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8 23:15:27

팰컨 9 v1.1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팰컨 9/버전 및 발사 기록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315288,#7899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스페이스X의 기체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우주발사체
소형발사체 팰컨 1
대형발사체 팰컨 9
초대형발사체 팰컨 헤비 스타십
우주선
지구궤도 드래곤 1 드래곤 2
달 탐사용 드래곤 XL 스타십 (달 착륙 개조형)
타 행성 스타십 우주선
시험기
팰컨9 개발 그래스호퍼 F9R
스타십 개발 스타십 호퍼 (스타호퍼)
엔진
팰컨 시리즈 엔진 멀린 엔진 드라코 스러스터
스타십 엔진 랩터 엔진
드래곤 엔진 슈퍼 드라코 스러스터 드라코 스러스터
}}}}}}}}}}}}||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델타 IV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 ||


팰컨 9 v1.1
Falcon 9 v1.1
파일:SpaceX_Falcon_9 v1.1.jpg
<colbgcolor=#005288><colcolor=#ffffff> 용도 재사용 가능한 궤도 우주발사체
제작 스페이스X
사용국 미국
cpl-year 2006
가격 $56.5M (2013)
$61.2M (2015)
제원
전장 68.4m (224 ft)
직경 3.7m
중량 505,846 kg (1,115,200 lb)
단수 2
능력
LEO 페이로드 13.150 kg (28,990 lb)
GTO 페이로드 4,850 kg (10,690 lb)
발사 역사
상태 퇴역
발사장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SLC-40
반덴버그 우주군기지 SLC-4E
최초 발사일 2013년 8월 29일
1단 로켓
엔진 9 x 멀린 1D
추력 5,885 kN (1,323,000 lbf)
비추력(SI) 해면: 255sec (2.6 kN/kg)
진공: 304 sec (3.0 kN/kg)
연소 시간 180 초
추진제 LOX/RP-1
2단 로켓
엔진 1 x 멀린 1D 진공
추력 801 kN (180,000 lbf)
비추력(SI) 진공: 342 sec (3.45 kN/kg)
연소 시간 375 초
추진제 LOX/RP-1

1. 개요2. 발사 기록
2.1. 주요 발사
3. 특징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팰컨 9 v1.1은 미국 스페이스X가 제작한 우주발사체이다. 팰컨 9 계열의 로켓으로, 2011~2013년 사이에 개발되어 2013년 9월에 첫 발사를 했으며, 2016년 1월 마지막 발사를 끝으로 팰컨 9 FT(Full Thrust)로 업그레이드되어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1]버전의 로켓이다.

2. 발사 기록

===# 팰컨 9 v1.1의 발사 기록 #===
날짜 발사 장소 부스터 번호 페이로드 발사 성공 여부 부스터 착륙 여부
2013년 9월 29일 16시 00분 반덴버그 공군기지
SLC-4E 발사장
B1003[2] CASSIOPE
저궤도 과학, 통신 위성
성공 실패[3]
2013년 12월 3일 22시 41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SLC-40 발사장
B1004 SES-8
정지궤도 통신 위성
성공 시도 안 함
2014년 1월 6일 22시 06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SLC-40 발사장
B1005 Thaicom 6
정지 궤도 통신 위성
성공 시도 없음
2014년 4월 18일 19시 25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06 드래곤 1[4]CRS-3[5] 성공 1단 엔진 제어 성공[6]
2014년 7월 14일 15시 15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07 Orbcomm-OG2-1(6개)
저궤도 통신 위성
성공 1단 엔진 제어 성공
2014년 8월 5일 08시 00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08 AsiaSat 8
정지궤도 통신 위성
성공 시도 없음
2014년 9월 7일 05시 00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0 AsiaSat 6
정지궤도 통신 위성
성공 시도 없음
2014년 9월 21일 05시 22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1 드래곤 1[7](CRS-4)[8] 성공 실패[9]
2015년 1월 10일 09시 47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2 드래곤 1[10]CRS-5[11] 성공 실패[12]
2015년 2월 11일 23시 03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3 DSCOVR
우주 기상 관측 및
지구 관측 위성[13]
성공 1단 엔진 제어 성공
2015년 3월 2일 03시 50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4 ABS-3A
Eutelsat 115 West B
정지궤도 통신 위성
성공 시도 없음
2015년 4월 14일 20시 10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5 드래곤 1[14]CRS-6[15] 성공 실패[16]
2015년 4월 27일 23시 03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6 TürkmenÄlem 52°E /
MonacoSAT
정지궤도 통신 위성
성공 시도 없음
2015년 6월 28일 14시 21분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LC-40 발사장
B1018 드래곤 1 CRS-7 실패 -
2016년 1월 17일 18시 42분 반덴버그 공군기지
SLC-4E 발사장
B1017 Jason-3
저궤도 기상 위성
성공 실패[17]


