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내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원인과 분석 |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
주요 세력 | 시리아 정부측 |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시리아 아랍군) |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이란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 ||
시리아 반정부측 | 시리아 과도정부( 자유 시리아군) | |
지원세력 | 미군 | ||
시리아 임시정부( 시리아 국민군) | ||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 ||
이슬람 전선 | ||
알누스라 전선 → 시리아 구국정부 → 시리아 과도정부(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 ||
로자바 | 로자바( 시리아 민주군) | |
ISIL | ISIL |
주요 전투 | 홈스 전투 | 알레포 전투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코바니 포위전 | 팔미라 전투(2016~2017) | 하샴 전투 | 알바구즈 전투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알레포 전투(2024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
외국의 개입 | 미국의 역할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이스라엘의 공습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이스라엘의 침공 |
기타 | 오해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알라, 시리아와 바샤르 | }}}}}}}}} |
제2차 팔미라 전투 هجوم تدمر Вторая битва за Пальмиру |
||
시리아 내전의 일부 | ||
|
||
기간 | ||
2016년 12월 8일 ~ 2017년 3월 2일 | ||
장소 | ||
시리아 홈스주 팔미라 일대 | ||
교전국 및 세력 | ||
[[시리아 아랍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틀:국기| ]][[틀:국기| ]] |
|
지휘관 | ||
수헤일 알하산[1] 알렉산드르 쿠즈네초프[2] |
불명 | |
병력 | ||
제25특수임무사단 바그너 그룹 헤즈볼라 국가방위군 |
||
피해 | ||
결과 | ||
시리아와 바그너 그룹의 팔미라 탈환 |
[clearfix]
1. 개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시리아군, 바그너 그룹과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사이에 발생한 전투.2. 전개
2016년 12월 초 IS는 시리아군이 알레포에 병력을 집중시킨 틈을 타 팔미라를 삼면에서 공격해 다시 점령했다. [3] 팔미라를 점령한 IS는 여세를 몰아 서쪽의 시리아 공군기지 티야스 비행장 코앞까지 진격해 포위망 형성을 시도했으나 시리아군과 국가방위군의 완강한 방어와 러시아 항공우주군의 폭격으로 공군기지 점령에 실패했다. 12월 14일 팔미라에 시리아군 증원병력이 도착해 티야스 비행장 주변을 탈환했고, 12월 말이 되어서는 헤즈볼라 증원병력이 도착했다.2017년 1월 초 시리아군은 팔미라를 탈환하기 위해 반격을 개시했으며 IS에 점령된 유전지대와 전연가스 지대를 차례차례 탈환해 나갔다. 서방 대IS 개입군 또한 팔미라 인근 IS를 폭격하여 IS는 다수의 장비와 병력을 잃게 되었다. 2월 말에는 시리아군, 바그너 그룹이 팔미라 바로 옆까지 탈환했다.
결국 2017년 3월 2일 바그너 그룹 제1돌격분견대장 알렉산드르 쿠즈네초프가 팔미라에 입성하며 시리아군괴 바그너 그룹의 승리로 전투가 종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