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07:50:43

참호족

파일:external/puncturerepairkit.files.wordpress.com/trench-foot.jpg
참호족에 걸리면 이렇게 됩니다
예방합시다!
항상 발을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할 것

1. 개요2. 상세3. 예방법4. 여담

1. 개요

, Trench Foot

침족병[1] 중의 하나. 액침족(液浸足, immersion foot)이라고도 한다. 춥고 습한 환경에서 꽉 끼는 신발류를 장시간 착용하고 있을 때 생긴다. 쉽게 말하면 동상인데, 일반적인 동상과는 달리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지 않아도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2. 상세

최초의 기록은 1812년 나폴레옹 러시아 원정에서 등장하였으며, 당시 프랑스 군의관이었던 도미니크 장 라레(Dominique Jean Larrey)가 원정 기간동안 만연했었던 참호족에 대해 최초로 기술하였다.[2]

이 명칭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계기는 1차 세계대전 당시의 숱한 참호전에서 비롯되었다. 이 때의 서부전선에서는 각 군이 참호를 길게 파고 병사들이 여기에 틀어박혀 지내는 시간이 많았다. 문제는 가 와서 빗물이 고이거나 지하수를 잘못 건드려 참호 안에 이 차 있는 경우가 잦았고, 그 안에서 생활하는 병사들은 추운 날씨에도 장시간 발이 물에 젖어있는 채로 돌아다녀야 했다는 것이다. 당시 군화는 대부분 가죽 재질로 된 부츠였는데, 밑창 부분을 바늘로 뚫어서 두꺼운 실로 꿰매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당연히 실구멍을 통해 물이 샐 수밖에 없었다. 때문에 이 마를 새가 없는데다가 부츠 자체가 꽉 끼는 신발이기 때문에 참호족이 생길 수밖에 없었다. 특히 진지가 상대적으로 저지대에 위치했던 연합군 쪽 병사들이 더 많이 고통을 받았다. 찰리 채플린은 그의 영화 "어깨총"(Shoulder Arms, 1918)에서 이러한 상황을 코믹하게 묘사했다. 게다가 참호가 침수되어서 잘 곳이 마땅치 않은 경우에도, 그렇다고 참호를 벗어났다간 총알이 날아오는 상황이라 어쩔 수 없이 물이 들어찬 벙커에서 어떻게든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고 한다.

이 상태로 있으면 발에 있는 모세혈관이 수축하므로 홍색증과 청색증이 나타나며 발끝의 감각이 점차 없어진다. 좀 더 진행되면 발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기 시작하는데, 조직의 부패 때문에 나는 악취로 괴사가 일어난다는 경고다. 빠르게 치료를 하지 않으면 괴저로 진행되어 결국에는 절단 수술을 해야 한다. 쉽게 말하면, 멀쩡한 발이 동상으로 인해 썩어간다는 것이다.

3. 예방법

가장 확실한 예방법은 발을 따뜻하게 하고 잘 말리는 것이다. 발을 말릴 수 없는 상황이라면 양말을 자주 갈아신어야 한다. 실제로 제1차 세계 대전 때 병사들은 가족들한테 양말을 더 보내달라는 편지를 자주 썼다. 당시의 지급 양말은 전장에서 3일만에 구멍이 나곤 했다. 또한 부대에 참호족 예방 목적으로 고래기름으로 만든 연고나 바셀린이 지급되었으며, 그걸 하루에만 10갤런(약 38리터)씩 소비하는 대대도 있었다. 그리고 장교들이 자주 발검사를 하는 것도 방법이었다. 또한 영국군은 방수 기능이 있는 헌터제 고무 부츠[3]를 지급하여 개선하기도 하였다. 부지런히 발 관리를 하면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인지라, 참호족은 종종 부대의 군기 상태를 체크하는 척도로 쓰이기도 했다. 뒤늦게 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경우 보급물자가 썩어넘쳤기 때문에 당시 보급물자로 엄청나게 뿌려댔던 전투식량 깡통을 참호 바닥에 방호재로 깔아 물이 고이는 부분을 최소화하기도 하였다.

당뇨병이 있다면 더더욱 조심해야하는데 당뇨발로 번지기 마련이다.

4. 여담



[1] 15℃이하의 찬물에 피부가 지속적으로 접촉, 노출될 시 발가락 등의 신체 일부분이 동상에 걸리는 병을 말한다. [2] 참고 [3] 그 성능을 인정받아 레인부츠로 유명한 브랜드가 되었다. [4] 저격수의 최우선 목표는 직급이 높은 사람, 즉 경례를 받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