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08:30:01

캐서린 로이터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투어 여자부 종합우승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 -11px; margin-top: -8px; margin-bottom: -6px"
1997-98 1998-99 1999-00 2000-01 2001-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2002-03 2002-03 2004-05 2005-06 2006-07
파일:중국 국기.svg 푸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 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천사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파일:미국 국기.svg 캐서린 로이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리안나 폰타나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취소 COVID-19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길리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 ||

<colbgcolor=#ffffff><colcolor=#B31942> 캐서린 로이터
Katherine Reutter
파일:캐서린 로이터.jpg
본명 캐서린 로이터애드멕
Katherine Reutter-Adamek[1]
출생 1988년 7월 30일 ([age(1988-07-30)]세)
일리노이 주 섐페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0cm, 60kg
종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가족 배우자: 마크 애드맥[2]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2009-10 시즌2.2. 2010-11 시즌2.3. 2011-12 시즌2.4. 첫 은퇴2.5. 2016-17 시즌
2.5.1. 월드컵 시리즈
2.6. 2017-18 시즌
2.6.1. 월드컵 시리즈2.6.2. 올림픽 선발전과 두번째 은퇴
3. 수상 기록
3.1. 월드컵 성적
4. 기타

[clearfix]

1. 개요

미국의 前 여자 쇼트트랙 선수이며, 캐시 터너 아폴로 오노를 잇는 미국 쇼트트랙의 스타였다.

2. 선수 경력

2.1. 2009-10 시즌

2.1.1.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에는 중국 선수였던 왕멍 저우양의 상승세가 강했던 시기였음에도 불구하고 1000m에서 은메달을 수상하며 선전했다. 특히 올림픽 500m 2연패를 했던 캐시 터너 이후 16년 만에 개인 메달을 받은 미국 국적의 여자 쇼트트랙 선수가 되었다. 3000m 계주에서는 미국이 4위로 골라인을 통과했으나 1위를 기록한 대한민국이 실격당하면서 동메달을 받았다.[3]

2.2. 2010-11 시즌

월드컵 종합 우승을 차지한 시즌으로 당시 한국 선수들이 아시안 게임 준비로 1차&2차 월드컵에 불참했고 한국의 신예였던 박승희가 부상으로 주춤했었다. 어쨌건 이 시즌 그녀의 기량이 올라간 것은 사실이다. 다만, 미국 선수들은 바로 다음 시즌부터 로이터의 부재, 한국 코치에서 자국 코치 변경 등으로 인해 하락세를 탔다.

2.3. 2011-12 시즌

4차 월드컵까지 참가했으나 시즌 도중 골반 부상으로 5차, 6차 월드컵과 2012 세계선수권을 스킵했다.

그 이후 본인이 스케이트를 타면서 복귀를 암시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사실 그녀의 전성기나 다름없었던 2010-11, 2011-12 시즌 때는 라나 게링이 활약했고, 제시카 쿠어만, 엘리슨 두덱 등 대부분의 선수들도 결승은 올라가는 정도의 경쟁력은 갖추었다.

2.4. 첫 은퇴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참가하기에는 본인의 몸 상태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2013년 초에 연말에 열리는 선발전에 일찍 불참을 선언함과 동시에 은퇴를 선언했다. 당시 나이는 겨우 24세로 서양권 선수들의 선수 생명이 대한민국이나 중국 선수들에 비해 더 길다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일찍 은퇴를 한 셈이다.

정말 그녀가 은퇴를 빨리 선언했던 것이 놀라웠던 게 유럽, 북미 선수들은 선수 생활을 정말 오래 한다.[4] 불가리아의 쇼트트랙 영웅인 예브게니야 라다노바는 33살까지 선수 생활을 했었고, 캐나다의 마리-이브 드롤렛 역시 우리 나라 나이로 2017 세계선수권에서도 36살의 나이로 출전해서 종합 10위를 차지했다. 또, 자국의 제시카 쿠어만도 현재 우리 나이 35살로 상당한 노장인데도 미국의 에이스로 활약을 해 주는 것을 보면 정말 선수 생활이 긴데, 은퇴를 선언한 것을 보면 부상 정도가 얼마나 심각했었는지 짐작해 볼 수 있다.

