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21년에 발표되어 1930년대에 유행한 대중가요의 고전.2. 상세
원곡은 영국 춤곡을 바탕으로 미국인 제레미아 인갈스(Jeremiah Ingalls, 1764~1838)의 1805년 찬송 모음집(The Christian Harmony)에 수록된 'Love Divine'으로 찬송가로는 'Garden Hymn' 또는 ' The Lord into His Garden Comes'라는 제목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한국에는 1910년에 기독교 신자 임학천이 아래에 적혀 있는 가사로 작사하여 <이 풍진 세상을>이란 제목으로 박채선, 이류색 두 민요 가수[2]가 1921년에 발표하였다. 여러 악보집에 여러가지 제목으로 실려 소개되었는데 당시 여러 악사나 창가 가수, 민요 가수들이 불러 대중가요로 보급되었고 '탕자자탄가'(蕩子自歎歌) 등의 원래의 비탄조의 제목들도 '희망가'로 바뀌었다. 1930년 국내 최초의 대중가수 채규엽(蔡奎燁)의 레코드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고 하지만, 사실 채규엽은 이 노래를 부른 적이 없다.
사실 이 노래는 통합된 제목이 없었기 때문에 가사 앞 구절을 따서 <이 풍진 세상을> 등으로 불리다 <희망가>로 불리게 되었다. 한 마디로 당시의 민중가요라고 볼 수 있다. 가사도 위 링크에 적혀 있는데 1930년대에 유행한 노래인 만큼 참으로 암울하다. 나라 없는 민족의 설움을 노래했다고 보면 된다.
제목은 희망가지만 노래는 우울하고 비탄적인 분위기이고 가사 내용도 다분히 식민지 시대의 암울한 사회를 반영하여 슬픈 느낌이 난다. 그러나 듣는 방향에 따라선 단순한 비탄과 절망이 아닌 세속을 초월한 진짜 행복과 희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지는 철학이 담긴 노래로 들릴 수도 있다. 해방 후에도 1970- 80년대에 꾸준히 유행했다.
찬송가에서 유래해서 그런 건지 복음성가로도 쓰인다. ' 서로 사랑하자'라는 곡으로,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우리 할 일이 무엇인가~"로 시작한다.
노래방에도 수록되어 있다. TJ 798, 금영 797.
3. 가사
희망가 가사 |
이 풍진(風塵)[3] 세상(世上)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希望)이 무엇이냐
이 풍진(風塵) 세상(世上)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希望)이 무엇이냐
세상만사(世上萬事)를 잊었으면 희망(希望)이 족할까
부귀(富貴)와 영화(榮華)를 누렸으면 희망(希望)이 족할까 담소화락(談笑和樂)에 엄벙덤벙 주색잡기(酒色雜技)에 침몰(沉沒)하야 |
4. 대중매체에서
- 한대수의 1975년 2집 [고무신]에 마지막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그러나 해당 음반은 발매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판매금지가 된 바람에 오래도록 알려지지 않다가 수십 년이 지나서야 재발매된 바 있다.
-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송대관이 2013년 발매한 CCM 음반 '주님과의 약속'에 '서로 사랑하자'가 실려 있다.
- 대한민국의 팝페라 테너 임형주가 2019년 발매한 싱글 앨범 <A New Road>에 3번째 곡으로 수록되어 있다.
- 2020년 10월 31일 방영 불후의 명곡 명사 특집 고두심 편에서 뮤지컬 배우 임태경이 웅장하게 편곡해서 불러 화제가 되어 현재까지 역대급 감동의 무대로 회자된다. #
- 들국화 3집 들국화 3에 수록되어 있다.
- 양병집의 6집 <양병집 1993>에 수록되어 있다.
- 영화 짝패에서 김기천이 목욕탕에서 부른다.
- 검정 고무신에서 코마개가 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기영이 아버지도 술 먹고 힘들 때[4] 종종 부르며 땡구 역시도 술찌개미 먹고 잔뜩 취한 채 불렀다[5].
- 경성스캔들에서 한고은(차송주 役)이 어른이 되어 해후한 첫사랑과의 쓸쓸한 만남 이후에 이 노래를 부른다.
- 영화 군함도에서 김수안(소희 役)이 이 노래를 부른다.
- 내일은 미스터트롯에서 이찬원, 김호중, 고재근, 정동원으로 구성된 ‘패밀리가 떴다’ 팀이 불렀다. #
- MC몽의 8집 앨범 'CHANNEL 8'의 수록곡 <존버>의 피쳐링 가수 지셀의 후렴 파트에도 실려 있다.
- 군산 3.5 만세운동의 의미를 담은 군산 칸타타 항쟁 (오병희 편곡/안지선 연출)에서 소리꾼 고영열이 불렀다.
- 더 존: 버텨야 산다 시즌 1 여덟번째 에피소드인 Target Zone에서 AI 역할을 맡은 유희열이 전쟁을 반대하기 위해 실제로 등장해 파아노로 전장 한가운데에서 연주했다.
4.1. 야인시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fff><colbgcolor=#eee,#333> 원작 | 등장인물 · 캐스팅 목록 · 줄거리 · 작중 사건 사고 · 최강자 논쟁 · 비판 ( 고증 오류) |
메인 테마곡 | 야인 1부 전반 · 영웅주의 1부 후반 · 나 사나이다 2부 | |
삽입곡 | 전설의 영웅 · 어깨동무 · 희망가 · 황성옛터 · Odysseus | |
합성물 | 역사 · 등장인물 · 영상 일람 · 논란 및 사건 사고 · 내가 고자라니 ( 대본) · 4달러 · 에엑따 · 폭☆8 · 백병원 · 저작권 논란 | }}}}}}}}} |
신마적, 이정재, 시라소니 등이 불렀다. 합성물에선 주로 1부에선 술을 마시고 취한 신마적이 2부에선 이정재와 시라소니가 부르는 장면이 잘 알려져있다.
[1]
일제 강점기부터 「희망가」또는 「이 풍진 세상」으로 우리에게 익숙해진 이 노래가 일본에서는 손석우 선생님 말씀처럼 1910년 1월 23일 逗子開成 中学校(즈시 카이세이 중학교) 학생 12명이 보트 전복 사고로 바다에서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해서 1910년 2월 6일 이를 추모하기 위해 열린 즈시 카이세이 추모식에서 자매 학교인 鎌倉女学校(가마쿠라 여학교)의 여교사 三角錫子(미스미 스즈코 - 1871-1921)가 가사를 써서 진혼곡으로 불렀다.(출처:
https://jc21th.tistory.com/17781942)
[2]
해당 이름도 모두 예명이며, 두 사람 다 기생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채선'이나 '류색' 모두 당대 기생들이 흔히 별명으로 쓰던 이름이기 때문.
[3]
바람에 날리는 티끌이라는 뜻으로, 세상에서 일어나는 어지러운 일이나 시련을 의미한다.
[4]
보릿고개 에피소드
[5]
검정 고무신의 배경인 1960년대 당시에도 워낙 가난해서 무척이나 궁핍하게 사는 사람들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