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00:14:48

향아치/의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향아치
1. 개요2. 과거 육신
2.1. 짧소대감 물도포
3. 최종육신
3.1. 관복, 대례복(大禮服)3.2. 상복(喪服)3.3. 소례복(小禮服)3.4. 서양식 대례복(大禮服)3.5. 제복(祭服)3.6. 학창의(鶴氅衣)3.7. 조복(朝服)3.8. 기타 의상
4. 초정밀육신
4.1. 기존 관복4.2. 조끼4.3. 물도포4.4. 800만원 관복

1. 개요

2. 과거 육신

현록색}}}[1] 대례복을 입었으나, 고증(논문)을 거쳐 평면 육신부터
아청색
대례복으로 교체되었다. 정확하게는 단령의 색이므로 흑색으로 표기한다.

2.1. 짧소대감 물도포

파일:옹심이 나들이복 3면도.png
물도포[6]

3. 최종육신

3.1. 관복, 대례복(大禮服)


파일:향아치 궁극육신 세부자료.png
아청색}}}의 대례복에서
북청색
[10][* 컬러파레트를 기준으로 값을 뽑자면
#2D3E4E
인 듯하다.]으로 변하였으며, 품대 또한 퀄리티가 높아졌다. 여러 조각들이 무늬가 아닌 양각으로 새겨져 있으며, 앞에는 북두칠성, 뒤에는 남두육성을 새겼다고 한다.

3.2. 상복(喪服)[13]


파일:향아치 상복 3면도.png

3.3. 소례복(小禮服)

파일:향아치_소례복.png
소례복

3.4. 서양식 대례복(大禮服)[15]


파일:향아치_설정표_-_문관대례복_워터.jpg
파일:향아치_설정표_-_문관대례복_워터.png

3.5. 제복(祭服)


파일:향아치 제복 삼면도 (화질 개선).png

3.6. 학창의(鶴氅衣)


파일:향아치 학창의 삼면도 (v2).png

3.7. 조복(朝服)

파일:향아치 조복.png
조복(朝服)

3.8. 기타 의상

해적
스님

4. 초정밀육신

4.1. 기존 관복

파일:향아치 리얼육신 경복궁.png 파일:향아치 경희궁 야방룩.png
기존 관복

4.2. 조끼

파일:향아치 리얼육신 조끼.png
조끼

4.3. 물도포

파일:향아치 물도포.png
물도포

4.4. 800만원 관복

800만원 관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58
, 3.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58 ( 이전 역사)
문서의 r1761 ( 이전 역사)


[1] 이해를 위해 방송에서 수박 껍질 색이라고 비유하였다. [2] 문관이자 당상관이기에 쌍학흉배를 사용한다. 무관은 호랑이 흉배, 왕실은 봉황이나 기린 흉배 등 [3] 품대가 당시 유행에 따라 색이 변하였다고 한다. [4] 사실 1900년에 문관복장규칙이 만들어지면서(디자인 도식은 1901년 공개) 관복이 고유의 단령형에서 양장형으로 바뀌었으나, 고증적으로도 양장형과 단령형은 교차해가며 혼용하였기에 두 옷을 바꿔 입어도 고증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5] 전통 구름무늬 [6] 출처 [7] 짧소와 최종 육신의 제작자들이 같은 사람들인 만큼 후에 공개될 궁극 육신의 머리를 미리 적용시켰다고 한다. [8] 파일:향아치 물도포.png [9] 파일:향아치 리얼 보터햇.png [10] 대감이 자문단에게 북청색이 무슨 색이냐고 묻자 '밤하늘 색'이라고만 일관하였다. 과거 조상님들이 자연에서 색을 따온 만큼 어떠한 색을 콕 집긴 힘들며, 밤하늘에 표현된 모든 빛과 그림자의 색을 북청색으로 표현한 듯하다. 즉 밤하늘에 표현된 그라데이션의 모든 색이 북청색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하다. [11] 대감이 이전에 사용하던 무늬가 새겨진 사모뿔은 조선 초기에 사용하였으며, 이후에는 모아레 무늬로 사모뿔을 만들었다고 한다. [12] 실과 실이 직각 교차되며, 조금이라도 각도가 틀어지면 일렁이는 현상을 조상님들이 '무늬로' 만들었다. 이를 3D로 재현해 낸 석공 曰 "보통 이 현상을 없애려고 노력하는 거 아십니까?"라고 할 정도로 보통 무늬로 쓰지 않는 현상인데, 영정으로 남아있어 재현하려면 어쩔 수 없었다. [13] 출처 [14] 2023년 12월 4일 방송 [15] 출처 [착용모습] 파일:문관대례복 착용모습.png [17] 대례복은 폐하의 생신이나 대한제국의 행사날 같이 폐하가 직접 참여하는 국가 행사 때 입는 옷이다. [18] 뒷면의 8마리 학 자수 부분 [19] 후수 밑부분의 푸른천 부분. 매듭으로 만든 무늬공예 [20] 옆구리의 길게 늘어진 푸른 천 부분. 여러 개의 옥을 연결한 장식품으로, 걸을 때마다 옥이 부딫쳐 소리가 나게 하며 비단으로 가려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