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11:32:19

인하대학교/학부/경영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하대학교/학부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인증 현황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파일:SKKU_Emblem.svg
건국대학교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파일:UNIST_emblem.svg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세종대학교 우송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이화여자대학교 인하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파일:KAIST_emblem.svg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중앙대학교 전남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
* 본교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로 캠퍼스명을 기재하지 아니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5BAC,#003e8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기본정보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역사 ||<width=25%> 재단 ||<width=25%> 상징 ||<width=25%> 출신인물 ||
제도
입학 학부 학사제도 대학원
||<-5><tablewidth=100%><bgcolor=#005bac> 생활 ||
학교생활 캠퍼스 교통 주변환경 응원가
관련 기관
한진그룹
( 대한항공)
인하대병원
(인천 중구 인하대병원·국제의료센터·김포메디컬센터)
}}}}}}}}}}}}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단과대학
경영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문과대학 예술체육대학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의과대학
국제학부 미래융합대학 프런티어학부대학
바이오시스템융합학부


1. 개요
1.1. 마스코트
2. 학부
2.1. 경영학과2.2. 아태물류학부2.3. 글로벌금융학과2.4. 국제통상학과

1. 개요

파일:sdfsdfsdfsdfsdfsdfsd.jpg
인하대학교 6호관
"leading business school in the
Asia-Pacific region"
파일:인하대6호관전경.jpg
인하대학교 6호관 (야경))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인하대에서는 인문계열 학과들이 공대에게 인지도가 밀려서 자칫 저평가되기 쉬우나, 실제로는 인문계열 역시 상당히 선전하는 편이다. 그 대표적인 예시가 경영대학.

아태물류학부를 비롯하여, 글로벌금융학과, 국제통상학과 등이 인문계열의 경영대학 소속이기도 하고, 그 외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경영/경제학과 등도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는다. 사범대 역시도 인천시의 교원 쿼터를 장악하고 있다. 또한 인천에서 철학과 등의 제대로 된 순수인문계열 학과를 갖춘 유일한 학교라는 점도 눈여겨 볼 만 하다. 2017년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인하대가 8위를 거두며 2016년 10위에 이어 2년 연속 상위 순위를 유지했고, 오랜만에 10위 내 진입에 성공한 성과의 비결이 그동안 저평가되던 인문사회계열에 대한 평가가 이전보다 공정히 평가된 결과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인문사회계열의 연구비 증가가 대학 종합 순위의 상승까지 이끌었다는 기사. 이는 인하대가 외부에 알려진 것보다 인문계열의 인지도를 올리기 위해 많이 애썼다는 반증이기도 하며, 상황이 좋아진다면 앞으로 이것보다 더 성장할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이듬해 2018년에는 인하대 순위 자체는 11위로 전보다 내려갔지만 인문사회 분야는 9위로 높은 순위를 유지했다. ##

인하대 경영대학은 2014년에 전 세계적으로 5% 미만의 대학만이, 미국에서는 10% 미만의 대학만이 받는 AACSB 인증을 취득했다.[1] 2024년 기준 AACSB 인증을 취득한 우리나라의 대학은 인하대를 포함하여 총 18개의 대학( KAIST, 고려대, 연세대, 서강대, 성균관대, 인하대, 한양대, 한양대 ERICA, 한국외대, 경북대, UNIST, 이화여대, 건국대, 동국대, 중앙대, 전남대, 우송대[2], 세종대)뿐이다.

2017년 이전까지는 경영대학과 경상대학으로 나뉘어 있었으니 2017년부터 경영대학 하나로 통합되었고 그 와중에 경상대 소속이던 경제학과는 사회과학대로 이동했다.

1.1. 마스코트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의 마스코트
경뇽이
파일:인하대학교 경영대학 마스코트 경뇽이.png

2023년 경영대학 학생회에서 주최한 '경영대 마스코트 공모전'에서 선출된 경영대학의 마스코트이며 경영대에서 제작하는 카드뉴스 및 홍보물 등에 사용되고 있다.[3] 이름은 경뇽이로 크고 거대한 공룡처럼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학생들이 미래에 거대한 기업을 이끄는 뛰어난 경영자로 거듭났으면 하는 바람을 담고 있다.

