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2:07:05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대한민국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d5772> 1997년 훈민정음 해례본 | 조선왕조실록
2001년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 승정원일기
2007년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 조선왕조의궤
2009년 동의보감
2011년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 일성록
2013년 난중일기 | 새마을운동 기록물
2015년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 한국의 유교책판
2017년 조선통신사 기록물 |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2023년 4.19혁명 기록물 |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
이름 한국어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영어 [1]
프랑스어 [2]
국가·위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소장·관리 국립고궁박물관
등재유형 기록유산
등재연도 2017년
제작시기 1392~1910년

1. 조선왕실의 어보
1.1. 개요1.2. 목록
1.2.1. 목조1.2.2. 익조1.2.3. 도조1.2.4. 환조1.2.5. 태조1.2.6. 정종1.2.7. 태종1.2.8. 세종1.2.9. 문종1.2.10. 단종1.2.11. 세조1.2.12. 예종1.2.13. 덕종1.2.14. 성종1.2.15. 중종1.2.16. 인종1.2.17. 명종1.2.18. 선조1.2.19. 원종1.2.20. 인조1.2.21. 효종1.2.22. 현종1.2.23. 숙종1.2.24. 경종1.2.25. 영조1.2.26. 진종1.2.27. 장조1.2.28. 정조1.2.29. 순조1.2.30. 문조1.2.31. 헌종1.2.32. 철종1.2.33. 고종1.2.34. 순종1.2.35. 의민황태자
2. 조선왕실의 어책
2.1. 개요2.2. 종류2.3. 목록
2.3.1. 옥책
2.3.1.1. 태조2.3.1.2. 정종2.3.1.3. 태종2.3.1.4. 단종2.3.1.5. 중종2.3.1.6. 인종2.3.1.7. 선조2.3.1.8. 인조2.3.1.9. 효종2.3.1.10. 현종2.3.1.11. 숙종2.3.1.12. 경종2.3.1.13. 영조2.3.1.14. 진종2.3.1.15. 장조2.3.1.16. 정조2.3.1.17. 순조2.3.1.18. 문조2.3.1.19. 헌종2.3.1.20. 철종2.3.1.21. 고종2.3.1.22. 순종
2.3.2. 금책
2.3.2.1. 고종2.3.2.2. 순종
2.3.3. 죽책
2.3.3.1. 선조2.3.3.2. 현종2.3.3.3. 숙종2.3.3.4. 경종2.3.3.5. 영조2.3.3.6. 진종2.3.3.7. 장조2.3.3.8. 정조2.3.3.9. 순조2.3.3.10. 문조2.3.3.11. 헌종2.3.3.12. 순종
2.3.4. 교명
2.3.4.1. 인조2.3.4.2. 효종2.3.4.3. 현종2.3.4.4. 숙종2.3.4.5. 경종2.3.4.6. 영조2.3.4.7. 진종2.3.4.8. 장조2.3.4.9. 정조2.3.4.10. 순조2.3.4.11. 문조2.3.4.12. 헌종2.3.4.13. 고종2.3.4.14. 순종
2.4. 의의

[clearfix]

1. 조선왕실의 어보

1.1. 개요

이 문서의 어보는 조선왕실(대한제국 황실)에서 왕과 왕비, 상왕과 대비, 왕세자와 왕세자빈(황태자와 황태자비)등에게 묘호와 시호, 존호와 휘호(왕후만 해당)를 올릴 때 올린 보인과 왕이 왕비와 세자, 세자빈 등을 책봉할 때 내린 보인이다. 조선국왕지보, 천자지새, 시명지보 등 군주의 권능을 나타내는 국새 및 어새와는 분리되는 개념으로 종묘 등에 보관되어 왔다.
이하의 목록은 현재 현존이 확인되는 것으로 특별한 각주가 없는 한 조선왕실의 어책과 마찬가지로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2. 목록