2013년 9월 29일: 팰컨 9 v1.1의 첫 비행이자, 스페이스X가 발사시킨 첫 대형 위성인 CASSIOPE 미션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이 미션은 반덴버그 (前)공군 기지에서 발사되는 첫 스페이스X 미션이였으며, 지구 저궤도 극궤도(polar orbit)에 성공적으로 안착되었다. 사용된 부스터는 B1003이었다. 이 미션에서는 부스터의 회수를 시도해봤는데, 대기권에 재진입할때 멀린 엔진을 재점화, 대기권에서 파괴되는것을 막고, 바다에 착수시켰다. 하지만 부스터는 착수 후 회수되지 않았다.


2013년 12월 3일: 스페이스X가 처음으로 정지천이궤도에 위성을 전개시킨 미션인 SES-8이 발사되었다. 이 미션에서는 2단 엔진의 재점화가 최초로 진행되었으며, SES-8 위성은 성공적으로 정지천이궤도에 안착되었다. B1004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이전 미션들과 똑같이 때려쳤다.


2014년 1월 6일: 태국의 Thaicom Public Company Limited 에서 제작한 Thaicom 6 통신위성을 정지궤도로 발사시키는 임무로, B1005 부스터가 사용되었다. 부스터는 회수하지 않았다.


2014년 4월 18일: CRS-3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18]. B1006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역사상 최초로 대서양 해상에 1단을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수면 위 부드러운 착륙 직후 부스터는 옆으로 쓰러졌다. 드래곤 1은 2014년 4월 20일 ISS에 도킹했다.


2014년 7월 14일: 미국의 위성 통신 회사인 Orbcomm의 위성 6개가 저궤도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사용된 부스터는 B1007이었다.부스터는 이전 CRS-3 미션처럼 해상에서 진행했으며, 수면 위 부드러운 착륙에 성공했다.


2014년 8월 5일: 홍콩의 위성 통신 회사 AsiaSat의 AsiaSat 8 통신위성을 정지궤도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B1008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2014년 9월 7일: AsiaSat의 AsiaSat 6 통신위성을[19] 정지궤도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B1011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2014년 9월 21일: CRS-4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20] B1010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대서양 바다에 부드러운 착륙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페이로드에는 무중력 3D 프린터,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기상 관측 장치, 무중력 상태에서의 쥐의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와 20마리, 우주비행사 보급품 등이 있었다.


2015년 1월 10일: CRS-5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21] B1012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무인 착륙선에 착륙하는 데 실패했다. 페이로드에는 오염, 연기, 먼지, 에어로졸 등을 관측하는 CATS와 우주비행사 보급품 등이 있었다.


2015년 2월 11일: NOAA의 우주 기상 및 지구 관측 위성 Deep Space Climate Observatory(DSCOVR)를 L1 라그랑주점으로 발사하는 임무이다. B1013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대서양 바다에 부드러운 착륙을 하는 데에 성공했다.


2015년 3월 2일: ABS에서 운용하는 ABS-3A 통신위성과 Eutelsat에서 운용하는 Eutelsat 115 West B 통신위성을 정지궤도로 보내는 임무이다. B1014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2015년 4월 14일: CRS-6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22] B1015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는 무인 착륙선에 착륙하는 데 실패했다. 페이로드에는 지구관측용 소형위성과 우주비행사 보급품 등이 있다.


2015년 4월 27일: 투르크메니스탄의 첫 번째 위성 TürkmenÄlem 52°E[23]를 정제궤도로 보내는 임무이다. B1016 부스터가 사용되었으며, 부스터 회수는 시도되지 않았다.


2015년 6월 28일: CRS-7 미션으로, ISS로 화물을 보급하는 임무이다.[24] B1018 부스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드래곤을 실은 발사체는 발사한지 2.5분 만에 폭발하고 말았다. 139초 후 2단 산화제 탱크의 헬륨 탱크 지지대가 부러지면서 다량의 헬륨이 액체 산소로 유입되었고, 이 결과 액체 산소 탱크가 파열되었다. 그 후 몇 초 후 2단과 1단이 차례로 폭발하여 드래곤 1은 궤도 진입에 실패하였고, 바다에 빠른 속도로 추락해 파괴되었다. 페이로드인 우주비행사 보급품과 여러 장비들이 국제우주정거장에 도착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 사고로 인하여 팰컨 9은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여 팰컨 9 로켓을 v1.1에서 FT로 모두 대체하였으며, 그 기간 동안 팰컨 9은 발사되지 못했다.



