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기획재정부 제1차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재무부차관 (1948~1994) | |||
<nopad> 이승만 정부 | ||||
초대 장희창 |
제2대 김유택 |
제3대 박희현 |
제4대 강성태 |
|
<nopad> 이승만 정부 | ||||
제5대 김영찬 |
제6대 윤인상 |
제7대 천병규 |
제8대 오림근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제9대 박종식 |
제10대 김용갑 |
제10대(사무) 김용갑 |
초대(정무) 서정귀 김재순 |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박정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제11대 이한빈 |
제12대 정인환 |
제13대 김정렴 |
제14대 오범식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5대 고범준 |
제16대 서봉균 |
제17대 이호범 |
제18대 민영훈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19대 정소영 |
제20대 이재설 |
제21대 김원기 |
제22대 김용환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제23대 최각규 |
제24대 남상진 |
제25대 조충훈 |
제26대 박봉환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27대 정인용 |
제28대 강경식 |
제29대 김흥기 |
제30대 이기욱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31대 주병국 |
제32대 정영의 |
제33대 이형구 |
제34대 이동호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35대 진념 |
제36대 이수휴 |
제37대 백원구 |
제38대 김용진 |
|
경제기획원차관 (1961~1994) |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박정희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송정범 |
제2대 차균희 |
제3대 김학렬 |
제4대 김태동 |
|
<nopad> 박정희 정부 | ||||
제5대 장예준 |
제6대 이재설 |
제7대 최각규 |
제8대 장덕진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제9대 서석준 |
제10대 정재석 |
제11대 이선기 |
제12대 서석준 |
|
<nopad> 전두환 정부 | ||||
제13대 최창락 |
제14대 정인용 |
제15대 김흥기 |
제16대 문희갑 |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7대 이형구 |
제18대 이진설 |
제19대 진념 |
제20대 강현욱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21대 한갑수 |
제22대 김영태 |
제23대 한이헌 |
제24대 강봉균 |
|
재정경제원차관 (1994~1998) | ||||
<nopad> 문민정부 | ||||
초대 이석채 |
제2대 이환균 |
제3대 임창열 |
제4대 강만수 |
|
재정경제부차관 (1998~2005) | ||||
<nopad> 국민의 정부 | ||||
초대 정덕구 |
제2대 엄낙용 |
제3대 이정재 |
제4대 김진표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제5대 윤진식 |
제6대 김광림 |
제7대 박병원 |
||
재정경제부 제1차관 (2005~2008) |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박병원 |
제2대 김석동 |
|||
기획예산처차관 (1999~2008)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최종찬 |
제2대 김병일 |
제3대 박봉흠 |
제4대 변양균 |
|
<nopad> 참여정부 | ||||
제5대 장병완 |
제6대 정해방 |
제7대 반장식 |
||
기획재정부 제1차관 (2008~현재) | ||||
<nopad> 이명박 정부 | ||||
초대 최중경 |
제2대 김동수 |
제3대 허경욱 |
제4대 임종룡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제5대 신제윤 |
제6대 추경호 |
제7대 주형환 |
제8대 최상목 |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9대 고형권 |
제10대 이호승 |
제11대 김용범 |
제12대 이억원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3대 방기선 |
제14대 김병환 |
제15대 김범석 |
}}}}}}}}} |
이억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 | ||||
문재인 정부 | |||||
2대 도규상 |
→ |
3대 이억원 |
→ |
4대 이형일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문재인 정부 제3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 | |
대한민국 제12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 이억원 李億遠 | Lee Eog-weon |
|
출생 | 1967년 |
서울특별시 | |
현직 |
이브로드캐스팅 사외이사 LF 사외이사 한국자본시장연구원 초빙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특임교수 |
재임기간 | 제12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 |
2021년 3월 30일 ~ 2022년 5월 10일 | |
학력 |
경신고등학교 (79회 /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 / 학사) 미주리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 |
병역 | 공군 중위 전역 |
약력 |
제35회
행정고시 합격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 국제금융과 서기관 기획재정부 미래전략과장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 기획재정부 인력정책과장 기획재정부 종합정책과장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참사관 세계무역기구 국내규제작업반 의장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장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 (문재인 정부) 제12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 ( 문재인 정부)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 공무원. 제12대 기획재정부 제1차관을 지냈다.2. 생애
1967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경신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미주리대학교 경제학 박사 과정을 졸업, 수료하였다.
1991년 제35회 행정고시 합격으로 공직에 입문하였다. 이후 2004년 12월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 국제금융과 서기관, 2009년 2월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미래전략과장, 2013년 7월 주 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참사관, 2015년 3월 세계무역기구 국내규제작업반 의장, 2017년 9월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장, 2018년 12월 경제정책국장, 2020년 5월 대통령비서실 경제정책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2021년 3월 30일부로 기획재정부 제1차관에 임명됐다. 중남미개발은행 미주투자공사에서 근무한 데 이어 주 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참사관을 지냈고 2015년 한국인 최초로 세계무역기구 국내규제작업반 의장을 맡아 다자통상 등에도 해박하다는 평이다.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직에서 물러났다.
2023년 3월 28일, LF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
3. 이름 관련 여담
-
경제관료로서 이름이
굉장히 적절한데(...) 실제로 그의 이름에 포함된 '억'은 수
억과 한자가 동일하다.
기재부 공무원들은 예산 액수를 말할때 차관님 이름을 피휘해야 할지도 -
실제 차관의 연봉은 약 1.3억원으로, 2억원에는 미치지 못한다. 행정부에서는
대통령이 거의 유일하게 연봉이 약 2억원이다.
7천만원만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 경신고등학교 때 교내 우수 저축상 수상자로 전체 운동장조회 때 이름이 호명되며 교단에서 수상하였는데 이름에 걸맞은 수상자로 회자되었다는 후문이 있다.
-
이와 유사한 사례로 2019~2022년
한국과학기술원 산하
나노종합기술원의 원장을 역임한 이조원(...) 교수가 있다.
밝은 대한민국 과학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