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원래 옷 같은 직물에 천 같은 것을 덧대 짜맞춰 기워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순우리말이며, 여기에서 의미가 파생되어 문학작품이나 영화 등의 촬영물을 편집하는 의미로 발전했다. 부정적인 의미로 이곳저곳에 모아둔 자료들을 그럴듯하게 편집해서 리포트를 완성하는 행위로도 사용된다. 표절을 들키기 않기 위한 방법 중 하나.현실과는 다르지만 그럴듯하게 편집해서 현실인 것처럼 꾸밈으로써 사실을 왜곡하는 행동이다. 완전히 왜곡된 것도 있고, 혹은 다른 걸 했는데 이걸 한 것처럼 했다든지 한 경우도 짜깁기에 해당된다. 화성-17 미사일 발사 이후 우리 군 당국이 실제로는 화성-15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분석하면서 짜깁기 의혹이 제기됐다.
참고로 '짜깁기'가 표준어이다. '짜집기'는 구개음화가 된 형태이며, '짓다~집다~줏다' 등의 ㅈ형은 경기도를 제외한 강원, 충청, 서남, 동남, 제주 등 모든 남한 방언에서 쓰이기 때문에 '짜깁기'가 '짜집기'에 먹히는 것은 시간 문제의 상황이었다. 많은 이들이 "짜집기"로 쓰기 때문에 문법 나치들에게 심심하면 물고 뜯기는 단어들 중 하나다.
'짜깁기’가 아니라 ‘짜짓기’가 올바른 표기라는 주장에도 설득력이 있다. 어떻게 표기하든 결국 그 용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본질적 의미는 ‘여기저기서 부분을 떼어와 무언가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고 그 무언가에 대해서는 부정적 가치판단이 담긴 것이다. 그런데 ‘짜깁기’의 ‘깁기’는 해지거나 찢어져 벌어진 것을 바느질 등으로 이어 붙이는 미시적 행위에 대한 서술이다. 반면 ‘짜짓기’의 ‘짓기’을 ‘옷을 짓다’, ‘건물을 짓다’ 등에서 보듯 최종적 완성물(예컨대 옷, 건물)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따라서, (독창성 부족,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사유로) 부정적으로 평가할 만한 무언가 최종적인 것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지칭하기 위해서는 부분(혹은 과정)이 아닌 전체(혹은 최종적 산물)를 지칭하는 ‘짜짓기’가 더 합당하다. 이 용어가 한국 사회에 널리 회자된 것은 지식재산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논문 표절 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높아지던 1990년대 말 이후다. 서구에서는 흔히 ‘patchwork’란 용어로 지칭되던 것이 한국에 처음 들어와서는 명확히 합의된 표기없이 [짜지끼], [짜집끼] 등의 발음의 구어로 통용되었다. 이후 그 담론을 KBS 등 제도권 언론에서 다뤄야 할 시점에 이르러 성급히 ‘짜깁기’로 특정 표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나운서실 등의 얄팍한 검토를 거쳐 깊은 생각 없이 선택된 것으로 보인다. 의미상으로도, 전체 과정 중 한 종류의 미시적 행위를 지칭하는 ‘짜깁기’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방품, 표절작품 등을 지칭하기에 부족할 뿐아니라, 구어상으로도 [깁] 보다는 [집] 혹은 [짓]의 발음이 압도적으로 많았음을 고려하면 억지스런 표기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정식 표기법이 ‘짜깁기’에서 ‘짜짓기’로 수정될 필요가 제기되는 이유다.
2. 여담
애니메이션 주제가의 배경 영상들은 대부분 일부 에피소드들의 한 장면을 짜깁는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나 영상 기술이 발달된 현재도 이러한 짜깁기 형식이 이어지고 있다.상상플러스 세대공감 OLD & NEW 2007년 1월 23일 113회차[1]에 이 단어가 문제로 나왔으며 당시 탁재훈이 정답을 써놓고도 오답인 양 사기극을 펼쳤다. 탁재훈이 문제의 답은 '짜깁기'로 맞게 썼지만 정답을 '짜집기'로 착각한 것이다.
문예에서 쓰는 단어인 선제작 후설정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다.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들을 사제, 가짜, 재생 부품으로 바꿔치기 하는 것을 짜깁기라고도 한다. 주로 사설 수리점이나 중고폰 시장에서 비일비재하다. 그나마 사제, 가짜 부품의 경우에는 정품과 현격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판별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중국발 정품 추출품을 정교한 실력으로 짜깁기 하는 경우에는 분해를 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판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짜깁기 사기를 당하고도 평생 모르고 지나갈 수도 있다. 삼성 갤럭시의 경우 서비스 센터에서 무상으로 내부를 확인해주기도 하니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해서 중고폰 구입 시 짜깁기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합성물에서 녹음된 대사, 음성 따위를 음절 단위로 쪼개고 다시 조합하여 새로운 음성을 만들어내는, 일명 조교 역시 짜깁기의 일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