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08:49:34

펠릭스클레르 리델

펠릭스 클레르 리델에서 넘어옴
파일:천주교 서울대교구 엠블럼.svg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초대
브뤼기에르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31~1835)
2대
성 앵베르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36~1839)*
3대
페레올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43~1853)
4대
성 베르뇌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54~1866)*
5대
성 다블뤼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66)*
6대
이복명 리델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69~1884)
7대
백규삼 요한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84~1890)
8대
민덕효 뮈텔 대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890~1933)
9대
원형근 라리보 주교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3~1942)
10대
노기남 바오로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2~1967)
교구장 서리
윤공희 빅토리노 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7~1968)
11대
하느님의 종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1968~1998)
12대
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1998~2012)
13대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2012~2021)
14대
정순택 베드로 대주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
* 한국 103위 순교성인
}}}}}}}}} ||
<colbgcolor=#7B0039><colcolor=#fff> 제6대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이복명 리델
李福明 | Felix Ridel
M.E.P.
파일:이복명주교.png
본명 펠릭스클레르 리델
(Félix-Clair Ridel)
출생 1830년 7월 7일
프랑스 왕국 낭트
선종 1884년 6월 20일 (향년 53세)
일본 제국 나가사키
국적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재임기간 제6대 조선대목구장
1870년 6월 5일 ~ 1884년 6월 20일
주교 임명일 1870년 6월 5일 대목구장 임명 (필리포폴리스 명의 주교)
링크 파일:한국천주교주교회의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창작물에서
3.1. 드라마 닥터 진에서
4.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프랑스 낭트 출생의 가톨릭 주교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6대 교구장을 역임했다. 한국식 이름은 이복명(李福明).

2. 생애

1857년에 사제품을 받고 1859년에 파리 외방전교회에 입회했으며, 1860년 7월 조선 선교사로 파견 임명되어 조선을 향해 출발했다. 1861년 랑드르[1] 신부, 조안노[2] 신부 등과 함께 조선에 입국해 충청도 공주에서 선교 활동을 시작했고,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날 때 살아남아 청나라로 탈출했다. 7월 6일 추푸 항에 도착, 프랑스 함대 사령관인 피에르 로즈 제독이 톈진에 주재하고 있자 한국 가톨릭교회의 실정과 프랑스인 사제들의 순교 소식을 전한다.

살아남은 페롱 신부와 칼레 신부의 보호를 위해 프랑스 해군 함대 출항을 요청했다. 이에 피에르귀스타브 로즈 제독 인도차이나에서 일어난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출격한 주력 함대가 귀환하는 대로 조선을 공격하기로 하고 조선인 신자들과 함께 승선해 길 안내를 하면서, 결국에는 병인양요가 일어난다.

1869년 제6대 조선대목구(지금의 천주교 서울대교구)장으로 임명되어 주교로서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석했으며, 1877년에 조선에 입국했지만 7개월 만에 체포되면서 감옥에 갇혔다. 이때 자신의 수감 생활과 회고록을 담은 《나의 서울 감옥 생활 1878》을 저술했다.

이후 청나라의 주선으로 석방되어 만주로 추방되었다가 일본으로 건너가서 한불자전[3], 한어문전 등을 저술해 1880년 나가사키에서 간행했다가 1884년에 사망했다. 2년 후인 1886년에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었고, 이때부터 한국에서도 가톨릭 신앙의 자유가 허용되었다.