2. 학부

2.1. 경영학과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仁荷大學校 經營大學 經營學科
Department ofBusiness Administration
-
<colbgcolor=#005BAC,#191919> 상징색 <colbgcolor=#ffffff,#191919> -
로고의미 - [4]
FM -[5]
연혁 1971년 경영학 설립
2002년 독립된 단과대학으로 개편
링크 경영학과 홈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학생회 인스타그램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6]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이론적 무장과 동시에 '글로벌 마인드'와 '윤리적 비전'을 겸비한 '진정한 글로벌 경영인'을 양성하겠다는 이념을 바탕으로 1971년 설립되었고, 이후 2002년 독립적인 단과대학인 경영대학의 모태가 되었다.

지식경제를 선도할 경영인으로서 필요한 경영학 전문이론을 제공하고, 동시에 실무적 체험지식을 학습하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해외 교육프로그램과의 연계 및 인턴십 등 다양한 체험교육의 제공을 통해 이론적 토대위에서 실전경험과 국제적 감각을 갖춘 인재를 배출하려는 것이 교육 목표이다.

인사조직전략, 파이낸스, 마케팅, SSOM(생산관리), 경영정보, 회계학 등의 전공분야에서 다양한 과목을 설강하고 있으며, 산업계의 새로운 교육수요를 반영하여 전공간 융합트랙인 혁신경영, CSR(사회책임경영)을 운영하고 있다. 다양한 교과목을 통하여 본인의 적성과 사회진출 분야에 맞게 심화학습을 할 수 있으며, 3학년 진학 때 세부전공 트랙을 반드시 선택해야 하므로 본인이 가장 중점적으로 배우고자 하는 분야에 전문성을 가질 수 있다. 각 트랙을 선택하여 이수한 학생들에게는 진로선택과 취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공식적인 인증서가 수여된다.

CPA 시험이 우대받는 국내 경영학과의 사정상 보통 거의 절반 가까운 학생들이 회계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재무와 마케팅 순으로 갈리게 된다. SSOM MIS, HR 분야를 전공하는 학생들은 손에 꼽을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MIS도 요새 IT열풍으로 인기 많다. 경영학 전공만으로는 전문성을 기르기 어렵다 보니 재무회계는 CPA 등의 자격증 공부, 생산관리나 MIS는 산업공학이나 컴퓨터공학 복수전공 등으로 한 분야에 대해 깊은 지식을 갖도록 노력하는 것을 권한다.

외국인 유학생과 교환학생이 매우 많다고 한다. 특히 프랑스에서 많이 오는 편이다. 정규 유학생들은 우즈베키스탄에서 많이 온다. 예시: #

2021년부터 국내 최초의 ESG 관련 학과가 대학원 과정에 생겼다. 경영학과 김종대 교수가 주임교수를 맡게 된다.

2.2. 아태물류학부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아태물류학부
仁荷大學校 經營大學 亞太物流學部
Asia Pacific Schoolof Logistics
파일:인하대학교하태물류학부상징.png
<colbgcolor=#005BAC,#191919> 상징색 <colbgcolor=#ffffff,#191919> -
로고의미 아태물류학부의 약칭.
FM -
연혁 2004년 3월 설립
링크 아태물류학부 홈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학생회 인스타그램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7]

Asia Pacific School of Logistics

글로벌 물류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2004년 개설되었다. 설립 후 교육부의 특성화우수대학(2003년~2004년 및 2006년~2008년)과 국토교통부의 물류특성화 인력양성사업(2010년~2014년)에 선정되어 대규모 국고지원을 지속적으로 받아 왔으며, 물류전문대학원과 연계되어 성장하고 있다.

