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9 08:39:30

융합 해제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융합(유희왕)
,
,
,
,
,

1. 개요

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DeFusion-JP-Manga-DM.png
한글판 명칭 융합 해제
일어판 명칭 [ruby(融合解除, ruby=ゆうごうかいじょ)]
영어판 명칭 De-Fusion
함정 / 마법[1]
융합 몬스터 1마리를 분리시켜 이 턴의 공격을 무효화한다.

원작 배틀 시티 편에서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마법 카드.

배틀 시티에서 과묵한 인형과 듀얼에서 사용. 휴머노이드 웜 드레이크가 공격해오자 발동시켜서 소재 몬스터를 분리시킨 뒤에 공격을 무효화 하였다. 이후 빛의 가면&어둠의 가면과의 태그듀얼에서 컨트롤을 빼앗긴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2]을 상대로 사용하여 공격을 막았고, 나중에 배틀 시티 준결승 유우기 vs 카이바전에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3장으로 분리시켜 공격을 무효로 돌린 뒤 후 블랙 파라딘 + 확산하는 파동으로 정리했다. 배틀시티 결승전에도 사용되었는데 유우기가 어둠의 마리크 죽은 자의 소생을 가로채기 위해 발동한 익스체인지의 효과로 어둠의 마리크의 손에 넘어갔지만 이후 라와 합체한 상황에서 유우기가 발동한 데블의 성역의 토큰 출현으로 자기 자신을 공격하는 것과 다름없게 되자 라의 익신룡에게 융합 해제를 사용해 임기응변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노아 편에서는 어둠의 유우기가 마법카드 속공[4]을 사용해 융합 소환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에게 융합 소환된 차례에도 공격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화지가구토를 전투로 파괴하고, 융합 해제를 사용해 융합이 분리된 푸른 눈의 백룡 3장으로 노아에게 추가타를 먹여 역전승을 따냈다.

애니메이션의 융합 해제가 OCG 효과와 다른점은 자신의 융합 몬스터에 융합 해제를 자신이 사용했다면 OCG와 동일하게 추가 공격이 가능하지만 만약 상대에게 융합 해제를 당하면 분리된 소재 몬스터는 추가 공격을 할 수가 없다는 것.[5] 또한 이 경우 분리되어 버린 소재 몬스터 표시 형식도 융합 해제를 발동한 상대 플레이어가 결정하게 된다. 즉, 원작의 융합 해제는 2가지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융합 몬스터가 자신이 발동한 융합 해제인가 아니면 상대가 발동시킨 융합 해제의 대상이 되었느냐 그 주체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대 플레이어의 융합 몬스터에게는 카운터 카드가 될 수 있는 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도 융합 소환을 사용하는 듀얼리스트가 많기 때문에 당연히 등장. 소생 제약이 있는 프레임 윙맨을 특수 소환하거나 소재 정보가 지워진 에릭실러의 소재 몬스터를 꺼내는 등 원작의 융합 해제를 따르고 있다.

쥬다이는 융합으로 패의 몬스터 두장을 사용해 세일러맨을 정규 소환하자마자 바로 융합 해제를 사용하여 그 소재 2체를 다시 불러온 뒤, 그 둘을 네오스의 어드밴스 소환에 사용하는 비효율적인 플레이를 보여주기도 했다. #

52화에서는 마루후지 료가 쓴 이차원으로부터의 패의 효과로 쥬다이가 드로우한 2장의 카드 중에 이 카드가 있었지만 어째서인지 바로 다음에 융합 회수로 바뀌는 작화 오류가 있다.

유희왕 ZEXAL 15화에서도 로쿠쥬로 츠쿠모 유마에게 똑같은 짓을 해줬다. 이때 대상은 유마의 영혼이 깃든 블랙 매지션.

유희왕 ARC-V에서도 히이라기 유즈가 사용했다. 환주의 화가성 블룸 디바로 공격 후 이 카드를 이용해서 원샷투킬에 성공했다.

