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7:18:23

퀵실버(마블 코믹스)

피에르토 막시모프에서 넘어옴
마블 코믹스의 등장인물
퀵실버
Quicksilver
파일:퀵실버.jpg
캐릭터 창조 정보
출판사 마블 코믹스
최초 등장 The X-Men #4
1964년 1월
([age(1964-01-01)]주년) [dday(1964-01-01)]일
창조자 스탠 리, 잭 커비
캐릭터 설정 정보
본명 피에트로 장고 막시모프
Pietro Django Maximoff
다른 이름 퀵실버(Quicksilver)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상세 정보 ]
인간 관계
소속 어벤져스 유니티 디비전
로마니
엑스맨
[탈퇴]
어벤져스
언더그라운드
엑스펙터
어벤져스 아카데미
마이티 어벤져스
G.R.A.M.
파라노말 액티비티
인휴먼즈 로얄 패밀리
운다고어 나이츠
브라더후드 오브 이블 뮤턴츠
제노샤 캐비닛
어벤져스 웨스트 코스트
퀸스 벤전스(지구-398)
가족 관계 나탈리야 막시모프 (친어머니)
장고 막시모프 (양아버지 / 외삼촌)
마리야 막시모프 (양어머니 / 외숙모)
완다 막시모프 (쌍둥이 누나)
마테오 막시모프 (사촌형)
아나 막시모프 (사촌누나)
크리스탈 아마퀠린 (전처)
루나 막시모프 (딸)
비전 (전 매제)
토미 셰퍼드 (조카)
빌리 캐플런 (조카)
[ 설정 이전 가족 ]
밥 프랭크[1] (양아버지)
매들린 조이스[2] (양어머니)
막스 아이젠하르트[3] (양아버지)
마그다 아이젠하르트 (양어머니)
아냐 아이젠하르트 (누나)
로나 데인 (이복여동생)
결혼 여부 미혼
생사 관련
현실 지구-616
출신지 트란시아 분다고레 산
개인 정보
신분 공개
종족 인간 (강화 인간)
국적 트란시아, 미국
직업 모험가
[전직]
테러리스트, 인휴먼즈 민병대 장교, 미국 정부 요원
근거지
[이전 근거지]
뉴욕 뉴욕시 맨해튼, 어벤져스 맨션
네바다, 더 마운트
버지니아, 서보 인더스트리
로스앤젤레스, 어벤져스 컴파운트
뉴욕 허드슨 강, 하이 에볼루셔너리에의 성
트랜시아
워싱턴 DC, 엑스펙터 본부
신체 특징
성별 남성
신장 183cm
체중 79kg
파란색
모발 은발 }}}}}}

1. 개요2. 작중 행적3. 능력4. 관련 인물5. 평행세계
5.1. 코믹스5.2. 실사화5.3. 애니메이션5.4. 게임
6. 기타
6.1. 실사 영화 관련
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슈퍼히어로. 스칼렛 위치와 쌍둥이 남매 사이.[4] 첫 등장은 엑스맨 시리즈에서 했지만 이후 어벤져스에 합류하고, 그쪽에서 더 많이 활동한다.

2. 작중 행적

< 하우스 오브 엠> 사건으로 능력을 잃었으나 <선 오브 M>에서 인휴먼스에게서 훔친 테리젠 안개의 힘으로 시간이동 관련 힘을 얻었고, 딸 루나에게 안개를 쐬게 하고 능력을 잃은 뮤턴트들의 힘을 되찾아줄 수 있게 되었으나, 되찾아주는 능력은 대상에게 약간 문제가 있다. 힘의 통제가 안되거나 심한 부작용이 생기는데 우너스 더 언터처블이라는 보호막을 만들던 뮤턴트는 통제가 안 돼서 보호막 안에 갇혀 질식사 하기까지 한다.

이 인간도 자기 누이와 마찬가지로 도덕성에 문제가 있다. 원래 인휴먼스 왕가의 사위였으나 테리젠 안개를 훔쳐서 자신의 능력을 되찾으려고 했다가 대형사고를 저지르는 바람에 이혼당했다. 그런데 시크릿 인베이전에서 스크럴이 등장하자 다시 인휴먼스 왕가의 사위가 되기 위해 그 모든 잘못을 스크럴에게 뒤집어 씌웠다. 어째보면 모두가 스크럴일 것이라고 생각했다가 아닌걸로 판명된 아이언맨보다 더한 경우.

