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
한국개발연구원 역대 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47216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초대 김만제 |
2대 김기환 |
3대 안승철 |
4대 박영철 |
|
5대 구본호 |
6대 송희연 |
7대 황인정 |
8대 차동세 |
|
9대 이진순 |
10대 강봉균 |
11대 김중수 |
12대 현정택 |
|
13대 현오석 |
14대 김준경 |
15대 최정표 |
16대 홍장표 |
|
17대 조동철 |
}}}}}}}}}}}} |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출생 | 1961년 |
서울특별시 | |
학력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1]) 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 |
현직 | 한국개발연구원장 |
병역 |
육군
소위 복무 만료 (
석사장교) (1987년 2월 21일) |
약력 |
텍사스 A&M 대학교 조교수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재정경제부장관 자문관 ( 참여정부)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한국개발연구원 이사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 이명박 정부) 국민경제자문회의 거시금융분과 위원 ( 박근혜 정부) 한국개발연구원 거시금융경제연구부장 한국개발연구원 수석이코노미스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제17대 한국개발연구원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공공기관인. 현재는 제17대 한국개발연구원 원장이다.2. 생애
1961년 서울특별시에서 3남 1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84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198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석사장교로 선발되어 1987년 2월 21일 육군 보병 소위로 임관과 동시에 복무만료되어 병역을 마쳤다. 1991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991년부터 1995년까지 텍사스 A&M 대학교의 경제학과 교수를 지냈다. 이후 KDI에 재직하며 KDI 수석이코노미스트(2013~2016) 및 거시금융경제부장(2002~2009)을 수행한 바 있다.
|
KDI 수석이코노미스트 시절 |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로 재직하였으며(2006~2022),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을 (2016~2020)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
기재부 추천으로 금융통화위원 임명 |
이 외에도 그는 대통령 직속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2013~2016), 대통령 직속 미래위원회 위원(2008~2010), 부총리 자문관 겸 재정경제부 거시경제팀장(2005~2006), 국무총리 정책자문위원회 위원(2004), 대통령 인수위원회 자문위원(2003) 등의 활동을 하였다.
3. 경제학자
조동철 원장이 KDI에 입사했던 1990년대는 정부가 환율을 통제하고 있을 시기였다.당시 거시경제팀 소속이던 조동철 박사는 보고서[2] 혹은 세미나 등 여러 채널을 통해 IMF 경제위기 전부터 환율을 신축적으로 조정해야 대외부문 충격을 줄일 수 있다고 경고 했다. 그렇지 않으면 멕시코[3]처럼 경제위기를 겪을 것이라고 우려하였으나 당시 정부 경제기조는 환율자율화에 부정적이었고 결국 한국도 경제위기를 겪었다.
1997년 IMF에서 외화자금 지원 조건으로 고금리 정책을 주장하자, 조동철 박사는 IMF 관계자를 만나 고금리 정책을 반대했다고 한다.
한국 기업의 부채가 많은 것이 외환위기의 원인인데, IMF가 주장하는 정도의 금리면 한국 기업들이 다 쓰러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는 외환시장 불안정을 빌미로 고금리를 주장했다고 한다.
이후 환율 관련해서도 조동철 원장은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을 우려하고, 신축적인 환율 조정을 주장했다. 2003년 12월 재경부 기자실에서 신축적인 환율 조정이 필요하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이는 재경부 입장과 반대되는 발언으로 정부 기조와 반대되는 주장을 하지 말라는 압박을 받았다고 한다. [4]
3.1. 학술논문 및 보고서
- “A Utility Based Comparison of Some Model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pp. 23-45, (NBER Technical Working Paper no.128), 1993 (with Kenneth D. West, Hali J. Edison).
- “Industrialization, Convergence, and Patterns of Growth”, Southern Economic Journal, pp. 398-414, 1994.
- “The Predictive Ability of Several Models of Exchange Rate Volatility,” Journal of Econometrics, pp.367-391, (NBER Technical Working Paper no.152), 1995 (with Kenneth D. West).