미국 여자 대표팀은 그녀의 은퇴 후 지난 몇 년 간 별다른 성과를 못 냈고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심지어 빈손으로 귀국했다. 남자 대표팀도 아폴로 오노의 은퇴 이후로 상황이 비슷했지만 여기는 다행히도 J.R. 셀스키라는 대들보가 남아 있고 존헨리 크루거라는 신예를 발굴했다.[5]

그녀는 은퇴 후 현재는 페팃 국립 빙상 센터에서 코치로 활동 중이다. 많은 사람들이 로이터의 은퇴를 아쉬워하지만 본인은 코치로써의 생활이 더 이상 한국 코치들의 토 나오는 훈련 프로그램을 안 따라가도 되니까 만족스럽다고 하며 목표는 자신의 제자들이 나중에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이 될 수 있도록 잘 훈련시키는 거라고 한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는 쇼트트랙 해설을 맡았다.

2.5. 2016-17 시즌

복귀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본인 트위터를 통해 먼저 알려졌고 후에 미국 NBC에서 확인사살했다. 미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에 참여해 최종 2위를 기록했다. 현재 미국엔 여자부에 인재가 없는 편이긴 하지만 오랜만에 참가한 선발전에서 2위를 기록한 걸 보면 아직 기량이 녹슬지 않았다고 추측해 볼 수 있다. 폼이 올라온다면 2010년대 초반 조해리, 박승희가 한국 대표팀을 이끌던 때처럼 최강의 중장거리 적수 중 한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7월 30일부터 7월 31일까지 열린 'Desert Classic'이란 시합에서 캐서린 로이터가 아닌 캐서린 애드맥(Kathriene ADAMEK)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하였다. 로이터의 연인으로 알려졌던 남자의 이름이 마크 애드맥(Mark Adamek)인 것으로 보아, 결혼 후 패밀리 네임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6]

2.5.1. 월드컵 시리즈

5년 만에 복귀한 1500m 경기에서 수준급의 지구력과 노련함을 보여주며 결승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5년 만에 복귀한 그녀가 현역인 심석희, 최민정, 쉬자너 스휠팅 등과 동등한 대결을 펼친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1차 월드컵처럼 메달은 못 땄지만 기량이 그래도 꽤 올라온 모습을 보여주었다. 1000m 결승전은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에 걸려서 넘어졌고, 1500m는 3위로 심석희, 노도희, 김지유를 견제하며 잘 달리다가 2바퀴 남겨놓고 갑자기 휘청거리는 바람에 최하위로 처졌다. 가능성은 보여주었는데 두 번이나 넘어져서 아쉬웠던 경기였다.

2017 전미선수권에서 종합 2위를 차지해 2017 세계선수권 개인전 출전 자격을 얻었으나, 5차 월드컵을 앞두고 뇌진탕으로 인해 불참하였고, 그 여파로 세계선수권에 결국 참여하지 못했다. 당시 엘리스 크리스티 역시 5차 월드컵에 뇌진탕 부상으로 인해 불참했었는데, 바로 세계선수권에 복귀해 종합 1위를 차지했던 것과 비교했을 때, 로이터 쪽이 당했던 부상이 꽤 심한 부상이었던 것을 파악할 수 있다.[7]

비록 세계선수권에 참가하지 못했으나 시즌 총평은 아직 위협적인 레벨은 아니라는 게 중론이다. 물론 경험이 많은 선수이고 서양권 선수들은 선수 생명이 긴 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조금 시간을 두고 지켜볼 필요는 있다.

2.6. 2017-18 시즌

스케이트를 다시 타기 시작한 지 한 달 만에 시작한 대회에서 당연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이후 9월에 열린 월드컵 선발전에서도 종합 5위로 굉장히 부진한 성적으로 마무리했다.[8]

2.6.1. 월드컵 시리즈

1차, 2차 대회는 참가하지 않았고 3차, 4차 대회만 참가를 했는데 그래도 자신이 여전히 미국의 에이스라는 것을 증명하듯, 3차 대회에선 1000m 7위[9], 4차 대회에선 1000m 12위, 1500m 11위로 마무리 했다. 최근 부상과 부진이 겹쳤던 것을 생각한다면 나름 저력을 발휘한 셈. 타 쇼트트랙 강국의 기준으로 본다면 결코 좋다고 할 수는 없는 성적이다. 또한 2000년대 이후 꾸준히 하향세를 타고 있는 미국 쇼트트랙을 고려한다면 감지덕지라고 할 수 있는게 월드컵 후반기에 로이터의 선전이 없었다면 미국 팀의 장거리 출전 쿼터는 한 장이 되었을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2.6.2. 올림픽 선발전과 두번째 은퇴

월드컵 시리즈가 끝나고 한 달 후 올림픽 선발전이 열렸다.[10] 그 때 미국 여자팀은 계주 출전권을 얻지 못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3명의 선수만이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었다.

