 다른 7명의 노비들도 모두 허균 옥사 이후 전옥서에 넘겨졌는데 위 '돌이' 혼자만 이름이 언급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2]
1618년 허균의 옥사 당시 허균과 친하지 않았다고 말해서 옥사에 연루되지 않았지만 이후
인조반정 때
이이첨의 밑에서 일했다는 혐의로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