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8:17:05

제행무상

고사성어
모두 제 행할 행 없을 무 항상 상
1. 개요2. 상세3. 유래4. 기타

1. 개요

모든 것은 한결 같을 수 없으며 모두 변한다는 뜻이다. 세상의 모든 일이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로 해석하기도 한다

물질적인 것이든 정신적인 것이든 모든 현상은 시시각각으로 생성되고 소멸하며 항상 변천한다는 것으로 # 만물은 항상 돌고 변하여 잠시도 한 모양으로 머무르지 않으므로 인생은 덧없는 것이며, 한번 성한 것은 반드시 쇠하게 마련이라는 성자필쇠의 이치를 담고 있다.

불교의 핵심 개념인 삼법인의 하나로 간단히 '무상'이라고도 하며, 팔리어로는 anicca, 산스크리트어로는 anitya라고 한다.

2. 상세

불교에서 깨달음 근원이 되는 말인데, "어차피 다 부질없다"는 허무주의라기보다는 "맹목적이고 극단적이지 말라"는 중도, 고정관념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가 더 강한 말이다. #

불교에서 번뇌는 집착과 욕심에서 비롯된다고 가르치니, 뜻 자체는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와 똑같다. 좋은 때도 흘러가버리니 교만하지 말고, 나쁜 때 또한 흘러가버리니 절망하지 말라는 뜻처럼, 제행무상도 무엇이든 영원한 건 없다는 뜻.

금강경에서는 이것을 아래의 한 문장으로 정리하고 있다.
應無所主 而生己心(응무소주 이생기심)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어라
이를 풀이하면 '무언가에 집착하지 말라' 정도에 뜻이 되겠다. 더더욱 깊게 풀이하자면 "영원한 것은 없으므로 집착해서 해를 입지 말고, 얻어서 기쁘다면 잃어버릴 것임에도 얻은 기쁨을 크게 갖고, 잃어버려도 슬퍼하거나 괴로워 하지 말고, 얻지 못했다면 언젠가는 잃어버릴 것이고, 지금 얻지 못해도, 영원한 것은 없으니 크게 상심하지 말라"는 더더욱 깊은 미덕이 된다. 무상하다는 건 의미가 없다는 게 아니라 영원하지 않다는 것이니 전자로 해석하면 허무주의가 돼버린다.

이러한 이치를 사람의 인생에 대입하면 인생무상이라는 말이 된다.

3. 유래

석가모니 부처는 이 한 마디를 얻기 위해서 자신의 목숨도 내주었는데, 대반열반경에 등장하는 설산동자 반게살신(雪山童子 半偈殺身)[1] 대목이 그것이다. 싯다르타의 전생에 설산동자라는 이름으로 설산(히말라야)에서 명상에 잠겨 있던 어느 날 공중에서
諸行無常 是生滅法(제행무상 시생멸법)
모든 것은 무상하나니, 이것이 곧 생멸의 법칙이다.
라는 시구가 들려왔고, 설산동자는 이 말이 자신이 찾던 깨달음이라며 기뻐하고 사방을 두리번거렸으나, 사람은 없고 오직 나찰만이 험악한 얼굴로 서 있었다. 설산동자가 "방금 ‘제행무상 시생멸법’이라는 시구를 그대가 읊었는가?"라고 했고, 나찰이 그렇다고 대답하자 "그건 반쪽이고 뒷부분이 더 있을 거 같은데 나머지 부분도 들려달라"고 부탁했는데, 나찰은 "들려주고 싶지만 지금 나는 너무 배가 고파서 더 이상 말을 할 수가 없소. 만일 그대의 뜨거운 피를 준다면 나머지 시구를 들려줄 수 있소."라고 했고, 설산동자는 기꺼이 자신의 몸을 내줄 테니 마지막 시구를 들려달라고 다시금 부탁했다. 이에 나찰이 뒷부분을 마저 읊었다.
生滅滅已 寂滅爲樂.(생멸멸이 적멸위락)
생멸이 끝나면 곧 고요한 열반의 경지이니, 그것이 극락이니라.
설산동자는 나찰과의 약속대로 높은 나뭇가지 위에 올라가서 몸을 던졌다. 그런데 나찰은 설산동자의 몸이 땅이 닿기 전에 인드라(제석천)로 변해서 설산동자의 몸을 받아서 땅에 내려놓았다. 경전에는 이때 여러 천신들이 모여 설산동자의 발에 절을 하면서 깨달음에 대한 구도의 정신과 서원을 찬탄하였다고 한다. #

4. 기타

같은 불교 문화권임에도 한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말이 된 것과 달리[2] 일본에서는 번번이 쓰인다. 일본의 유명한 고전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첫 구절 "기원정사의 종소리는 제행무상의 울림이요, 사라쌍수의 지는 잎은 성자필쇠의 이치러라"라는 구절로 유명한 고사인데, 석가모니가 열반에 들면서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으며 태어난 것은 결국 죽는 것이니 내가 죽는다 해서 슬퍼하지 말고 내가 남긴 법에 따라 스스로를 진리의 등불이자 섬으로 삼아서 그에 의지해 살아가면 된다"고 아난다에게 설법했다는 열반경의 구절을 읊은 것이다. 애초에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주제가 "이기든 지든 인간은 다 똑같이 부질없고 무상하다"는 것이니.[3]

[1] 설산동자가 나머지 반의 게송(시)에 제 몸을 죽이다. [2] 조선 초기 숭유억불 기조로 인해 불교의 기세가 많이 줄었고, 구한말 서양 기독교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기독교 신자 수가 불교 신자와 비슷해진 면도 있다. 다만, 뜻이 비슷한 인생무상으로 번역되곤 한다. [3] 헤이케모노가타리는 기존 권력층인 일본 황실(조정)과 헤이케 일족 뿐만 아니라 작중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마치 종소리처럼 한번 울리고 사라지는 이야기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