2016년 1월 17일: Jason-3 저궤도 기상 위성[25]을 발사하는 임무로, B1017 부스터가 사용되었다. CRS-7에서의 사고로 팰컨 9 v1.1은 생산이 중단되었지만, 아직 발사되지 않고 남은 이 부스터를 이용하여 마지막 발사를 진행하였다. 1단 부스터는 JRTI 해상 무인 착륙선에 느린 속도로 착륙했지만 착륙 다리 하나가 고정되지 않아 옆으로 넘어져 폭발했다. 결국 팰컨 9 v1.1은 단 한 번도 1단 착륙에 성공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26]

2.1. 주요 발사


[29]

3. 특징

파일:external/cdn.arstechnica.net/Screen-Shot-2013-09-29-at-4.25.16-PM-640x424.png
팰컨 9 v1.1은 모두 멀린 1D 엔진 9기를 사용한다. 팰컨 9 v1.0은 정사각형으로 엔진 9개를 배치했는데, 팰컨 9 v1.1부터는 엔진 8기를 원형으로 배치하고 가운데 엔진 1개를 배치했다. 엔진은 멀린 1C 엔진에서 더 강력은 멀린 1D 엔진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엔진의 직경은 이전과 이후 버전 모두 같다.

v1.0의 높이는 55 m 였는데, v1.1은 68.4 m로 13.4m나 높아졌다. 그리하여 연료탱크가 60%나 커졌고, 추력도 1단계 해수면 기준 4,940kN에서 5,885kN 으로 대폭 상승했다. 페이로드 탑재량 또한 지구 저궤도에서 10,454kg에서 13,150kg까지 증가했다.

파일:UwzAzpYr.png

팰컨 9 v1.1 버전은 재활용을 하기 위한 다리 구조와 그리드 핀 등도 갖추었지만, 모두 실패하고 재활용은 다음 버전인 팰컨 9 FT로 넘어갔다.

4. 관련 문서



[1] 현재는 다 팰컨 9 블록 5로 대체되었다. [2] B1001~1002, 1009는 테스트용 시제품으로 발사에 사용되지 않았다. [3] 엔진 재점화 테스트 진행 [4] 2014년 4월 20일 ISS 도킹 성공 [5]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6] 역사상 최초로 1단부를 수면 위에 안정적으로 착수시키는 데 성공. [7] 2014년 9월 23일 ISS에 도킹 성공 [8]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9] 수면 위로 부드러운 착륙을 시도했지만 액체 산소 부족으로 실패 [10] 2015년 1월 12일 ISS 도킹 성공 [11]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12] 바지선 착륙을 시도했지만 연료 부족으로 실패 [13] 지구-태양 간 라그랑주 점중 L1포인트에서 관측을 하며, 팰컨 9의 첫 번째 행성간 우주로의 발사이다. [14] 2015년 4월 17일 ISS 도킹 성공 [15] 페이로드 질량은 도합 약 6,000kg [16] 바지선 착륙을 시도했지만 너무 빠른 착륙으로 실패 [17] 바지선 착륙을 시도했지만 착륙 다리 하나가 고정되지 않아 착륙 직후 넘어져 폭발했다. [18] 사용된 드래곤 1은 C105이다. [19] 태국의 타이콤(Thaicom Public Company Limited)이 이 위성의 절반을 사용하기로 해서 Thaicom 7이라고도 불린다. [20] 사용된 드래곤 1은 C106이다. [21] 사용된 드래곤 1은 C107이다. [22] 사용된 드래곤 1은 C108이다. [23] MonacoSAT이라고 하는 트랜스폰더가 12개, TürkmenÄlem이라는 트랜스폰더가 26개 있다. [24] 사용된 드래곤 1은 C109이다. [25] 중점 임무는 해수면 온도와 상승, 해수 순환 등을 관측하는 것이다. [26] 이 발사 시점에서는 업그레이드 된 버전으로 착륙에 한 번은 성공한 상태이기는 했다. [27] 물론 드론쉽이 아닌 바다 한가운데에 착륙한 것 뿐이어서 재활용이나 회수는 하지 못했다. [28] 드래곤 1까지 포함 시 이보다 더 무거웠던 페이로드는 더 있다. [29] 영상은 스페이스X 공식 유튜브 계정에서 진행한 라이브 방송의 일부이며, 현재 스페이스X 공식 계정에서 본 영상은 내려간 상태이다. [30] 2016년 9월 3일에도 로켓 폭발 사고가 있었지만, 이것은 상승 중이 아닌 발사대에서 일어난 폭발이었다. [31] 영상에 폭발 직후 작은 물체 하나가 떨어지는 것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