2.2. OCG

파일:融合解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융합 해제,
일어판명칭=<ruby>融合解除<rp>(</rp><rt>ゆうごうかいじ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e-Fusion,
효과1=①: 필드의 융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융합 몬스터를 주인의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린 그 몬스터의 융합 소환에 사용한 융합 소재 몬스터 1세트가 자신의 묘지에 모여 있으면\, 그 1세트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원작과 달리 부활시키는 소재 몬스터는 자기 묘지만 지정하므로, 상대 필드의 융합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렸을 경우에는 상대 묘지의 융합 소재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지 않는다. 상대를 가리지 않고 대상 지정 엑스트라 덱 바운스를 노린다면 강제 탈출 장치가 더 범용성이 좋지만, 이 카드는 속공 마법인지라 융합 강세 환경에 한하여 훨씬 강력하다.

분리 성공 시 특수 소환하는 몬스터의 조건이 까다로운데, 단순히 텍스트에 기록된 소재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게 아니라 반드시 그 융합 소환에 사용된 몬스터야만 한다. 따라서 상대 필드의 융합 몬스터를 되돌려도 자신의 묘지의 같은 종류의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자신이 정상적으로 소환한 융합 몬스터를 상대가 컨트롤을 탈취, 이렇게 상대의 몬스터가 된 융합 몬스터를 되돌렸다면 이어서 자신 묘지의 소재가 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비슷하게 상대가 초융합으로 자신 필드의 몬스터만 사용해 융합 소환한 몬스터를 대상으로 발동한 경우에도, 그 융합 몬스터를 상대의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소재로 쓰인 자신 묘지의 몬스터들을 소생시킬 수 있다.

그러면서도 융합 소재로 사용한 몬스터들이 되돌린 융합 몬스터의 소재 조건을 만족해야만 특수 소환 할 수 있다.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 정규 몬스터의 카드명 하나를 대신하여 사용한 경우는 여전히 융합 소재로써 묘지에 있으므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지만,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 팬텀 오브 카오스처럼 이름을 복사한 카드를 정규 소재 대신 사용한 경우엔 묘지에선 원래의 카드명으로 되돌아와 특수 소환이 불가능하다.[6] 이는 속성/레벨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묘지에서 원래의 속성/레벨로 되돌아왔을 때 되돌린 융합 몬스터의 소재 조건을 빗겨나간다면 소생할 수 없으며, 늪지의 도로곤 언데드 월드 등으로 종족이 전부 1종류로 통일되어버리면 소재를 특수소환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은 소재 조건이 토큰 이외의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 2로 정해져 있어 묘지에 있는 소재들을 특수 소환할 수 없으나, [7] 가디언 키메라의 경우 소재는 카드명이 다른 몬스터 × 3이기에, 그 아랫줄에 효과 외 텍스트로 패와 필드의 몬스터만을 각각 1장 이상 소재로 한 융합 소환으로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붙어있더라도 융합 해제로 소재를 전부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공식 DB(일본어)

또한 소재를 특수 소환할 때 반드시 그 소재를 세트로 소환해야 하므로, 묘지에서 제외( 미러클 퓨전, 용의 거울, 오버로드 퓨전 등등)하거나 패/덱/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고 특수 소환하는 경우에는 소환할 수 없다. 몬스터 1장만을 사용한 융합인 티마이오스의 눈의 경우에도, 융합 소재가 1세트에 해당하지 않아 소재를 살릴 수 없다. 이 카드의 발동에 체인하여 묘지의 소재가 된 몬스터를 묘지에서 패/필드/덱/엑스트라 덱/제외 구역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소환할 수 없다. 또한 소재 1세트를 모두 소환해야 하므로, 자신 필드의 비어 있는 메인 몬스터 존의 갯수가 소재가 된 몬스터의 수보다 적을 경우에도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처럼 7장 이상을 융합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에 발동한 경우에도 몬스터존이 부족하게 되므로 소환할 수 없다. 아예 특수소환 자체가 불가능한 몬스터와 ~로만 특수소환이 가능한 몬스터나 소생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몬스터와 융합소환으로밖에 특수소환할수 없다라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도 특수 소환할 수 없다.

과거에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효과를 발동하는 융합 몬스터(예시: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와의 궁합이 좋았으나, 2020년 신 마스터 룰 개편으로 '엑스트라 덱으로 뒷면으로 되돌아갔을 경우에 필드를 벗어나면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고 재정이 변경되어 이전의 콤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애니메이션과 비슷하게 배틀 페이즈 중 사용하여 추가타를 날리거나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후 소재 몬스터들을 벽으로 세우거나 하는 사용 방법을 생각할 수는 있겠지만, 가뜩이나 말림 요소가 있는 융합 테마에서 이 카드를 채용할 만한 가치는 낮다.