1.2.1. 목조

1.2.2. 익조

1.2.3. 도조

1.2.4. 환조

1.2.5. 태조

1.2.6. 정종

1.2.7. 태종

1.2.8. 세종

1.2.9. 문종

1.2.10. 단종

1.2.11. 세조

1.2.12. 예종

1.2.13. 덕종

1.2.14. 성종

1.2.15. 중종

1.2.16. 인종

1.2.17. 명종

1.2.18. 선조

1.2.19. 원종

1.2.20. 인조

1.2.21. 효종

1.2.22. 현종

1.2.23. 숙종

1.2.24. 경종

1.2.25. 영조

1.2.26. 진종

1.2.27. 장조

1.2.28. 정조

1.2.29. 순조

1.2.30. 문조

1.2.31. 헌종

1.2.32. 철종

1.2.33. 고종

1.2.34. 순종

1.2.35. 의민황태자


2. 조선왕실의 어책

2.1. 개요

국왕과 세자, 왕비, 세자빈 등을 책봉하거나 그들에게 묘호, 시호, 존호 등을 올릴 때 그 이유를 적은 책을 어책이라고 한다. 책봉(冊封)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고대 중국에서는 작위를 임명함에 있어 책으로 명하고,도장으로 증명했기 때문에 어책과 어보는 한 세트라고 할 수 있다.
어책은 크게 황제나 황후, 황태자와 황태자비가 받는 금책과 왕이나 왕비가 받는 옥책, 세자와 세자빈이 받는 죽책이 있으며 더하여 왕이 봉작의 이유를 설명한 비단으로 된 교명(敎命)이 있다. 조선왕조에는 옥책이 가장 많이 전해지며 총 258책이 현존한다. 그 다음으로 죽책이 43점, 금책이 4점 순이고, 종류를 달리하는 교명도 32점 전해지고 있다.
이들 유물은 대부분 국립고궁박물관에 전해지고 있으며 조선왕실의 어보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2.2. 종류

2.3. 목록

2.3.1. 옥책

2.3.1.1. 태조

2.3.1.2. 정종

2.3.1.3. 태종

2.3.1.4. 단종

2.3.1.5. 중종

2.3.1.6. 인종

2.3.1.7. 선조

2.3.1.8. 인조

2.3.1.9. 효종

2.3.1.10. 현종

2.3.1.11. 숙종

2.3.1.12. 경종

2.3.1.13. 영조

2.3.1.14. 진종

2.3.1.15. 장조

2.3.1.16. 정조

2.3.1.17. 순조

2.3.1.18. 문조

2.3.1.19. 헌종

2.3.1.20. 철종

2.3.1.21. 고종

2.3.1.22. 순종

2.3.2. 금책

2.3.2.1. 고종

2.3.2.2. 순종

2.3.3. 죽책

2.3.3.1. 선조

2.3.3.2. 현종

2.3.3.3. 숙종

2.3.3.4. 경종

2.3.3.5. 영조

2.3.3.6. 진종

2.3.3.7. 장조

2.3.3.8. 정조

2.3.3.9. 순조

2.3.3.10. 문조


* 문조
문조 봉왕세자 죽책(文祖封王世子竹冊) [순조]
문조 상시호 죽책(文祖上諡號竹冊) [순조]
* 신정왕후
신정왕후 봉왕세자빈 죽책(神貞王后封王世子嬪竹冊) [순조]

