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08:30:04

인천 도시철도 3호선/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천 도시철도 3호선
1. 1기 계획2. 2기 계획3. 3기 계획4. 4기 계획5. 5기 계획

1. 1기 계획

3기 서울 지하철 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64ca1><colcolor=#fff> 기본 계획
9호선
개화역~ 감일역
10호선 11호선
12호선
왕십리역~ 광운대역
3호선
수서역~ 오금역
추가 계획
황학~마들 경전철 관악구 순 환 경전철 신도림~DMC 경전철
강남구 순 환 경전철 홍대입구~길음 경전철 가오리~장한평 경전철
연계 계획
(구)인천 3호선
온수역~ 신천역
수도권 간선전철 계획 수도권 순환전철 }}}}}}}}}


이 계획이 처음 공개된 것은 1990년대 말로, 이 때 당시에는 온수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직결하여 부천시청역 - 부평구청역 - 인천가좌역 - 도원역 - 남인천역 - 예술회관역 - 남동구청역 - 인천대공원역으로 이어지는 노선이었다. 그러나 2001년 해당 계획은 잠정보류되었고 부천시의 추진으로 초기 3호선 계획 중 온수역~ 부평구청역 구간을 먼저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이 먼저 추진되었다. 이렇게 되면서 인천 도시철도 3호선과 7호선이 직결운행을 하는 형태가 되었고 3호선 계획이 추진될 때 인천 3호선은 온수까지 운행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 또한 서울 지하철 11호선을 신월동에서 신정로를 따라 연장하여 이 노선과 직결하는것 또한 검토되었다[1]. 동선을 보면 경인선의 도심 진입 수요는 11호선 직결계통, 강남 진입 수요(신도림 경유 2호선 환승)는 7호선 직결계통으로 분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3호선 계획이 2기 계획으로 대체되고 서울 3기 지하철 계획이 외환위기로 백지화면서 결과적으로 서울 7호선이 인천광역시 서구까지 가게되었다.

한편 1기 계획 중 남동구청역~ 인천대공원역 구간은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대신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 당시 노선색은 빨간색으로 계획되었는데, 이는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 시절 로고 설명에도 언급되어 있다.[2]

2. 2기 계획

파일:attachment/incheonline3.jpg
인천 대순환선 (2기)[3]

그러다 2009년에 발표된 2025 도시계획에 새롭게 다듬어져, 순환선으로 재추진된다. 발표 당시에는 41개역 55km로 발표되었고, 총 4단계에 걸쳐서 건설할 계획을 밝혔다.
이 노선과 함께 주안역~송도국제도시 간 경전철이 완성되면 인천 시내 구간을 격자 형태로 구석구석 잇게 되면서 인천 내부를 도시철도로 각 생활권이 연계되는 것이 기대될 수 있다. 다만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4] 해당 연선에서 공항철도를 도시철도로 이용해야 하는 경우 2번 이상 환승은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일단 현 계획대로 개통한다면 청라역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 환승, 아시아드경기장역(공촌사거리)에서 인천 2호선 환승, 경인교대입구역에서 인천 1호선 환승으로 공항철도와 연계가 가능해진다.

이후 시간이 흘러서 3호선 추진이 흐지부지 되나 싶었지만,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 발표 당시 '대순환선' 계획이 남은 것으로 보아 아직 인천시에서 구상중에 있음이 밝혀졌다.

해당 역 목록은 2009년 당시 발표된 역 위치이며 1호선, 7호선[5] 인천 1 2호선, 수인선과의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가칭이며, 역번도 가번이다. 다만 발표 당시에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선형이 서곶로 직통이 아닌 약간 방향을 틀어 아시아드 주경기장으로 틀어진 부분이 반영된 부분이 있어 일부 내용은 계획과 다를수 있다.

3. 3기 계획

해당 역 목록 중 1호선, 7호선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 수인·분당선과의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가칭이며, 역번도 가번이다.[6][7]

====# 대순환선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 도시철도 대순환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남부순환선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천 도시철도 남부순환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4기 계획

3기 계획이 폐기되고 인천 도시철도 주안송도선이 서쪽 구간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논현 연장선이 동쪽 구간을 가져갔다. 자세한 내용은 인천 도시철도 주안송도선 문서 참조.

그러나 현재 인천시에서 2040년 인천도시기본 계획안에 새로운 인천 도시철도 3호선에 대한 새로운 계획이 실렸다.