8~9기에는 히어로, 섀도르와 같은 융합 테마의 활약으로, 10기 이후에는 소환수, 썬더 드래곤과 같이 묘지에 소재가 남아 있지 않게 융합 소환하는 덱들의 활약으로 사이드 덱에 투입되었다. 다만 대상 지정 효과이기에 대상 내성 효과를 가지거나 프리 체인으로 필드를 벗어날 수 있는 융합 몬스터에게는 무의미하다. 11기 이후 시점에서는 융합 몬스터를 치우는 용도로는 몬스터 효과에 체인 불가가 달려있고 엑스트라 덱 덤핑으로 추가 이득까지 볼 수 있는 아르테미트 슬레이나, 마찬가지로 체인 불가에 상대 몬스터 2체를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로 바꿔먹는 초융합의 존재로 인해 이 카드를 채용할 가치는 거의 없다.

다른 소환법의 융합 해제에 해당하는 카드(엑스트라 덱 바운스 후 소재 특수 소환)로는 싱크로 소환은 싱크로 캔슬, 엑시즈 소환은 엑시즈 오버딜레이, 링크 소환은 블링크아웃이 존재한다.[8] 다른 소환법의 경우 의식 소환은 그냥 릴리스한 카드로 취급할 뿐 '의식 소재'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펜듈럼 소환은 메인 덱 몬스터인데다 스케일만 세팅하면 소재 없이 무제한 소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등장하지 않았다. 다만 열화판으로 특수 소환 대신 소재를 되돌리거나 단순히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리는 카드는 존재한다.

트윈 포톤 리저드는 이 효과를 자체적으로 갖고 있다.

여담이지만, 융합 해제의 북미판 명칭과 D-퓨전은 1글자 차이이다. (De-Fusion, D-Fusion)

3. 관련 카드

3.1. 콘택트 아웃

3.2. 싱크로 캔슬

싱크로 소환 버전.

3.3. 엑시즈 오버딜레이

엑시즈 소환 버전.

3.4. 블링크아웃

링크 소환 버젼. 다만 이 쪽은 소재 중 하나만 골라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1]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속공 마법. [2] 초창기의 마그넷 발키리온은 카이바의 XYZ 드래곤 캐논처럼 자석 몬스터가 갖춰지면 융합 카드가 없이 합체하는 융합 몬스터였다. 이후 배틀시티 결선 편부터는 OCG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3] 원작 라의 익신룡의 2번째 효과는 룰상 "플레이어와의 융합"으로 취급된다. 또 융합 해제를 사용한 경우, 플레이어와의 융합은 해제되고 라의 능력치는 0으로 내려가며 내려간 공격력 수치만큼 플레이어의 LP를 회복시킨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4] 배틀시티 룰 전용 카드로 융합 몬스터는 융합한 턴에 공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 속공 마법 카드. [5] 상술한 것처럼 전자는 노아 전이 해당되며 이 경우에는 유우기가 자신의 융합 몬스터를 대상으로 융합 해제를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분리된 소재 몬스터는 OCG처럼 아무 문제 없이 추가 공격이 가능했다. 하지만 후자의 경우 과묵한 인형, 빛의 가면&어둠의 가면과 태그 듀얼, 배틀시티 준결승 카이바와 듀얼이 해당되는데 그들의 융합 몬스터가 그들 자신이 발동한 게 아닌 상대 플레이어였던 유우기가 발동시킨 융합 해제에 맞았기 때문에 추가 공격이 막히게 된 것이다. [6] 대표적인 예로, 필드에서만 카드명이 사이버 드래곤인 프로토 사이버 드래곤은 융합 해제를 사용해도 묘지에서 살아나지 않지만, 사이버 드래곤 츠바이 같이 묘지에서도 사이버 드래곤인 상태로 존재하는 카드들은 특수 소환할 수 있다. [7] 이 문제는 초월융합에도 똑같이 적용되어 스타브 베놈의 소재를 부활시켰던 원작 재현이 안 된다. [8] 싱크로 캔슬은 융합 해제와 달리 일반 마법이고, 엑시즈 오버딜레이는 소환한 소재의 레벨을 1 낮추며, 블링크아웃은 소재 몬스터중 1체만 불러낸다.