현재는 다시 고속이동 능력을 되찾고 다시 히어로로 돌아가고 싶어한다.

<다크 리전> 당시에는 고대신 크툰에게 몸을 지배당했지만 마이티 어벤저스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이후 마이티 어벤저스에 합류. <시즈>에서는 마이티 어벤저스 동료들과 함께 보이드가 되어버린 센트리를 막기 위해 싸웠다. 이후 행크 핌의 어벤저스 아카데미에 교사가 되었다. 어벤저스 vs 엑스맨 이벤트에서는 아버지인 매그니토가 엑스맨 편인 것을 확인하고 유토피아로 가서 어벤저스들을 돕게 된다. 이후 <올 뉴 엑스팩터>에서 엑스팩터에도 합류.

All-New, All-Different Marvel에서는 캡틴 아메리카가 이끄는 언캐니 어벤저스에 합류한다.
파일:external/3.bp.blogspot.com/Uncanny-Avengers-018-004-1.jpg
언캐니 어벤저스 #17에서는 프로페서x의 뇌를 가진 레드 스컬한테 조종 당하며 그를 시작으로 와스프, 닥터 부두, 휴먼 토치, 로그, 엘렉트라로 이루어졌던 언캐니 어벤져스는 완전히 레드 스컬의 부하가 된다. 케이블도 잡혔었으나 스스로 정신을 파괴하여 부하가 되지 않고, 데드풀만이 벗어나며 웡, 스파이더맨과 함께 레드 스컬에게 맞서게 된다.

노 서렌더에서는 완다와 시냅스의 도움으로 속도의 제한이 풀려 비콘을 잡는데 성공하지만 결국 완다도 감지할수없는 곳으로 사라져버렸다. 모든것이 멈춰있는 곳으로 사라졌는데 완다가 마법으로 가끔가끔 나타나 퀵실버를 도와준다.

3. 능력

능력치
지능 ■■■□□□□
■■□□□□□
속도 ■■■■■■■
체력 ■■□□□□□
에너지 투사 ■■□□□□□
전투 기술 ■■■■□□□
마블 공홈

능력은 초고속이동. 총알을 잡는 건 기본이다. 단순히 육체 능력만 빠른 것이 아니라 두뇌 회전도 빠르다. 또한 이런 초고속이동과 적합하게 일반인보다 신체의 신진대사가 훨씬 효율적으로 이뤄지고 관절과 근육은 더욱 견고하고 탄력있다. 그리고 초고속진동을 통해 물질의 분자 구조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폭파시키거나 투과하는 것이 가능하다.[5]

<선 오브 엠>에서는 인휴먼스의 테리젠 안개로 일시적으로 미래로 시간이동을 할 수 있었다. 다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 현재로 복귀. 미래에서 장소를 이동하면 현재로 돌아올 때 '출발한 장소'가 아니라 '미래에서 있던 장소'로 돌아오는데 이를 이용해 테리젠 안개를 대량으로 훔쳤다.

DC 코믹스의 히어로인 플래시와 대비되는 스피드스터 캐릭터로 주로 거론되는데, 많은 이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은 플래시가 광속의 속도로 달리는 것에 비해 퀵실버는 단순 음속의 속도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다. 하이 에볼루셔너리에 의해 그의 능력이 증폭되었기에 그는 최소 마하 4의 속도로 달릴 수 있으며, 달리기로 토르 번개(= 빛과 비슷한 속도)를 앞지른 적도 있다. 최근에는 설정도 변경되어서 속도의 한계마저도 없어졌다.

4. 관련 인물

쌍둥이 스칼렛 위치를 거의 시스콘 수준으로 아끼고 있다. 얼티밋 세계관에서는 아예 갈 데까지 가버리기도.