유튜브 채널에서 다룬 리델 신부의 이야기
"아!! 이 아름다운 조선이 얼마나 오래 전부터 카타콤 속에서 살아왔던가!! 또 얼마나 많은 박해를 겪었던가!! 그런데 지금도 여전히 단말마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지 않은가!! 고통과 눈물 속에서 신음하고 있다. 얼마나 많은 파괴가 있었던가!! 이 얼마나 긴 순교자의 행렬인가!! 그런데 이제 나까지 또 어쩔 수 없이 멀리 떠나야만 하는가!! 우리 신자들은 앞으로 어떻게 되나?? 나의 동료 신부님들은 어떻게 될까?? 그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지?? 얼마나 큰 고통과 얼마나 큰 불안감을 그들은 겪었을까!! 하느님, 당신의 거룩하신 뜻이 모두 이루어지소서!! 당신이 원하시는 방법으로 저를 이끄소서!! 저는 온전히 당신의 것[4]이며 영원히 당신의 것이고, 저는 저희의 선하신 스승님을 따라서 더 큰 고통도 참고 받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저는 온전히 순명하여, 저의 모든 생각의 규범과 모든 행동의 규범을 당신의 거룩하신 뜻에 맞추고, 당신의 더욱 큰 영광을 위하여, 당신의 사랑을 위하여, 고난의 잔을 마지막 한 방울까지 마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나는 극진한 대우를 받아서, 나를 호송해 준 이들에 대하여 불평할 것이 조금도 없습니다. 나는 그분들에게 감사할 뿐이고, 또 조선 정부에도 감사를 드립니다. 나에게 베풀어 주신 이 호의로 나는 천만 번 더 조선을 사랑하는 마음이 드니, 이토록 아름다운 나라와 나를 위하여 세심한 배려를 아끼지 않았던 이 나라 백성들의 곁을 떠날 수밖에 없는 회한이 더욱 커질 뿐입니다. 부디 언젠가 조선 정부가 우리에게 입국을 허락하는 날[5]이 오기를 희망하며, 그런 날이 오면 나는 반갑게 다시 달려오겠습니다."
우리는 무사히 을 건너 첫 번째 섬에 닿았다. 그 섬의 한쪽에서는 조선의 대형 선박들이 오르내리고 있었고, 섬의 다른 쪽, 즉 같은 강의 다른 지류 쪽으로는 수없이 많은 중국 배들의 돛이 강 위를 누비고 다니는 것이 보였다. 뭍으로 올라온 나는 다시 한 번 뒤를 돌아 이 아름다운 조선, 나의 사랑하는 선교지를 한참 동안 바라보았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경치인가!! 얼마나 눈부시게 아름다운 전경인가!! 그것은 마치 어쩔 수 없이 작별해야 하는 나에게 보내는 조선의 미소와도 같았다. 나는 마음속으로 조선을 포옹하며, "잘 있어라!! 곧 다시 보자!!"라며 조선을 향하여 나의 가장 다정한 강복을 주었다.
《나의 서울 감옥 생활 1878》中

3. 창작물에서

병인양요와 관련있는 인물이다보니 최근 한국에서 나오는 대역물에는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

한제국 건국사에서는 프랑스어를 구사할 줄 아는 한국군 장교에게 두들겨 쳐맞고[6] 조선군에게 도륙당하는 프랑스군 육전대를 대상으로 필사적으로 항복을 권유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3.1. 드라마 닥터 진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델(닥터 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같이보기



[1] 1863년 9월 16일 병으로 사망. [2] 1863년 4월 13일 폐결핵으로 사망. [3] 최초의 한불사전이다. 참고로 최초의 불한사전은 1901년 샤를 알레베크가 편찬하였다. [4] 라틴어로 Totus tuus ego sum이라 한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목 표어이기도 하다. [5] 1886년 조불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되면서, 프랑스인 사제들과 수도자들의 선교 활동이 허용되었다. 이때부터 한국에서도 박해가 끝나고 가톨릭 신앙생활을 자유로이 할 수 있게 되었다. [6] 다짜고짜 권총으로 입가를 맞아 강냉이가 나간다. 한국사를 배운 한국군 장교들은 리델이 병인양요의 빌미를 준 사실을 알고 있으니 오히려 이정도에서 끝난게 다행일 따름이다. 작중에서 묘사된 캐릭터가 좀 괄괄하고 저돌적이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