학과 설립 초기에는 대학원 포함 100% 장학금, 일정 금액 용돈 지원, 학부 학생 전원 대상 해외연수라는 파격적인 장학혜택과 함께 진학 시 한진그룹 과장 특채라는 소문까지 돈 탓에 일부 해에는 고려대학교 인문대학과 비슷한 입결을 보이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이 특채는 지금은 위헌 판결을 받고 사라진지 오래이고,[8] 장학 혜택 역시 이후 사장되면서 현재에는 인하대 문과 계열 학과 중 최상위권 입결을 보이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물류학 전공의 희소성, 탄탄한 커리큘럼과 높은 취업률로 인기가 많은 학과다. 물류 대기업이나 관련 직무에서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으며, 동라인 대학이나 학과와 비교할 때 취업 면에서 월등한 실적을 보인다. 이에 복수전공과 전과 제도를 통해 타과에서 유입되는 인원이 많으며, 실제로 전공 수업에서 복수전공이나 전과를 준비하는 다양한 타과 학생들을 만날 수 있다. 아태물류학부의 취업 분야는 매우 다양한데 물류업은 기본이며, 제조업 내 물류부서, SCM 직무에 취업하거나 생산관리/통계학/IT/컴퓨터공학 등을 복수전공해 아예 다른 업종에 진입하기도 한다. 이 밖에도 관세사, 회계사 등 전문직 시험에 합격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학부 취업률은 2021년 기준 79.4%에 달하며, 물류전문대학원이나 법학전문대학원으로 진학하는 인원도 일부 존재한다.

경영대학에 소속되어 있지만 사실상 별개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다. 신입생 OT도 단과대끼리 모여가는 타 과들와 달리 아태물류학부는 따로 간다. 심지어 과잠에도 亞太物流를 대문짝만하게 박고 Inha University를 아래 필기체로 적는 포스를 보여준다.

과 내에 5개 학회가 운영되고 있으며, 학회를 바탕으로 물류 기업에 현장 실습을 가거나 현직에 있는 선배를 만나 멘토링을 받는 등 다양한 진로 관련 활동을 경험할 수 있다.

물동량이 많은 중국 물류 시장 연구, 중국 대학과의 교류가 활발하고, 중국 유학생들도 상당히 많다. 그러나 인터넷에서 흔히 돌아다니는 '한국어 못하고, 과제에 관심 없고, 노는 것만 하는' 중국 유학생 이미지만 보고 무시하다가는 큰코 다칠 수 있다. 매년 한국 학생들을 위협하는 학점귀신들이 한두명씩 꼭 등장한다.

2.3. 글로벌금융학과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글로벌금융학과
Global Finance &Banking
파일:인하대글로벌금융학과상징.png
<colbgcolor=#005BAC,#191919> 상징색 <colbgcolor=#ffffff,#191919> Imperial Purple
로고의미 지구본(글로벌을 의미)
FM -
연혁 2009년 설립
링크 글로벌금융학 홈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학생회 인스타그램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9]

Department of Global Finance and Banking

금융특성화 학과로 국제금융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009년 신설된 특수학과이다. 국내 최초 금융기관 경영 및 재무금융 전문학과로서 금융에 특화된 차별화된 교과과정을 가지고 있다. 글로벌금융학과의 교과과정은 금융전공 지식의 심화와 함께, 금융기관과 기업체의 니즈를 반영하여 설계된 금융 실무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맞춤 교과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학, 통계학 분야와의 연계성을 지닌 교과과정을 통하여 금융공학과 관련된 심화학습을 할 수 있다.

초기에는 다군 버프로 엄청난 입결을 보였음에도 커리큘럼 관리가 안 돼서 마케팅원론, 생산관리 수업을 듣게 하는 삽질을 거쳤으나, 선배 학번들과 교수들의 노력으로 현재는 재무관리, 금융 커리큘럼 위주로 많이 안정됐다.

2025학년도 모집부터 경영학과와 글로벌금융학과가 경영학부로 통합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글로벌금융학과는 경영학부에 소속하게 되었으며, 과명도 파이낸스경영전공으로 변경된다.