-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Conditional Convergence Results,”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pp.669-681, November 1996.
- “Aggregate Demand Gap Based on a Simple Structural VAR,” Economics Letters, pp.228-234, February 2012.
- “Decomposing exchange rates of Asia into financial and real factors,” Asia-Pacific Journal of Accounting & Economics, Vol. 24, pp.377-386, 2017 (with Kyuesook Han).
- “Predictive Abilities of Inflation Expectations and Implications on Monetary Policy in Korea,” Korean Economic Review, forthcoming, 2022 (with Wankeun Oh).
- “Interest Rate, Inflation and Housing Price: With an Emphasis on Chonsei Price in Korea,” Monetary Policy under Very Low Inflation Rates, Edited by Andrew Rose and Takatoshi Ito, NBER, Chicago Press, pp.337-373, 2006.
- “Is Korea's Monetary Policy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Japan?,” Economic Stagnation in Japan, edited by Dongchul Cho, Takatoshi Ito, and Andrew Mason, Edward Elgar Publishing Inc., pp.202-231, 2018.
- “Declining Potential Growth in Korea,” with Kyooho Kwon, Sustaining Economic Growth in Asia, edited by Jeremie Cohen-Setton, Thomas Helbling, Adam Posen, and Changyong Rhee,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8.
- Macroeconomic Implications of Post-Crisis Structural Changes in Korea, With Lee-Jay Cho and Yoon Hyung Kim,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5.
- Global Economic Crisis: Impacts, Transmission, and Recovery, With Maurice Obstfeld and Andrew Mason, Edward Elgar, 2012.
- Growth, Crisis, and the Korean Economy, Routledge (Taylor & Francis), 2015.
- Economic Stagnation in Japan, With Takatoshi Ito and Andrew Mason, Edward Elgar Publishing Inc., 2018.
- “우리 경제의 역동성: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KDI 연구보고서 2014-03, 2015.
- “경제 세계화와 우리 경제의 위기대응역량”, KDI 연구보고서 2011-03, 2011.
- “KDI 경제전망”, 1995년 2/4분기~2008년 하반기 , (KDI 거시·금융경제연구부 공동).
- “On Controversies over the East Asian Growth Miracle”, KDI Working Paper Series no. 9712, 1997 (한진희 공저).
- “환율변동과 경상수지”, KDI 경제전망, 1995년 4/4분기 (이항용 공저).
- “금리의 10%대 진입 가능성 타진”, KDI 경제전망, 1996년 1/4분기 (오상훈 공저).
- “국제수지의 오차 및 누락에 대한 평가”, KDI 경제전망, 1998년 1/4분기.
- “신용경색의 분석적 이해 및 대응방향”, KDI 경제전망, 1998년 2/4분기 (신인석·함준호·나동민 공저).
- “엔화약세에 대한 평가 및 대응방향”, KDI 정책포럼, 제156호, 2002.01.
- “저금리시대의 부동산 가격과 통화·조세정책에 대한 시사점”, KDI 정책포럼 제166호(2003-04), 2003.07 (성명기 공저).
-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수출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분석”, KDI 경제전망, 2004년 2/4분기 (김동석 공저).
- “환율하락 및 유가상승의 경제적 파급효과”, KDI 경제전망, 2005년 1/4분기 (김동석 공저).
- “한국의 자연실업률 추정방법 비교연구”, KDI 정책연구시리즈 2003-04, 2003.12 (신석하 공저).
- “통화정책의 실물경제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KDI 정책연구시리즈 2005-13, 2005.12 (이항용, 김장렬, 조성훈 공저).
[1]
석사 학위 논문:
화폐화와 관련한 화폐수요 함수의 연구(1986)
[2]
조동철⋅김인철, 1997, 〈자본자유화에 따른 거시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신고전파 성장모형을 중심으로〉
[3]
멕시코는 1994년 경제위기를 겪음.
[4]
KDI, 위기 극복과 새로운 경제선진화 제시의 숨은 주역, 나남,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