이에 반해 아버지 매그니토와의 관계는 다른 의미로 갈 데까지 가버렸다. 원래는 그냥 데면데면한 사이었으나[6] < 하우스 오브 엠> 당시 매그니토는 자신의 이름으로 이 모든 사태를 일으킨 것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7] 분노한 매그니토는 퀵실버를 죽여버린다. 그러나 퀵실버는 당시 신에 범접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던 스칼렛 위치에 의해 되살아나게 되고, 아버지가 자신을 죽였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아 증오심을 품게된다. 그 날 이후 퀵실버는 매그니토를 볼 때마다 그를 죽이려고 든다.[8]
파일:external/static.comicvine.com/2409788-1.png

그런데 2015년 언캐니 어벤저스를 통해서 레트콘이 이뤄졌다. 사실은 매그니토의 자식도 아닐 뿐더러 뮤턴트도 아니라는 것. 영화판권과 관계된 코믹스 설정변경이라서 욕을 무지하게 얻어먹었다. 물론 폭스의 엑스맨 유니버스는 기존 설정을 가져가겠지만, 코믹스에서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처럼 뮤턴트도, 매그니토 자식도 아니다. 변경된 설정에 따르면 하이 에볼루셔너리가 막시모프 남매를 막시모프 가족에게서 몰래 납치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능력을 가지게 했다고 한다. 말은 많긴 하지만, 어쨌거나 코믹스 원작에서 매그니토와의 혈연은 끊어진 상황이다. 그럼에도 매그니토는 여전히 그를 아들로 대한다. 근데 이후 21세기 폭스 인수전으로 설정변경이 괜한 짓이 되었다. 거기다가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남매의 친어머니는 밝혀졌지만 친아버지가 누구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도 떡밥.

인휴먼스 아내 크리스털과 딸 루나가 있지만 아내와는 헤어졌다.

5. 평행세계

5.1. 코믹스

5.2. 실사화

5.3. 애니메이션

5.4. 게임

단점으론 물몸에다가 물주먹이다. 그러나 ISO 세팅을 공격적으로 가져가는 캐릭터인지라 렙이 높아질수록 딜은 상당부분 커버가 된다. 심지어 캐릭터의 공격력보다 PVP 보너스가 중요한 PVP에서는 공격 보너스만 받쳐준다면 캐릭터가 가진 이점으로 시작과 동시에 적들을 너덜너덜하게 만들어 버리거나 아예 지워버리기도 한다.[9]
지속적으로 직·간접적인 상향이 이루어지고 있어 한동안은 사기캐의 왕좌에서 내려올 일은 없을 것 같다.

6. 기타

6.1. 실사 영화 관련

7. 관련 문서



[1] 캡틴 아메리카와 네이머와 함께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휘저라는 마블 영웅이다, 현재는 사망한 상태며 초고속이동 능력을 가졌다. [2] 휘저의 남편이자 미스 아메리카로 알려진 2차 세계대전 마블 영웅. [3] 마블은 원래 매그니토를 부모로 선택하였다, 하지만 폭스가 마블의 뮤턴트 판권을 가져서 설정을 갈아엎었다, 디즈니가 폭스를 인수한 시점에서 과연 mcu에선 매그니토와 막시모프 남매 설정이 어떻게 될지는 불명. [4] 1985년에 나온 원작 '비전과 스칼렛 위치(The Vision And The Scarlet Witch)' #5에서는 스칼렛 위치가 퀵실버에게 'Baby Brother'라고 말하며 퀵실버는 스칼렛 위치에게 '30초 늦게 태어난 걸로 베이비 브라더라고 부르지 말라'고 한다. 하지만 2015년작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는 퀵 실버가 12분 먼저 태어났다는 이야기를 한다. [5] 이는 퀵실버보다 훨씬 느린 그의 조카 영 어벤저스의 '스피드'도 쉽게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스피드는 이 능력으로 사람을 폭파시킨 적도 있다. [6] 정확히는 그의 행동과 사상에 어느 정도 반감을 보이긴 했다. 자기 딸이 태어났을 때에 손녀를 보러온 매그니토에게 초반에는 경계하기도 했을 정도. 이후 어느 정도 누그러지긴 했지만. [7] 쉽게 말하면 퀵실버는 거의 대부분의 영웅들에게 '이 거짓된 세계를 만든 건 매그니토'라는 식으로 여겨지게끔 만들었다. [8] 소년 십자군에서도 아버지를 보자마자 울타리로 쓰고 있던 나무 말뚝 수십 개를 뽑아와 죽일 심산으로 전력을 다해 던졌었고, 어벤저스 VS 엑스맨 당시에도 TV에서 매그니토가 어벤져스와 싸우고 있는 장면이 방송되자 당장 전투현장으로 달려가 아버지에게 수정펀치를 날렸었다. [9] 팀 구성은 기본적으로 플레이어 캐릭터인 S.H.I.E.L.D 요원과 다른 두 명의 영웅을 포함한 3인조로 구성된다. [10] 액스맨 퀵실버는 2014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퀵실버는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