1500m(1) - PEN, 1500m(2) - 6위
500m(1) - 3위, 500m(2) - 5위
1000m(1) - 1위[11], 1000m(2) - 5위

사실 1000m(2) 레이스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조로 준결승이 편성이 되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하고, 5위를 차지하였으나 1000m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한 제시카 쿠어만에 점수가 밀려 끝내 올림픽 참가가 좌절되었다. 선발전을 마치고 은퇴를 선언했다.

2021년 인터뷰에서는 현재 동기 부여 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동기 부여와 관련된 책을 쓸 계획이라고 한다.

3. 수상 기록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은메달 2010 밴쿠버 1000m
동메달 2010 밴쿠버 3000m 계주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 2011 셰필드 1500m
은메달 2011 셰필드 종합
2위 2011 셰필드 3000m S.F.
3위 2008 강릉 3000m S.F.
동메달 2010 소피아 3000m 계주
동메달 2010 소피아 1000m
동메달 2011 셰필드 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동메달 2009 헤이렌베인 단체전
동메달 2011 바르샤바 단체전

3.1. 월드컵 성적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우승 기록
종합 우승 2010-11 시즌
1000 m 1위 2010-11 시즌
1500 m 1위 2010-11 시즌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 우승 2위 3위 포디움
종합 1 0 1 2
1000 m 랭킹 1 1 0 2
1500 m 랭킹 1 0 1 2
합계 3 1 2 6
월드컵 메달 포디움
1000 m 4 4 2 10
1500 m 6 6 1 13
개인전 합계 10 10 3 23
3000 m 계주 2 4 3 9
메달합계 12 14 6 32
랭킹 + 메달 합계 15 15 8 38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랭킹[12]
시즌 종합 500 m 1000 m 1500 m
2007-08 - - 5위 6위
2008-09 - - 6위 5위
2009-10 3위 8위 2위 3위
2010-11 1위 - 1위 1위
2011-12 - - 7위 4위
2016-17 - - 27위 15위
2017-18 - - 15위 24위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13]

4. 기타



[1] 결혼 후 풀네임. [2] 미국의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3] 이 판정을 내린 심판은 제임스 휴이시. [4] 물론 캐나다의 칼리나 로베르주 처럼 일찍 은퇴한 케이스가 없던 것은 아니다. [5] 하지만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J.R. 셀스키는 은퇴했고, 존-헨리 크루거가 미국의 열악한 지원으로 인해 헝가리로 귀화하면서 상황이 좋지 않다. 2020년대에 들어서도 정상급 선수를 발굴하는데 애를 먹고 있다. 여자 대표팀의 상황도 크게 좋지는 않지만 크리스틴 산토스가 뒤늦게 포텐을 터뜨리는 중이다. [6] 월드컵 무대에선 Katherine REUTTER-ADAMEK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7] 이 뇌진탕 부상으로 5개월 동안 스케이트 자체를 타지 못 했다고 한다. [8] 물론, 한 때 미국 팀을 같이 이끌었던 라나 게링 역시 본격적으로 복귀하고, 마메 바이니의 기량도 서서히 올라오면서 미국 선발전이 상당히 치열했다. [9] 1500m는 마지막 세 바퀴에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며 예선 탈락했다. [10] 미국 올림픽 선발전은 1500m, 500m, 1000m 세 종목을 3일에 걸쳐 두 번 치르는데, 두 번의 1500m 경기를 마치고 가장 높은 1500m 점수를 차지한 선수가 선발되고, 나머지 종목도 그런 식이었다. [11] 사실 1500m와 500m를 끝내고 올림픽 선발이 장담되지 못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로이터의 주종목인 1000m가 굉장히 중요했는데 1차 레이스를 잘 끝내면서 변수가 만들어졌다. [12]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 [13] 랭킹 표기 : 전체 랭킹기록 21개의 81%인 17개까지 표기 [14] 대부분의 미국 쇼트트랙 선수들이 솔트레이크시티에 몰려있기 때문에 대표팀 급 레벨의 선수가 솔트레이크시티가 아닌 곳에서 훈련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한다. [15] 소치에서는 같은 나라 선배인 아폴로 오노와 같이 해설 위원으로 있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오노는 계속 해설 위원으로 활동했었지만 로이터는 해설을 맡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