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21:54:40

카를로 안노바치

카를로 안노바치의 감독직 및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주장
리카르도 카라펠레세
(1949~1950)
카를로 안노바치
(1951~1952)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1952~1960)

AC 밀란 주장
안드레아 보노미
(1948~1952)
카를로 안노바치
(1952~1953)
오메로 토뇬
(1953~1954)
}}} ||
카를로 안노바치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AC 밀란 로고.svg [br] AC MILAN HALL OF FAM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300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HAMPIONS
8 [ruby(에바니, ruby=알베리고)] 5 [ruby(코스타쿠르타, ruby=알렉산드로)] 13 [ruby(네스타, ruby=알렉산드로)] 21 [ruby(피를로, ruby=안드레아)]
5 [ruby(안퀼레티, ruby=안젤로)] 11 [ruby(모라, ruby=브루노)] 4 [ruby(안첼로티, ruby=카를로)] 11 [ruby(갈리, ruby=카를로)]
6 [ruby(말디니, ruby=체사레)] 32 [ruby(아비아티, ruby=크리스티안)] 10 [ruby(세도르프, ruby=클라렌스)] 9 [ruby(마사로, ruby=다니엘레)]
32 [ruby(베컴, ruby=데이비드)] 10 [ruby(사비체비치, ruby=데얀)] 4 [ruby(알베르티니, ruby=데메트리오)] 1 [ruby(쿠디치니, ruby=파비오)]
5 [ruby(갈리, ruby=필리포)] 9 [ruby(인자기, ruby=필리포)] 6 [ruby(바레시, ruby=프랑코)] 8 [ruby(가투소, ruby=젠나로)]
1 [ruby(게치, ruby=조르조)] 1 [ruby(갈리, ruby=조반니)] 7 [ruby(로데티, ruby=조반니)] 4 [ruby(트라파토니, ruby=조반니)]
9 [ruby(알타피니, ruby=조제)] 4 [ruby(칼라제, ruby=카카베르)] 5 [ruby(슈넬링거, ruby=칼 하인츠)] 10 [ruby(후이 코스타, ruby=마누엘)]
8 [ruby(드사이, ruby=마르셀)] 2 [ruby(카푸, ruby=마르쿠스)] 23 [ruby(암브로시니, ruby=마시모)] 12 [ruby(지다, ruby=네우송)]
3 [ruby(말디니, ruby=파올로)] 5 [ruby(데 베키, ruby=렌초)]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7 [ruby(도나도니, ruby=로베르토)]
10 [ruby(굴리트, ruby=루드)] 10 [ruby(보반, ruby=즈보니미르)]
GOLEADOR
9 [ruby(보피, ruby=알도)] 7 [ruby(파투, ruby=알레샨드리)] 7 [ruby(세브첸코, ruby=안드리)] 9 [ruby(인자기, ruby=필리포)]
10 [ruby(리베라, ruby=잔니)] 11 [ruby(산타고스티노, ruby=주세페)] 11 [ruby(그렌, ruby=군나르)] 9 [ruby(노르달, ruby=군나르)]
9 [ruby(조던, ruby=조)] 9 [ruby(알타피니, ruby=조제)] 10 [ruby(스키아피노, ruby=후안 알베르토)] 99 [ruby(호나우두, ruby=루이스 나자리우 지 리마)]
11 [ruby(시모네, ruby=마르코)] 9 [ruby(반 바스텐, ruby=마르코)] 9 [ruby(헤이틀리, ruby=마크)] 9 [ruby(콤빈, ruby=네스토)]
9 [ruby(비어호프, ruby=올리버)] 7 [ruby(프라티, ruby=피에리노)] 11 [ruby(비르디스, ruby=피에트로)] 8 [ruby(윌킨스, ruby=레이)]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10 [ruby(바조, ruby=로베르토)] 80 [ruby(호나우지뉴, ruby=호나우두 지 아시스 모레이라)] 11 [ruby(이브라히모비치, ruby=즐라탄)]
BALLON D'OR
7 [ruby(세브첸코, ruby=안드리)] 9 [ruby(웨아, ruby=조지)] 10 [ruby(리베라, ruby=잔니)] 9 [ruby(반 바스텐, ruby=마르코)]
22 [ruby(카카, ruby=히카르두)] 10 [ruby(굴리트, ruby=루드)]
CAPTAINS
4 [ruby(비곤, ruby=알베르토)] 5 [ruby(벳, ruby=알도)] 9 [ruby(세베니니, ruby=알도)] 3 [ruby(말데라, ruby=알도)]
7 [ruby(스카리오니, ruby=알레산드로)] 4 [ruby(보노미, ruby=안드레아)] 7 [ruby(소르마니, ruby=안젤로)] 5 [ruby(트레레, ruby=아틸리오)]
4 [ruby(안노바치, ruby=카를로)] 8 [ruby(로바티, ruby=체사레)] 6 [ruby(말디니, ruby=체사레)] 8 [ruby(사니, ruby=디노)]
8 [ruby(모란디, ruby=에르네스토)] 3 [ruby(솔데라, ruby=프란체스코)] 3 [ruby(차가티, ruby=프란체스코)] 6 [ruby(바레시, ruby=프랑코)]
8 [ruby(레이카르트, ruby=프랑크)] 10 [ruby(리베라, ruby=잔니)] 11 [ruby(모레티, ruby=조반니)] 6 [ruby(안토니니, ruby=주세페)]
9 [ruby(노르달, ruby=군나르)] 9 [ruby(푸리첼리, ruby=에토레)] 5 [ruby(킬핀, ruby=허버트)] 1 [ruby(부폰, ruby=로렌초)]
9 [ruby(반 헤게, ruby=루이스)] 11 [ruby(키아루지, ruby=루차노)] 5 [ruby(페르베르시, ruby=루이지)] 5 [ruby(로사토, ruby=로베르토)]
2 [ruby(살라, ruby=마르코)] 23 [ruby(암브로시니, ruby=마시모)] 2 [ruby(타소티, ruby=마우로)] 10 [ruby(리드홀름, ruby=닐스)]
8 [ruby(토뇬, ruby=오메로)] 3 [ruby(말디니, ruby=파올로)] 9 [ruby(부리니, ruby=렌초)] 9 [ruby(안토넬리, ruby=로베르토)]
4 [ruby(베네티, ruby=로메오)] 6 [ruby(부리아니, ruby=루벤)] 9 [ruby(아르카리, ruby=피에트로)] 1 [ruby(로시, ruby=세바스티아노)]
27 [ruby(세르지뉴, ruby=세르지우 클라우지우 두스 산투스)] 5 [ruby(바티스티니, ruby=세르지오)] 33 [ruby(실바, ruby=티아고)] 11 [ruby(노벨리노, ruby=발테르)]
}}}}}}}}}}}} ||
파일:Carlo Annovazzi.jpg
이름 카를로 안노바치
(Carlo Annovazzi)
생년월일 1925년 5월 24일
사망년월일 1980년 10월 10일 (향년 55세)
국적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출신지 이탈리아 왕국 밀라노
포지션 라이트 풀백, 라이트 윙 하프
신체조건 182cm | 79kg
소속팀 AC 밀란 (1944-1953)
아탈란타 BC (1953-1958)
안코니티나 (1958-1959)
갈라라테 칼초 (1959-1960)
치타 디카스텔로 (1960-1961)
국가대표 17경기 (1947-1952)
감독 FS 세스트레세 칼초 1919 (1970-1971)
손드리오 칼초 (1972-1973)



