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20:46:26

다마스쿠스 함락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원인과 분석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주요 세력 시리아 정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 시리아 아랍군)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이란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자유 시리아군[A] 파일:시리아 국기.svg 남부 전선
파일:시리아 국기.svg 마그하웨이 알타우라
지원세력 | 미군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임시정부 ( 시리아 국민군)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이슬람 전선[A] 파일:아흐라르 알 샴 기.svg 아흐라르 알 샴
레반트 해방위원회 파일:알누스라 전선 깃발(2016-2017).svg 알누스라 전선파일:시리아 구국정부 깃발.svg 시리아 구국정부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과도정부 (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쿠르디스탄 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 시리아 민주군)
셀주크 여단 | 순교자 누바르 오자냔 여단 | 여성방위대 | 인민방위대
ISIL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주요 전투 홈스 전투 | 알레포 전투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코바니 포위전 | 팔미라 전투(2016~2017) | 하샴 전투 | 알바구즈 전투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 알레포 전투(2024년) | 다마스쿠스 함락)
전쟁범죄 훌라 학살 | 시리아 화학무기 공격 참사
사건사고 2015 러시아 공군기 Su-24 격추사건 | 2023년 홈스 드론 공격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외국의 개입 미국의 역할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이스라엘의 공습 | 자유의 새벽 작전 | 이스라엘의 침공
관련 창작물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 사마에게
기타 오해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화이트 헬멧 | 알라, 시리아와 바샤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0em"
{{{#!folding [ 각주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A] 2015년부터 여러단체로 분열 [A] 2015년부터 여러단체로 분열
}}}}}}}}} }}}}}}}}}
다마스쿠스 함락
معركة دمشق
시리아 내전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의 일부
파일:다마스쿠스 함락.jpg
날짜
2024년 12월 7일 ~ 2024년 12월 8일
장소
시리아 다마스쿠스, 리프디마슈크
교전 국가 및 세력
[[틀:깃발|]][[틀:깃발|]][[시리아 구국정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자유군
파일:시리아 국기.svg 남부 작전실
지휘관
아흐메드 알샤라
살렘 투르키 알안타리
아흐마드 알아우다
바샤르 알아사드
병력
불명 불명
피해규모
불명 불명
결과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 붕괴
시리아 과도정부 출범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1. 개요2. 전개
2.1. 12월 7일2.2. 12월 8일2.3. 전투 종료 이후
3. 결과와 영향4. 분석5. 반응

[clearfix]

1. 개요

2024년 12월 7일부터 12월 8일까지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 리프디마슈크에서 진행된 전투.

2. 전개

2.1. 12월 7일

2.2. 12월 8일

2.3. 전투 종료 이후

3. 결과와 영향

바트주의 시리아를 53년 간 통치했던 알아사드 정권은 완전히 붕괴했다. 시리아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는 가족과 함께 러시아로 망명을 떠났다.

다마스쿠스에 남아있던 시리아 총리 무함마드 가지 알잘랄리는 반군의 추대로 잠시 임시 수반이 되었으나, 2024년 12월 9일 시리아 구국정부 현임총리인 무함마드 알바시르가 신임 총리로 선출되면서 사임했다.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가 붕괴하자, 러시아는 라타키아, 타르투스에 위치한 군사기지를 제외한 시리아 지역에 배치되었던 러시아군을 철수시키기 시작했으며 해당 지역의 러시아군 기지를 유지하기 위해 시리아 과도정부와 협상을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

시리아는 위치상 이란이 구축했던 저항의 축의 허리를 담당하는 국가였기 때문에 친이란 성향을 띄웠던 아사드 정부가 무너짐에 따라 이란의 영향력 역시 해당 지역에서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스라엘은 아사드 정부가 붕괴된 틈을 타 시리아 본토를 침공해 헤르몬 산과 쿠네이트라 주 일부를 점령했다. 또한 구 시리아 아랍군의 군사자산에 대해 시리아 전역에 공습을 진행 중이다.

튀르키예 시리아 내전으로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와 관계악화로 중단되었던 다마스쿠스 주재 튀르키예 대사관의 업무를 재개하게 되었다. #

4. 분석

5. 반응

카불 함락이 발생한지 3년 밖에 안되어 또 다른 정권이 무너졌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었다. 그러나 아사드 정권은 무능하고 억압적이기만 했기에 서방권이나 중립국들은 크게 충격먹지는 않았다. 일부는 오히려 구 남베트남의 몰락과 같다고 평가하는데 아사드나 응오딘지엠+응우엔반티에우 역시 마약 밀매를 했다는 점에서 매우 비슷하고 여러 도시나 마을에 반동분자들이 숨었다고 생화학 테러,방화,학살을 저지른 점에서도 매우 비슷하다. 그러나 아사드 정권의 만행은 구 남베트남 독재자들은 따위로 만들 정도로 더 잔악했다. 그러나 다마스쿠스 함락이나 사이공 함락 둘다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고 반군+베트콩을 환영하는 시민들도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