현재 발표된 신 인천 3호선의 기본배경은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중구~동구~ 청라국제도시~검단신도시 등 신도시와 원도심을 잇는 목적으로 서울과의 연계가 아닌 구도심과 신도심간의 연결을 목적으로 짓는다고 한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새롭게 계획되고 있는 신 인천3호선은 현재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기점인 송도달빛축제공원역에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인천~김포 구간을 따라 원도심의 핵심인 수도권 전철 1호선 동인천역 청라국제도시의 중심인 003정거장을 거쳐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역까지 총 연장 약20km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이 노선을 통해 현 원도심인 중구와 동구의 철도 교통망을 확충시켜 원도심을 활성화시키는데 이바지하겠다는 구상이다.

결국 순환선으로서의 계획은 완전히 폐기되고 다시 횡축형 노선이 새롭게 지어질 것이고, 고속도로를 따라가기에 선형이 일자로 곧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5. 5기 계획

그러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유정복 시장이 다시 부임함에 따라 3기 계획이었던 인천 대순환선의 계획이 부활했다. 다만 대순환선과 함께 추진할 계획이었던 남부순환선은 일부 구간이 주안송도선으로 대체됐다.

유정복 시정 3년차에 접어드는 2024년 12월 23일 순환 노선 형태의 3호선 1단계 구간 신설 계획이 공개됐다. 인천시가 발표한 제2차 인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르면 송도 검단선(가칭)으로 명명된 이 노선은 송도국제도시 제물포구 원도심(신포동·동인천), 청라국제도시를 거쳐 검단신도시로 향하는 종축 경로다. 시점인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을 출발해 골든하버역~ 신포역~ 동인천역~ 청라국제업무단지역~ 청라국제도시역~ 왕길역~ 검단호수공원역까지 34.64㎞의 경전철 노선을 부설하겠다는 계획이다. 차량기지는 수도권 매립지 드림파크야생화단지 인근에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파일:incheon_3rd_subway_2024.png
2024년 12월에 공개된 인천 도시철도 3호선(송도검단선) 계획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I301 0.0 송도달빛축제공원 松島月光祝祭公園 ?? ?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1호선 연수구
I302 - 302정거장 ? ?? ?
I303 - 303정거장 ? ?? ?
I304 - 304정거장 ? ?? ?
I305 - 305정거장 ? ?? ? 제물포구
I306 - 306정거장 ? ?? ?
I307 - 신 포 新 浦 ?? ?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I308 - 동인천 東仁川 ?? ?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I309 - 309정거장 ? ?? ?
I310 - 310정거장 ? ?? ?
I311 - 311정거장 ? ?? ? 서구
I312 - 312정거장 ? ?? ?
I313 - 청라국제업무단지 靑羅國際業務團地 ?? ? 파일:Seoulmetro7_icon.svg 7호선
I314 - 청라국제도시 靑羅國際城 ?? ? 파일:AREX_icon.svg 공항철도
I315 - 왕 길 旺 吉 ?? ?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2호선 검단구
I316 - 316정거장 ? ?? ?
I317 - 317정거장 ? ?? ?
I318 - 318정거장 ? ?? ?
I319 - 검단호수공원 黔丹湖水公園 ?? ? 파일:Incheonmetro1_icon.svg 인천 1호선

이 노선이 완성되면 간접적으로나마 인천을 한 바퀴 도는 순환형 도시철도 노선이 완성되기는 한다. 검단호수공원역에서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인천의 동부 지역을 도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이미 있고 송도검단선이 지어지면 서부 지역을 도는 노선과 동부 지역을 도는 노선이 연결되기 때문이다.


[1] 이것이 실현되었다면 광역시 지하철 노선 중 최초의 대형전철 노선이 되었을 것이다. 서울 7호선의 인천 구간이 인천 도시철도 사업으로 계획되어, 7호선 석남역 연장 이후 석남역~ 삼산체육관역 인천 도시철도 범주에 포함되었다. [2] 참고로 여기서 하늘색 1호선, 노란색 2호선을 의미한다고 한다. 다만 2호선의 경우 실제 개통 때는 주황색으로 정해졌다. [3] 해당 그림에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역 이후 구간 연장은 인천 북항 재개발지역으로 수정한다고 밝혀 논란이 있었으나 우여곡절 끝에 청라국제도시 연장으로 수정되었다. 여담으로 점선으로 관통하는 것은 SK인천석유화학 공장 설비시설을 지하로 관통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힘들다. [4] 설령 공항철도 연계를 위해 노선을 수정한다 하더라도 이북으로 올라갈 때 주변 거주인구가 희박할 뿐더러 수도권 매립지, 경인 아라뱃길, 계양산 등의 장애물들이 있어서 힘들다. [5] 003정거장 [6] 하지만 남부 순환선 계획은 난공사의 연속일 듯 하다. 현재 상황으로는 전 구간은 커녕 남부 순환선도 힘들듯 싶다. [7] 다만 역번은 이미 인천 1호선, 인천 2호선이 I○○○형식 번호인지라 가칭이라기엔 무리가 있어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 ( 이전 역사)
문서의 r87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