1. 개요2. 생애
2.1. 선수 생활2.2. 이후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4. 사생활5. 뒷이야기6. 수상
6.1. 선수
6.1.1. 클럽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의 전 축구 감독.

2. 생애[1]

2.1. 선수 생활

2.1.1. 클럽

AC 밀란에서 1944년에 데뷔한 안노바치는 9시즌을 밀란에서 뛰면서 1950-51 시즌에 밀란이 44년 만에 다시 스쿠데토를 차지하는 것에 기여했다. 이 시즌에 안노바치는 16골을 넣었는데 이는 군나르 노르달에 이은 팀 내 득점 2위이자 리그 득점 11위의 기록이었다.

안노바치는 1952년에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지만 1년 만에 밀란을 떠나 아탈란타 BC로 이적하게 되었고 그곳에서도 최고의 선수로 활약했다.

2.1.2. 국가대표

안노바치는 그란데 토리노 선수들이 주축이었던 1940년대 후반의 이탈리아 대표팀에서 몇 안되는 토리노 이외의 팀 소속 선수였다. 그러나 수페르가의 비극으로 인해 그란데 토리노 멤버들이 거의 다 사망했고 안노바치는 계속 이탈리아 대표팀을 지켰다.

안노바치는 1950년 월드컵에서 스웨덴과의 첫 경기에 출전했다. 하지만 이탈리아는 스웨덴에 2:3으로 패했고 이것이 발목을 잡아 결국 결선 리그 진출에 실패했다.

2.2. 이후

축구 선수 경력을 끝낸 안토바치는 를 운영하다 정리하고 한동안 아버지가 경영하던 액자 가게를 이어받아 홀어머니를 부양했다.

그러나 감독으로 안노바치는 큰 경력을 만들지는 못했고 친정팀 AC 밀란에서 코치로 일했다. 그러다 1977년, 안노바치는 새로 입단한 키작은 수비수를 맡아 훈련시켜 역대급 센터백으로 키워냈는데 그가 바로 프랑코 바레시였다.

안노바치는 1980년, 난치병으로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 향년 55세.

3. 플레이 스타일 & 평가

안노바치는 수비수임에도 득점 감각이 있었으며 그 득점 감각은 공격 개입과 능숙하면서도 빠른 결정을 내리는 방향으로 표출되었다. 또한 안노바치는 공중볼 경합에 강점을 보였고 페널티 킥을 잘 찼는데 AC 밀란에서 활약할 때 8개의 페널티 킥을 시도했고 모두 성공했다.

4. 사생활

안노바치는 1949년, 미나 밀리아바카(Mina Migliavacca)와 결혼해 슬하에 3명의 자녀를 뒀다.

5. 뒷이야기

6. 수상

6.1. 선수

6.1.1. 클럽



[1] 출처: 위키피디아, 11v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