2.4. 국제통상학과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국제통상학과
仁荷大學校 經營大學 國際通商學科
Department ofInternational Trade
파일:인하대학교국제통상학과상징.png
<colbgcolor=#005BAC,#191919> 상징색 <colbgcolor=#ffffff,#191919> -
로고의미 국제통상학과의 약칭
FM -
연혁 -[10]
링크 국제통상학과 홈페이지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학생회 인스타그램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1]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아글국의 "국"이다 [12]

중국 일본 지역학을 접목한 차별화된 교육을 통하여 이론과 현실감각을 겸비한 인재와 보다 현실적인 글로벌 통상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추구한다.

특이한 건 처음 생겼을 당시에는 교내 특성화 학과이기 때문에[13] 복수전공, 부전공이 금지된 상태였다는 것이다. 사실 설령 금지가 아니었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을 하기 힘들었다. 당시 이수학점이 무려 150학점(현재는 130학점)이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2000년대 중반에 입학한 학생들은 2~3학년때까지 토나오는 생활을 하다가 4학년 즈음 이수학점이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널널한 4학년 생활을 보내기도 했다. 당시 CPA를 준비하던 학생들에게는 상당히 고마운 이수학점 조정이었다.

이 학과의 정승연 교수가 20, 21대 총선에서 보수진영 후보로 연수구에 출마한 이력이 있다. 두번 다 박찬대에게 밀려 낙선했다. 재미있는 것은 박찬대 의원은 경영대 졸업생 출신이라는 것이다.

자유무역협정(FTA) 전문가 정인교[14] 교수가 재직하고 있다. # 참고로, 이 교수가 하는 FTA강의는 MOOC로도 들을 수 있다.

국제통상학과 졸업생들의 진로 로드맵



[1] AACSB(Association to Advance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 International : 국제 경영대학 발전협의회) 인증은 경영학 분야의 가장 권위 있고 대표적인 국제 인증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AACSB에서는 전략 운영, 교수진, 교과과정, 학습목표 성취 등에 관한 21가지의 기준과 주요 필수지표(전공과목 전임교원 강의비율, 적격 교원 충족도 등)에 의거하여 고등교육 기관의 경영학 분야(경영학, 회계학)에 대한 평가, 심사 및 인증을 수여하고 있다. [2] 흔히 말하는 우송대학교가 아니라 우송대학교 솔브릿지국제경영대학을 말하는 것이다. 우송대 총장인 존 앤디컷이 취임하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려는 목표로 설립한 경영대학이다. 입학생들은 전원 4년 장학금을 받으며 교수진, 학생들도 대부분 외국인이며 모든 수업은 100% 영어로 진행된다. 게다가 조지아 공대 외 여러 외국의 유수의 대학들과 복수학위제를 운영하고 있고, 전형도 죄다 외국어 특기자 전형과 영어면접이 있는 학생부 종합전형뿐이다. 한 마디로 우송학원이 작정하고 만든 학과. [3] 경영대학 학생회 instagram 마스코트 관련 게시물 [4] 인하대학교 경영학과의 경우, 인원수가 많아 소모임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각 소모임별로 각기 다른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5] 인하대학교 경영학과의 경우, 인원수가 많아 소모임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각 소모임별로 FM이 다르다. [6] 궁금한게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보자 [7] 궁금한게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보자 [8] 이후 한진이 ‘인천 소재 대학 물류학과 학생’으로 특채 조건을 바꿨으나, 인천 내 대학 중 물류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인하대학교 밖에 없다. 이후 타 대학과의 형평성 문제로 특채가 폐지되었다. [9] 궁금한게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보자 [10] 1970년대 탄생한 무역학과를 계승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정확한 연혁에 대해서는 홈페이지에 나와있지 않다. [11] 궁금한게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보자 [12] 아태물류학부,글로벌금융학과,국제통상학과 [13] 아태물류학부보다도 먼저 생겼다. [14] 국제통상 전문가라는 이력을 바탕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 전략물자관리원장으로 발탁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42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4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