2.3.3.11. 헌종

2.3.3.12. 순종

2.3.4. 교명

2.3.4.1. 인조

2.3.4.2. 효종

2.3.4.3. 현종

2.3.4.4. 숙종

2.3.4.5. 경종

2.3.4.6. 영조

2.3.4.7. 진종

2.3.4.8. 장조

2.3.4.9. 정조

2.3.4.10. 순조

2.3.4.11. 문조

2.3.4.12. 헌종

2.3.4.13. 고종

2.3.4.14. 순종





2.4. 의의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은 조선 왕실의 의장용 도장과 교서로서 1392년부터 1966년까지 570여 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제작되어 온 것이다. 이것은 당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등의 시대적 변천상을 반영하여 제작되어 당대의 시대상을 지금의 우리에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뛰어난 가치를 지닌 기록물이다. 당시의 정치, 문화 전반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종합적인 기록물로써 세계기록유산 가운데 대부분은 종이에 기록된 것이 보통이지만 조선왕조의 어보와 어책은 대나무, 옥, 금동, 은, 백철, 오색 비단 등에 글씨를 쓰거나 새겼다. 이것은 기록유산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한국만의 독특한 형식이며, 더구나 인장과 문서를 종묘라는 의례를 행하는 공간에 비치하여 그것을 신성시 했다는 점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서 독창적인 형태와 인류 문화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어보와 어책은 유일본이다. 각 의례의 산유물로 하나씩만 제작하였으므로 현재 전해지는 것이 유일하여 대체 불가능한 기록물이다.
[1] Royal Seal and Investiture Book Collection of the Joseon Dynasty [2] Collection de sceaux royaux et livres d'investiture de la dynastie Joseon [숙종] [숙종] [숙종] [숙종] [숙종] [숙종] [숙종] [숙종] [숙종] [고종] [고종] [고종] [숙종] [숙종] [세종]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문종] [세종] [단종] [세종] [문종] [단종] [숙종]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숙종]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세조] [성종] [예종] [성종] [세조] [성종] [성종] [연산군] [순종] [연산군]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영조] [명종] [명종] [명종] [명종] [명종] [중종] [명종] [숙종] [선조] [선조] [광해군] [고종] [선조] [선조] [선조] [광해군] [고종] [선조] [선조] [광해군] [인조] [인조] [고종] [인조] [인조] [효종] [고종] [인조] [인조] [고종] [인조] [현종] [숙종] [숙종] [고종] [고종] [고종] [효종] [숙종]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숙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고종] [현종] [숙종] [숙종] [숙종] [경종] [영조] [영조] [고종] [숙종] [숙종] [경종] [영조] [고종] [숙종] [숙종] [경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고종] [숙종] [경종] [숙종] [숙종] [경종] [영조] [숙종] [경종] [영조] [영조] [경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정조] [고종] [고종] [경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고종]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정조] [정조] [정조] [순조] [순조] [순조] [순조] [고종] [영조] [영조] [정조] [정조] [고종]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고종] [영조] [영조] [정조] [정조] [정조] [정조] [철종] [고종] [고종] [영조] [영조] [정조] [정조] [정조] [정조] [순조] [철종] [고종] [고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순조] [고종] [고종] [영조] [정조] [순조] [순조] [고종] [고종] [정조] [정조] [정조] [순조] [헌종] [헌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순조] [순조] [헌종] [헌종] [헌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순조] [순조] [헌종] [헌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철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조] [철종] [철종] [고종] [순종] [헌종] [헌종] [철종] [철종] [고종] [순종] [철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종] [철종] [고종] [고종] [순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순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종] [의민황태자] [고종] [고종] [고종] [의민황태자] [순종] [숙종] [고종] [고종] [고종] [현종] [고종] [숙종] [숙종] [숙종] [고종] [숙종] [숙종] [영조] [영조] [명종] [349] 영조 당시 종묘제례를 지내다가 발견한 옥책의 한 조각이다. 이후 영조가 신하들에게 어느 왕대의 것인지 고증하게 하여 인종의 것임을 밝혀내고 아래의 옥책을 다시 만들어 바쳤다. [영조] [고종] [고종] [고종] [효종] [고종] [인조] [인조] [영조] [효종] [고종] [인조] [효종] [현종] [숙종] [숙종] [숙종] [고종] [현종] [영조] [고종] [효종] [현종] [현종] [고종] [숙종] [영조] [현종] [숙종] [숙종] [영조] [숙종] [경종] [영조] [영조] [고종] [숙종] [숙종] [숙종] [경종] [영조] [영조] [고종] [숙종] [숙종] [숙종] [경종] [영조] [영조] [고종] [숙종] [숙종] [경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고종] [영조] [경종] [영조] [경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고종] [고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고종]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정조] [정조] [정조] [순조] [순조] [순조] [순조] [고종] [정조] [순종] [정조] [순종] [정조] [철종] [고종] [고종] [정조] [순조] [철종] [고종] [고종] [순조] [고종] [고종] [정조] [순조] [순조] [고종] [고종] [순조] [헌종] [헌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순조] [순조] [순조] [헌종] [헌종] [헌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헌종] [헌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철종] [철종] [고종] [순종] [헌종] [헌종] [철종] [철종] [고종] [순종] [철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종] [철종] [고종] [고종] [순종] [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고종] [순종] [영친왕] [고종] [영친왕] [영친왕] [고종] [순종] [고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순종] [599] 원종의 생모 [영조] [용인대학교박물관] 소장 [영조]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인조] [효종] [인조] [현종] [현종] [숙종] [숙종] [숙종] [숙종] [경종] [경종] [615] 진종의 생모 [616] 장조의 생모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정조] [영조] [정조] [정조] [정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정조] [정조] [순조]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정조] [순조] [순조] [순조] [순조] [고종] [고종] [인조] [인조] [효종] [효종] [현종] [숙종] [숙종] [숙종] [숙종] [경종] [숙종] [경종] [경종]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영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영조] [영조] [정조] [정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조] [순조] [순조] [순조] [헌종] [헌종]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고종] [고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